
총 32개
-
ECMO ICU2025.04.031. 서론 1.1. 심근경색의 정의와 원인 심근경색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괴사하는 상황이다. 심근경색은 짧은 시간 안에 가장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중증도가 높은 질병이다. 심근경색의 주된 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반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된다. 1.2.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2025.04.03
-
오행은 뭘까2024.11.211. 함께 사는 지혜 1.1. 함께 살기의 어려움 광동빌라에 이사 온 후 10개월이 지나면서 한 사람이 더 깨끗이 청소하기 시작하면서 갈등이 생겼다는 내용이다. 이전에는 각자 자기 방 청소만 열심히 했지만, 공동공간이 넓어지자 더 깨끗히 청소해야겠다는 개인의 마음이 생겨났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그에 동의하지 않아 "왜 나만?" 하는 마음이 생겨났고, 결국 성질이 폭발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함께 사는 것의 어려움을 깨닫게 되었다. 필자는 그동안 자신의 공간에서는 가족들의 간섭도 싫어했고, 청소와 정돈도 최소한의 수준으로 ...2024.11.21
-
울혈성 심부전 간호2024.09.251. 울혈성 심부전의 이해 1.1. 정의 심부전(심장기능장애)은 인체가 휴식하거나 운동할 때 필요한 대사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충분한 혈액을 심장이 펌프해 내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의 펌프 능력부전은 혈류량이 정상인데도 심장질환이나 심장 구조의 이상이 있을 때 또는 혈류량의 급격한 증가나 감소 등으로 발생한다.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심박출량이 저하되어 폐정맥과 전신정맥은 울혈되고, 신체조직은 산소가 부족해진다.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이 점차 기능을 잃으면서 폐나 다른 조직으로 혈액이 모이는 질환이다. 심장근육의 탄력성이 떨어져...2024.09.25
-
급성심근경색 간호진단 가상시나리오2024.09.1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사회의 생활문화나 식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최근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등 만성 질환으로 인해 순환기계 질병 중 하나인 심근경색 환자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급성심근경색의 발병환자의 25~35%는 병원 방문 이전에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인 질환이라고 알려져 있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러운 폐색은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므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고, 한번 폐색된 혈관은 수술 후에도 재협착될 가능성이 크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신속한 치료와 수술 후...2024.09.15
-
심부전 간호진단2024.09.151. 심부전의 이해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정도이며 보통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하다. 심장의 위치는 세로칸(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있으며, 아래쪽에는 가로막(횡격막)이 있고, 가로막 위에 심방끝(심첨)이 앞쪽을 향하고 있다. 심장의 기저부(base)는 약 3번째 갈비뼈 정도에 위치한다. 심장은 좌우 사이막(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하고, 1회 70mL정도의 혈액을 내보내 1분...2024.09.15
-
심부전 간호과정2024.09.121. 심부전 간호과정 1.1. 증상 및 진단 심부전 환자의 주요 증상은 호흡곤란(dyspnea)과 피로감이다. 호흡곤란은 활동 시 심하게 나타나며 누운 자세에서 더 악화되는 기좌호흡(orthopnea)을 동반한다. 이는 폐울혈로 인한 증상으로, 심장기능이 약화되면서 폐정맥압이 상승하여 폐 내 액체가 축적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폐포의 가스교환능력이 저하되어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또한 피로감과 전신 허약감이 동반되는데, 이는 심장박출량 감소로 인한 조직관류 저하 때문이다. 이 외에도 부종, 기침, 야간 호흡곤란, 야간뇨, 감염...2024.09.12
-
심부전 문헌고찰2024.11.051. 심부전(Heart Failure) 1.1. 정의 심부전이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펌프 기능(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군을 말한다. 좌심부전이 우심부전보다 훨씬 더 흔히 발생하며, 좌심부전만 있는 경우 급성폐수종과 동일한 상태가 나타난다. 대부분 좌심부전과 우심부전이 병합된 상태로 보이나, 심장은 하나의 순환로이므로 어느 한쪽의 심장부전은 다른쪽 부전을 초래한다. 또한 심부전은 급성과 만성으...2024.11.05
-
호흡곤란이 있는 울혈성 심부전 대상자 간호과정2024.10.1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부전은 전 세계적으로 입원과 재입원, 건강 관련 삶의 질 저하, 의료비지출 및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도 생활양식의 서구화, 고령화,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심부전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향후 국내 심부전 환자는 2040년까지 17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심부전 환자를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하게 처치하는 것이 중요하며, 심부전의 정의와 병태생리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환자의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는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이번 사례 연구...2024.10.18
-
심정지 case2024.10.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국내에서 심정지 발생 시 심폐소생술 시행으로 인한 생존율은 2.4배인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 심정지 발생 후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시간이 늦어졌던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입원기간이 길고 시간이 더욱 많이 소요되었으며 심정지 상황에서 빠른 심폐소생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심정지 상태를 조기에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심정지에 대한 중재와 향후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 연구해보자 선정하게 되었다."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은 다음과 같다. 심정지(Car...2024.10.07
-
심혈관계 사정2024.11.141. 심장과 혈관계 해부생리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1. 심장의 구성 부분 심장은 원뿔모양의 속이 텅 빈 근육으로 된 기관으로, 양측 폐 사이의 중격동에 위치하고 있다. 성인의 주먹 정도의 크기이며, 가슴의 앞쪽과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횡격막 위에 위치하고 있다. 한 번 박동할 때마다 약 60ml의 혈액을 박출하여 약 5L/min의 혈액을 공급한다. 심장은 심막(pericardium)이라 불리는 보호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심장근육조직은 심외막(epicardium), 심근(myocardium), 심내막(endoc...2024.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