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5개
-
신경계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2024.10.261. 신경계의 개요 1.1. 중추신경계 1.1.1. 뇌 1.1.1.1. 대뇌 대뇌(cerebrum)는 뇌의 80%로, 뇌의 가장 고위중추로써 고차원의 정신기능을 담당한다. 표면은 회백질인 피질, 안쪽은 백질인 수질로 되어있다. 표면은 깊게 패인 구와 구에서 융기된 회에 의해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 면적이 넓다. 대뇌피질은 부위에 따라 세포층의 구조가 여러 가지로 다른데, 이런 특징을 토대로 대뇌피질은 수십 개의 브로드만 영역으로 세분화된다. 대뇌는 세로로 파인 대뇌세로틈새에 의해 좌우 대뇌반구로 나뉜다. 신경섬유는 척수나 연수에...2024.10.26
-
신경계 구조와 기능2025.05.041. 신경계 개요 1.1. 신경계의 구성 신경계는 수의적인 반응과 자동 반사를 통해 모든 신체를 통괄하는 조직적인 시스템이다.[1,2]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분된다.[1,2]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를 포함하며 직접적으로 신체 전반의 다른 계통에 신호를 전달한다.[1,2] 말초신경계는 대칭적인 12쌍의 뇌신경과 31쌍의 척수신경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신경은 감각신경근과 운동신경근을 포함하고 중추신경계로 오가는 정보를 중계한다.[1,2] 또한 말초신경계에는 자율신경계가 포함되어 있으며,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2025.05.04
-
인체구조와기능2024.10.111. 인체구성과 기능 1.1. 신경계통 1.1.1. 신경세포의 구조와 기능 신경세포(neuron)는 신경계통에서 정보 전달의 주체이다. 신경세포는 세포체(cell body), 수상돌기(dendrite), 축삭(axon) 등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체는 뉴런을 조정하는 센터이며 핵을 포함하고 있어 유전적 조절을 할 수 있다. 수상돌기는 다른 뉴런으로부터 신호를 받는 부분으로, 뉴런에 따라 하나의 수상돌기만 있을 수도 있고 수천 개의 수상돌기를 가질 수도 있다. 축삭은 뉴런이 다른 세포에 보내는 신호의 출력 경로이며, 축삭소구...2024.10.11
-
뇌와 뇌신경과 관련된 해부생리학2025.04.231. 서론 1.1. 뇌와 뇌신경계의 해부생리학 신경계는 수의적인 반응과 자동 반사를 통해 모든 신체 기관을 총괄하는 매우 조직적인 시스템이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분된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이며, 말초신경계는 12쌍의 뇌신경과 31쌍의 척수신경으로 구성된다. 뇌는 두 개의 대뇌반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른쪽 반구는 몸의 왼쪽을, 왼쪽 반구는 몸의 오른쪽을 각각 담당한다. 각 반구는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측두엽으로 구분된다. 대뇌피질은 고등 정신기능과 본능, 지각, 행동을 담당한다. 소뇌는 대뇌의 후...2025.04.23
-
생리학 문제2024.09.291. 항상성과 체액의 조성 1.1. 항상성과 음성되먹임 항상성은 내부 환경의 조건이 변화하더라도 그 변화를 최소화하여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생리적 과정이다. 이는 주로 음성되먹임 기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음성되먹임은 내부 환경의 변화가 있을 때 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내부 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기전이다. 예를 들어, 체온이 상승하면 체온조절 중추에서 발한이 유발되어 체온이 내려가고, 체온이 떨어지면 오한과 오소반사가 유발되어 체온이 올라간다. 이처럼 체온의 변화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