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4개
-
splint cast 종류2025.02.181. 서론 1.1. 스플린트와 캐스트의 개요 및 특성 스플린트는 근골격계 손상 부위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지지하는 장치이다. 스플린트의 목적은 통증을 최소화하고, 근육, 신경, 혈관의 추가 손상을 예방하며, 출혈과 부종을 경감시키는 것이다. 스플린트는 경성부목과 연성부목으로 나뉘며, 상지와 하지에 다양한 종류가 적용된다. 캐스트는 골절된 골편을 정복된 상태로 유지하고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캐스트의 목적은 균일한 압박으로 변형을 예방하고, 조기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관절염 대상자의 관절구축을 예방하고 손상된...2025.02.18
-
splint cast 종류2025.02.181. 서론 정형외과 분야에서 CAST, SPLINT, 보조기, 견인 장치 등은 환자 치료와 재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AST는 골절 부위를 정복된 상태로 유지하고 고정하며, SPLINT는 근골격계 손상 부위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통증을 최소화하고 추가 손상을 예방한다. 보조기는 신체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로써, 다양한 종류의 보조기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된다. 견인 장치는 골절의 정복과 고정, 근육경련 이완, 관절 구축 예방 등을 위해 활용된다. 이러한 정형외과적 치료 방법들은 각각의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환자의...2025.02.18
-
정형외과 의학용어 약어2025.03.021. 정형외과 의학용어 및 약어 1.1. 구조 및 기능 척추기둥 또는 척추의 구조이다. 경추(C1~C7), 흉추(T1~T12), 요추(L1~L5), 천골, 미골로 구성되며 추간(원)판이 척추체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흉곽은 쇄골, 흉골, 늑골로 이루어져 있다. 상지의 구조로는 척골과 요골이 있으며, 골반은 장골, 좌골, 치골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의 구조로는 대퇴골, 경골, 비골이 있다. 이와 같이 정형외과 분야에서는 신체 각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1.2. 병태생리와 관련된 용어 뼈 관련 용어로는...2025.03.02
-
성인간호학 발목인대파열 수술 사례 연구2025.03.081. 서론 1.1. 발목관절 불안정성의 정의와 원인 발목관절 불안정성이란 발목을 잡아주고 있는 인대가 손상되어 발목관절의 정상운동범위를 넘어서서 관절 낭, 주위인대, 근육에 손상을 입은 상태이다. 발목이 심하게 삐었을 때 파열된 인대가 제대로 회복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손상 초기에 근육통 정도로만 여기고 방치할 경우 인대가 느슨해진 상태에서 아물게 되면 발목 관절에 불안정성이 생긴다. 보통 바깥쪽 복사뼈 밑에 있는 전거비인대와 종비인대가 가장 흔하게 다치게 되어 발목의 바깥쪽 지지력이 약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습관적으로 잘 삐...2025.03.08
-
뇌성마비 케이스2025.03.171. 서론 뇌성마비는 미성숙한 뇌에 발생한 비진행성의 병변으로 인하여 영구적인 운동장애 및 자세 이상 혹은 활동의 제약을 보이는 임상 증후군이다. 전 세계적으로 1,000명당 2명의 빈도로 발생하며, 국내에서도 0.25-0.41%의 빈도로 보고되고 있다. 영유아기는 언어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이 발달한다. 그러나 뇌성마비 아동의 경우 운동장애와 발달지연으로 인해 주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의 포괄적 재활치료와 더불어 원활한 의사소통 증진을 ...2025.03.17
-
뇌성마비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2025.03.291. 문헌고찰 1.1. 정의 뇌성마비는 수태에서 신생아기까지의 사이에 생긴 대뇌의 비진행성 병변으로 인하여 영속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운동 및 지위의 이상이다. 뇌성마비는 운동장애 이외에도 언어장애, 지능장애, 경련, 감각, 지각장애, 행동 이상 등 다양하게 장애를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뇌성마비아는 정신제체나 간질 발작아, 지각장애아, 행동이상아 등과 같고 그 원인은 모두 뇌 기능부전에 있다. 1.2. 병태생리 뇌성마비는 수태에서 신생아기까지의 사이에 생긴 대뇌의 비진행성 병변으로 인하여 영속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운동 및 지위의 ...2025.03.29
-
병동 보조기2025.03.301. 병동 보조기 1.1. 보조기의 정의 보조기의 정의는 인체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를 말하며, 신체기관을 대체하는 경우 의지(의족, 의수)라고 한다. 보조기는 관절고정, 체중부하 방지, 이차적 손상 방지, 통증 경감을 위해 사용된다. 보조기는 크게 경추 보조기, 척추 보조기, 상지 보조기, 하지 보조기로 구분된다. 경추 보조기에는 soft collar brace, thomas collar brace, philadelphia brace가 있으며 경추부 염좌나 경추부 동통, 신경근 압박 시 사용된다. 척추 보조기에는 ...2025.03.30
-
병동 보조기2025.03.301. 병동 보조기 1.1. 보조기의 정의 보조기는 인체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이다. 신체기관을 대체하는 경우 의지(의족, 의수)라고 한다. 보조기는 관절 고정 및 변형 방지, 교정, 체중부하 방지, 이차적 손상 방지, 통증 경감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부목(splint)은 반깁스 적응증인 상처, 부종, 염좌, 통증 등에 단기간 고정을 위해 주로 사용되며, 압박붕대로 조인다. 통기 깁스(cast)는 상처가 치유된 수술 부위의 지속적인 고정이 필요한 경우 장기간 단단한 고정을 위해 사용된다. 1.2. 보조기 사용 목적 ...2025.03.30
-
척추 수술 정의, 적응증 및 간호 방법2025.03.071. 척추 수술의 정의와 적응증 1.1. 척추의 정의와 구조 척추는 사람의 주요 골격을 지지하는 척주를 구성하는 뼈들이다. 성인의 경우 7개의 경추,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 그리고 5개의 천추, 4개의 미추가 각각 하나로 합쳐져 천골과 미골을 형성하여 총 26개로 이루어져 있다. 척추는 골격을 지지하는 기능과 더불어 척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척수는 중추신경계인 뇌와 말초신경계인 말초기관들을 잇는 역할을 하며, 척추는 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척추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디스크라 불리는 척추사이원반(추간판)이 존재한다....2025.03.07
-
성인간호학 저널2024.09.281.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 후 상해 실태 및 상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서론 1.1.1. 연구 필요성 낙상은 병원에서 환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흔한 위해사건으로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입원 환자의 2~30%가 적어도 한번은 낙상을 하고, 30~51% 범위로 상해가 발생한다고 한다. 낙상은 환자의 안전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간호의 질을 평가하는 국제적 질 지표로 사용된다. 영국의 국가 환자안전기구(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NPSA)는 의료기관의 낙상 사고가 환자의 정신...2024.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