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혈액은행2024.09.021. 수혈 1.1. 수혈의 정의 수혈(blood transfusion)이란 공여자(donor)로부터 수혜자(recipient)에게 전혈(whole blood)이나, 혈장, 적혈구, 혈소판과 같은 혈액의 특정 구성성분을 정맥내로 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수혈은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거나, 빈혈이 심한 대상자에게 적혈구수를 증가시키고 헤모글로빈 수준을 유지하며 산소운반능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혈액응고인자, 혈소판, 알부민 등 부족한 혈액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수혈은 19...2024.09.02
-
투약사고 대처2025.04.241. 투약사고 대처 1.1. 투약오류의 유형 확인 투약오류의 유형 확인은 다음과 같다. 투약오류란 환자의 의무기록에 적힌 의사의 처방대로 투약되지 않은 경우로 처방기재 오류, 조제오류, 투약오류 및 환자의 복약이행 오류를 포함한다. 투약오류의 유형으로는 다른 속도로 투여하거나 다른 환자에게 투여, 다른 약품 투여, 다른 시간 및 빈도로 투여, 다른 용량으로 투여, 중복 투여, 누락되어 투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투약오류로 발생할 수 있는 사건유형으로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사건이나 환경, 사건이 발생하였으나 환...2025.04.24
-
수혈2025.07.101. 수혈 1.1. 수혈의 정의 수혈은 건강한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을, 혈액이나 그 성분이 부족한 환자(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가지 이유)의 혈관 내에 주입하는 치료 방법이다. 수혈요법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생명을 위협하는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는 ABO부적합의 우려와 최근 급증하는 혈액을 통한 질병전파의 우려 때문이다. 1.2. 수혈의 목적 질병이나 손상으...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