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개
-
비중시험 및 함수비2024.10.041. 토질역학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흙의 함수비 실험의 목적은 흙 지반이 흙 입자, 물, 공기로 이루어진 삼상 물질이며, 물의 양에 따라 흙 지반의 공학적 성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함수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함수비는 지반의 공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며, 모든 토질 시험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이를 실험을 통해 측정하고자 한다. 1.2. 실험 대상 흙의 함수비 및 비중 실험의 대상은 실험실에서 준비된 토양 시료이다. 토질역학 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채취한 토질 시료를 이용하여 흙의 성질을 분석한...2024.10.04
-
건축재료 골재 함수상태 분석2024.11.071. 골재의 함수 상태 1.1. 골재의 함수상태 골재의 함수상태는 크게 절대건조상태, 기건상태, 표면건조상태, 습윤상태의 4가지로 구분된다. 절대건조상태는 골재를 105℃±5℃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켜 모든 수분이 제거된 상태이다. 기건상태는 골재 표면의 수분이 제거되었지만 내부에는 약간의 수분이 포함된 상태이다. 표면건조상태는 골재 내부가 물로 포화되어 있고 표면수는 제거된 상태이다. 습윤상태는 골재 내부와 표면 모두 물로 포화된 상태이다. 골재의 함수상태에 따라 콘크리트의 품질에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골재가 절대건...2024.11.07
-
비중측정2024.11.161. 비중 및 밀도 측정 1.1. 실험 목적 이번 실험의 목적은 밀도와 비중에 대해 알고 이를 실험하여 실제로 측정해보는 것이다. 밀도는 단위부피당 질량을 의미하며, 물질마다 고유한 값을 가지게 된다. 비중은 어떤 물질의 밀도를 표준물질의 밀도로 나눈 것으로, 부피가 같은 표준시료와의 질량비를 나타내는 무차원량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물질에 따른 이론밀도, 겉보기밀도, 벌크밀도, 충진밀도의 차이와 온도 변화에 따른 밀도 및 비중 변화를 측정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1.2. 실험 원리 1.2.1. 밀도와 비중의 정의 밀도는 질량을 부...2024.11.16
-
흙의 종류 중 점성토와 비점성토(사질토)의 정의 및 특징, 차이점2024.10.011. 토질의 종류와 성질 1.1. 토질의 기본적인 성질 1.1.1. 공극비와 공극률 공극비(void ratio)는 흙 속 고체성분의 용적에 대한 공극의 용적의 비율이며, 일반적으로 10진법으로 나타낸다. 흙의 전체 용적에 대한 공극의 용적의 백분율을 공극률(porosity)이라고 한다. 공극비와 공극률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공극비 e는 고체성분의 용적 Vs에 대한 공극의 용적 Vv의 비율로 나타내며, 다음 식과 같다. e = Vv / Vs 공극률 n은 흙 전체 용적 V에 대한 공극의 용적 Vv의 백분율로 나타내며, 다음 ...2024.10.01
-
재료공학기초실험2024.10.311. 재료의 물리적 특성 1.1. 밀도 측정 1.1.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재료의 중요한 물리적 특성 중 하나인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다. 즉, 전자 저울과 밀도 측정용 키트를 사용하여 재료의 밀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1.1.2. 실험 방법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 천평 제조회사에서 제공하는 밀도 측정용 키트를 설치한다. 전자 천평의 기설치된 무게 측정용 팬을 제거하고 대신 브라켓을 설치하여 0점 조정을 한다. 이어서 비이커를 올려 놓을 지지대를 ...2024.10.31
-
잔골재 표면수2024.11.241. 잔골재의 표면수 측정 1.1. 시험의 목적 이 시험은 잔골재의 표면수가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혼합용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조정하고 다시 현장배합으로 환산하는 데 필요한 시험으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에 극히 중요한 시험이다. 1.2. 시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 시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료로 자연상태의 잔골재 300 g 이상이 필요하다. 둘째, 칭량 2 kg 이상, 감도 0.5 g 이상의 저울을 사용한다. 셋째, 플라스크(flask)로 차프만 플라스크(Chapman flask)...2024.11.24
-
측정단위2025.05.131. 실험 목적 및 이론 1.1. 액체의 비중과 밀도 관계 이해 비중(Specific gravity)이란 어떤 물질의 질량과, 이것과 같은 부피를 가진 표준물질의 질량과의 비율을 말한다. 비중은 온도와 압력(기체의 경우)에 따라 달라지며, 대부분의 경우 밀도와 같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고체와 액체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4℃의 물을 기준으로 한다. 물의 밀도는 4℃에서 1.000㎏/ℓ이다. 기체는 보통 건조한 공기와 비교하는데, 건조한 공기의 밀도는 표준상태(0℃, 1기압)에서 1.29g/ℓ이다. 예를 들어, 액체 수은의 밀도는...2025.05.13
-
축산가공학 우유 신선도2025.05.101. 서론 우유는 소의 젖샘에서 분비되는 희고 불투명한 액체로 영양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소화와 흡수가 잘되는 음료이자 유제품의 원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젖소는 우유 생산을 목적으로 품종이 개량된 소이며, 갓 분만한 소의 젖인 초유는 성분 조성이 달라 음용이나 가공에 적합하지 않다. 우유는 수분, 지방, 단백질, 유당 및 무기질의 주성분과 비타민, 효소 등의 미량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갖추고 있어 완전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우유는 섭취가 편리하고 가공이 용이하며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2025.05.10
-
흙의 비중실험2025.06.191. 실험 배경 1.1. 흙의 구성 흙은 흙입자와 물, 공기로 구성되어 있다. 흙입자는 입자를 구성하는 광물에 따라 단위 중량이 다르고, 물은 단위 중량이 1g/cm³로 거의 완벽히 파악되어 있으며, 공기는 실질적으로 중량이 없다. 따라서 흙의 구성은 흙입자와 물, 공기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1.2. 비중 흙은 흙입자와 물, 공기로 구성된다. 흙입자의 단위중량은 무게/부피로 표현되는데, 무게는 쉽게 측정할 수 있지만 부피는 측정하기 어렵다. 비중은 흙입자의 단위중량을 증류수의 단위중량으로 나눈 무차원의 값이다. 흙입자의...2025.06.19
-
제과 기초2025.07.191. 제과 기초 1.1. 제과에 필요한 재료 제과에 필요한 재료는 크게 제품의 구조를 강화시키는 재료와 제품을 부드럽게 하는 재료로 구분된다. 첫째, 밀가루, 분유, 난백 등은 오븐에서 제품의 구조를 지탱하거나 구조를 형성하는 재료이다. 또한 호화 현상을 이루어 제품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전분도 이에 속한다. 둘째, 유지, 설탕, 난황, 팽창제와 같은 재료는 구조를 약화시켜 제품에 부드러움을 준다. 한편 수분은 이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밀가루 등과 결합하여 글루텐 형성을 돕고 설탕에 흡수되면서 제품을 부드럽게...2025.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