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7개
-
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최근 만 10년 (2012년~2022년) 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통계를 조사 및 분석2024.10.201. 국가별 사고 현황 및 특징 1.1. 교통사고 1.1.1. 교통사고 통계 국내외 교통사고 통계를 살펴보면, 한국의 교통사고 사망률이 OECD 국가 중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2020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OECD 국가 평균 5.95명인데 비해 한국은 6.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34개국 중 29위 수준이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점차 감소하여 각각 5.6명, 5.3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여전히 OECD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다. 연령별로 보면, 고령자와 어린이의 교통사고 사망률이...2024.10.20
-
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최근 만 10년(2012년~2022년) 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통계를 조사 및 분석하2024.10.201. 사고통계 분석 1.1. 교통사고 1.1.1. 국가별 교통사고 발생 현황과 특징 한국의 교통사고 발생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면, 최근 3년간 사고건수와 사망자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2020년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인구 10만명당 6.0명, 2021년 5.6명, 2022년 5.3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국가 평균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점차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의 교통사고 특징으로는 첫째, 보행 중 사고가 많은 편이다. 둘째, 고령자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셋째, 음주...2024.10.20
-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통계를 조사 및 분석2024.10.201. 서론 우리나라는 지난 2021년 7월 3일, UNCTAD에 의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진입하였다. 이처럼 경제는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였으나, 경제를 지탱해주는 노동자들의 지위는 여전히 처참하다. 노컷뉴스 2022년 7월 8일 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산재 사망률은 23년 간 1위를 기록한 바 있으며, 2005년을 전후한 시기부터 3위에 해당되고 있다.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의 산업재해관리 수준이 이 정도밖에 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산업재해사고를 줄이기 위해 2022년 1월 27일에 일명 '중대재해처벌법'을 도입하였지...2024.10.20
-
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최근 10년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통계를 조사 및 분석하고 나라별로 비교하여 설명2024.10.201. 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최근 3년(2019년~2021년)간 사고통계 1.1. 요약 및 소개 교통사고, 자살, 산업재해 등 우리가 일상적으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사고들이 인류의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 3년(2019년~2021년) 동안 미국, 영국, 일본, 한국에서 발생한 이러한 사고들의 통계 데이터를 조사하고 나라별로 비교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국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을 이해하고 개선해야 할 과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2024.10.20
-
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최근 만 10년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통계를 조사 및 분석하 고 나라별로 비교하여 설명2025.01.021. 서론 1.1. 교통사고, 자살, 산업재해 통계 조사 개요 교통사고, 자살, 산업재해 통계 조사 개요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교통사고, 자살, 산업재해와 같은 다양한 사고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들에 대한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2019년~2021년) 동안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의 교통사고, 자살, 산업재해 통계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각 국가의 사고 통계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국가별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2025.01.02
-
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최근 만 10년(2012년~2022년) 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통계2025.04.131. 서론 1.1. 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최근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현황 미국의 경우 매년 약 600만 건 이상의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며, 그중 200만 건은 탑승자 부상과 관련되고 약 40만 건이 치명적인 부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매년 교통사고로 인해 38,000여 명이 사망하고 있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운전 중 휴대폰 사용, 음주운전, 과속운전, 신호위반, 난폭운전 등이 있다. 사고 유형별로는 차량 간 충돌이 42.6%, 정지 물체와의 충돌이 26.5%, 보행자 충돌이 19.6%를 차지한다. 특히 사망사...2025.04.13
-
한국 최근 10년(2013년 ~ 2023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자료2025.04.131. 서론 최근 경기 이천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50대 하청노동자가 끼임사고로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산업재해는 지금도 현장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작년 SPC 공장에서 근무하던 직원이 소스배합기에 끼어 사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작업지시를 내리는 것은 물론이며 기업의 적절한 대응이 없자, 온국민이 파리바게트를 비롯한 SPC 계열 제품의 불매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기업의 상태와 경영자의 경영방식에 따라 근로환경이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며, 정규직과 비정규직, 본청직원과 하청직원의 급여 및 노동환경의 차이가 다르다. 또...2025.04.13
-
일본 10년간(2013년 ~ 2023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자료2025.04.131. 서론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대형 산업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최근 수년간 산업현장의 잇따른 사고로 인한 근로자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와 기업이 근로자의 안전과 생활안정을 위해 적극적인 산업복지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 산업복지는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과 기업 생산성 제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국내외 산업재해 현황과 산업복지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산업복지가 겪고 있는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산업재해 현황...2025.04.13
-
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최근 만 10년(2013년~2023년)간 로봇에 의한 인적 산업재해 및 사망률 통계를 조사 및 분석하고 나라별로 비교하여 설명2025.04.081. 서론 미국, 영국, 일본 및 한국의 최근 3년간(2019년~2021년) 교통사고, 자살, 산업재해 통계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각 국가별 사고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사고의 범위는 교통사고, 자살, 산업재해로 한정한다. 이러한 사고 통계 분석은 사고의 원인과 연도별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국가 간 비교 분석을 통해 각국의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사고통계 비교 2.1. 교통사고 통계 교통사고 사망자 수와 교통사고 사망률 지표를 통해 미국, 영국,...2025.04.08
-
로봇에 의한 산업재해 통계2025.04.081. 서론 1.1. 산업재해 통계와 로봇에 의한 산재 발생 현황 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2011~2020년 사이 산업용 로봇으로 인해 총 355명의 재해자가 발생했고, 이 중 29명은 사망했다. 산업용 로봇 산재의 약 95% 이상이 제조업에서 발생했으며, 제조업 중에서는 자동차 부분품 제조업(39%), 자동차 제조업(9%) 순으로 재해가 많이 발생했다. 산업용 로봇 산재의 발생형태는 끼임(187건, 53%)이 가장 많았고, 부딪힘(121건, 34%)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최근('20~'23.8) 산업용 로봇에 의한 사고사망자(...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