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4개
-
acls2024.10.201. 심폐소생술 1.1. 기본 소생술과 전문소생술 기본 소생술(BLS)은 특별한 기구가 없는 상태에서 처음 목격한 사람이 입과 손으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 및 자동제세동기를 동기적으로 적용하는 소생술이다. 기도유지만으로도 위기상황을 넘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기본 심폐소생술은 응급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전문소생술(ACLS)은 기본 소생술과 더불어 환자를 안정시키는 데 필요한 약물투여, 심정지 원인의 규명,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는 심전도 감시, 수동 제세동기 등의 특수 장비를 사용하는 소생술을 말한다. 전문소생술은 환...2024.10.20
-
응급간호란2024.09.02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및 개선 1.1. 응급의료체계 구성 1.1.1. 응급의료인력 및 업무 응급의료인력은 크게 응급의료 현장에서 직접적인 응급처치를 담당하는 인력과 병원 단계에서 응급 환자 진료 및 관리를 담당하는 인력으로 구분된다. 현장에서 직접적인 응급처치를 담당하는 인력에는 최초반응자, 응급구조사(1급, 2급)가 있다. 최초반응자는 현장에서 119 신고, 기도 확보, 인공호흡, 가슴압박 등의 일차적인 응급처치를 수행한다. 응급구조사(1급)는 신고 접수 및 전화 상담, 현장 처치, 이송 업무를 담당한다. 응급구조사...2024.09.02
-
급성심근경색 디브리핑2024.08.301. 서론 1.1. 문헌고찰 (급성 심근경색, AMI) 급성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인해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히면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 경색부위는 좌관상동맥 전하행가지의 페색으로 오는 좌심실 전벽에 가장 흔하며, 좌심실 후벽과 승모판의 후축부위, 횡경막이 닿는 부분에도 많이 발생된다.""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되는 것이다. 관상동맥의 ...2024.08.30
-
의식수준 사정 및 단계2025.04.021. 의식수준 사정 1.1. Level of Consciousness (의식수준)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확인하는 것은 의식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환자의 주소, 담당의사명, 현재의 날짜, 장소 및 자신의 질병 등에 대한 진술능력을 통해 의식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의식을 활성화하는 부위의 손상에 따라 의식수준이 다르며, 의식이 저하된 경우에는 이름을 크게 부르거나 통증을 유발시켜 반응을 확인한다. 의식상태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로 Glasgow coma scale(GCS)을 많이 사용한다. GC...2025.04.02
-
심정지 케이스스터디2025.04.061. 서론 심정지는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정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가 심하게 손상되며, 5분 이상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신속한 응급처치를 통해 심장의 펌프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체외 심장 마사지로 혈류 순환을 유지시켜야만 한다. 최근 들어 급성심장질환 및 순환계질환 등이 사망 및 장애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으며, 심정지 환자의 증가에 따라 이에 대한 자세한 학습이 필요하다. 심정지의 원인...2025.04.06
-
응급간호 중간고사2025.04.051. 응급 간호 1.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및 문제점 국내 응급의료체계는 병원 전 단계, 이송단계, 병원단계, 통신체계로 구성된다. 병원 전 단계에서는 응급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병원까지 이송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처치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송단계에서는 응급환자를 현장에서 병원까지 이송하는 단계이다. 병원단계에서는 응급환자가 병원에 이송되어 의료진으로부터 적절한 전문치료를 받는 단계이다. 통신체계에서는 응급상황에 대한 신고를 접수하고 전화상담과 의료지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 응급의료체계에는 다음과 같은 문...2025.04.05
-
성인간호학실습 급성심근경색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03.261. 성인간호학실습 급성심근경색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1. 협심증(Angina) 협심증(Angina)은 관상동맥질환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협심증은 가역적인 심근세포 손상에 의한 심근허혈의 결과로, 갑작스런 흉통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증후군이다. 협심증의 세 가지 주요 형태는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신증, 그리고 변이형 협신증이다.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상태가 오며 이때 심한 흉통이 일어난다. 심근허혈과 협심통은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와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이 흉통 ...2025.03.26
-
전기검사확인2024.10.311. 순환기계 질환과 특수검사 1.1. 용어 및 약어 용어 및 약어는 메디컬 용어와 약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순환기계 질환과 특수검사 관련 영역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약어들이다. "용어와 약어 정의들은 순환기계 질환과 검사 분야에서 종사하는 의료진들 및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전문 용어들이다. 이는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정확한 의사소통과 기록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의학 용어와 약어의 정의를 숙지하는 것은 환자의 상태와 치료 계획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핵심적이다. 이를 통해 의료진 간 ...2024.10.31
-
전문응급처치술2024.09.261. 응급의료체계 1.1. 병원 전 단계 병원 전 단계(pre-hospital phase)는 응급환자의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환자의 상태에 따른 구급차 출동, 현장처치, 환자이송 등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는 신속한 신고체계, 이송병원 선정을 위한 의료정보 관리체계,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처치체계가 필수적이다. 우선, 응급환자 발생 시 환자의 상황을 119 등에 신고하고 구급차가 출동하게 된다. 신고자는 응급상황의 발생 위치, 사고의 종류, 환자의 수와 상태, 처치 내용 등을 침착하게 전달해야 한다. 구급대...2024.09.26
-
응급의료2024.09.161. 국내 응급의료체계와 심폐소생술에 관한 고찰 1.1.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구성 1.1.1. 병원 전 단계 병원 전 단계는 응급환자의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환자의 상태에 따른 구급차 출동, 현장처치, 환자이송 등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응급환자를 처음 발견한 목격자, 신고접수자, 최초로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사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응급환자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구급차를 즉시 출동시켜서 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하게 된다. 구급차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는 전화상담원이 응급처치 요...2024.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