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3개
-
증기압 내림2024.09.181. 용액의 성질 1.1. 용액의 정의와 구분 용액은 균일 혼합물로, 구성 입자의 크기에 따라 서스펜션, 콜로이드, 용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스펜션은 직경이 약 1000nm 이상인 입자들을 포함하고, 콜로이드는 직경이 약 2-1000nm의 영역 내의 입자들을 포함한다. 용액은 직경이 약 0.2-2nm의 입자를 포함하고 있다. 용액에서 녹아있는 물질을 용질, 액체는 용매라고 한다. 1.2. 용해 과정의 열역학적 이해 용해 과정의 열역학적 이해는 다음과 같다. 용해 과정에서 일어나는 열역학적 변화를 이해하면 용액의 특성을 심층적...2024.09.18
-
식물 삼투압2024.09.201. 식물 세포와 동물 세포의 삼투압 현상 1.1. 식물 세포의 삼투압 관찰 1.1.1. 실험 목적 식물 세포에서의 삼투압 관찰 실험의 목적은 식물 세포막의 선택적 투과성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형질의 분리와 복귀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삼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1.1.2. 실험 이론 및 실험 원리 삼투란 묽은 용액과 진한 용액이 반투과성막을 사이에 두고 있을 때, 농도가 더 진한 쪽으로 용매가 이동하는 현상이다. 이때 발생하는 압력의 크기를 삼투압이라고 한다. 용매는 통과시키나 용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반투막을 고정시키...2024.09.20
-
수분과 전해질2024.09.201. 수분과 전해질 1.1. 체액 1.1.1. 세포내액(ICF) 세포내액(ICF)은 체중의 약 40%를 차지하며, 세포 내부에 위치하는 액체로서 세포의 화학적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내액 내에는 칼륨 이온(K+)이 가장 많이 존재하며, 그 외에도 인산(HPO4-2), 단백질 음이온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반면 세포외액에 다량 존재하는 나트륨 이온(Na+)은 세포내액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포내액과 세포외액 간에 전해질 구성에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는 세포막의 능동수송 작용에 의해 ...2024.09.20
-
성인간호학 문제집2024.10.071. 항상성 유지 1.1. 체액과 전해질 1.1.1. 삼투성 불균형 삼투성 불균형은 삼투질 농도의 장애로 인해 체액 구간의 수분분포가 불균형적인 상태이다. 물은 항상 용질의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양쪽이 평형을 이룰 때까지 이동한다. 세포 외액의 삼투질 농도는 소듐농도에 비례하므로, 고나트륨혈증은 고삼투질 농도, 저나트륨혈증은 저삼투질 농도를 나타낸다. 고삼투성 불균형 또는 수분부족 현상은 수분감소나 세포 내 용질 과다로 생긴다. 수분감소는 용질의 양은 적당하나 물의 양이 적은 것이며, 용질과다는 물의 단위당 용질이...2024.10.07
-
1. E.coli의 배양 조건 및 분열시간 2. E.coli 성장곡선 3. Lac operon 4. IPTG 5. 흡광도란2024.09.261. 세균의 성장 과정과 유전자 발현 조절 1.1. 일반적인 세균의 성장 곡선 일반적인 세균의 성장 곡선은 세균이 새로운 환경에 접종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균 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곡선은 크게 4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계는 유도기(lag phase)로, 세균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기이다. 이 기간 동안 세균 수의 증가는 거의 없으며, 세포 구조와 효소 합성 등이 이루어진다. 이 시기는 환경 조건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지수기(exponential phase)로, 세균이 최적...2024.09.26
-
전해질 산 염기 불균형2024.11.011. 개요 1.1. 항상성 유지 신체는 다양한 기관과 호르몬 체계가 상호작용하여 정상적인 체내 환경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이를 "항상성(Homeostasis) 유지"라고 말한다. 신체의 내적 환경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체액과 전해질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액은 영양분, 전해질, 산소를 세포로 운반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 끊임없이 움직이며, 이러한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적응 반응을 통해 정상 범위 내에서 체액과 전해질의 구성과 양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항이뇨호르몬(ADH)과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는 체액량과...2024.11.01
-
세포막의 투과성2024.10.161. 세포막의 구조와 특성 1.1. 인지질 이중층 구조 인지질 이중층 구조는 세포막의 기본적인 구조로, 두 겹의 인지질로 이루어져 있다. 인지질은 친수성 머리부분과 소수성 꼬리부분으로 구성되는 양친매성 분자이다. 인지질 분자들이 물-기름 계면에서 자발적으로 배열되면서 이중층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친수성 머리부분은 수용액 내부를 향하고 소수성 꼬리부분은 서로 마주보며 중앙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는 세포의 경계를 형성하고 세포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시켜 주며, 세포 내 물질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2024.10.16
-
체액과 전해질 균형 요약2024.11.181. 체액과 전해질 1.1. 체액과 전해질의 생리 1.1.1. 체액 수분은 체액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세포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기여한다. 나이, 성별 및 체지방에 따라 체액량은 다르며, 체액은 체중의 약 60%를 차지하고 이 중에는 세포내액 40%, 세포외액 20%로 이루어져 있다. 체액은 수분과 용질들로 구성되며 갈증, 콩팥, 레닌-앤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 항이뇨호르몬 및 심방나트륨이뇨펩티드 등이 체액의 균형 조절에 관여한다. 체액 균형 조절에 관여하는 인자들이 여러 자극에 대해 부적절하...2024.11.18
-
우유 맛이 변질되는 화학적 이유2024.10.231. 미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1.1. 온도의 영향 미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중 온도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미생물에게는 생육에 가장 적합한 온도 범위가 존재하며, 이를 최적온도라고 한다. 미생물은 최적온도에서 가장 빠르고 왕성하게 생육할 수 있다. 미생물은 생육온도에 따라 저온균, 중온균, 고온균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의 미생물은 중온균에 해당하여 30도 전후의 온도에서 가장 잘 자란다. 하지만 청국장균 등의 고초균이나 요구르트를 만드는 유산균과 같은 고온균은 40도 이상의 높은 ...2024.10.23
-
생리학 중간 기말 고사 문제 및 필기본 간호학과 2학년 학점 A02024.10.111. 항상성과 물질 이동 1.1. 항상성과 음성 되먹임 기전 생물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며, 내부의 생리학적 균형을 유지하는 과정을 항상성(homeostasis)이라고 한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생물체는 자극에 반응하여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기전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음성 되먹임(negative feedback) 기전이다. 음성 되먹임 기전은 특정 변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이를 감지하고 조절하여 원래의 평형 상태로 되돌리는 메커니즘이다. 예를 들어 혈당 농도가 높아지면 이를 감...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