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3개
-
특이성면역과 비특이성 면역에 대해 용어정리해줘2024.09.211. 생물의약품의 이해 1.1. 생물의약품의 정의 생물의약품이란 새로운 생물공학방식으로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단백질)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해 제조한 의약품을 의미한다. 생물학적 제제, 유전자 재조합 의약품, 세포 배양 의약품, 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기타 식약청장이 인정하는 제제 등이 이에 속한다. 생물의약품은 합성의약품보다 부작용이 적어 안전성이 높고, 특정 질환에 대한 효과도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이오의약품을 복제한 것을 바이오시밀러 또는 동등생물의약품이라고 한다. 1.2. 하이브리도마 기술 하이...2024.09.21
-
폐렴간호진단(진단적,치료적,교육적2024.09.091. 폐렴의 개요 1.1. 폐렴의 정의 폐렴(pneumonia)은 폐의 작은 기낭(폐포)과 그 주변 조직의 감염이다. 전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인 사망 원인이고 종종 폐렴은 다른 심각한 만성 질병이 있는 환자들에서 사망을 야기하는 마지막 질병이다. 어떤 유형의 폐렴은 예방접종으로 예방할 수도 있다. 미국에서 매년 약 4~5백만 명이 폐렴에 걸리고(코로나19로 인한 폐렴 제외), 이 중 약 55,000명이 사망한다. 미국에서 폐렴(인플루엔자와 함께 발생하는 폐렴을 포함)은 8번째 주요 사망 원인이고, 첫 번째 감염성 사망 원인이다. 폐...2024.09.09
-
영유아예방접종2025.03.231. 서론 1.1. 영유아예방접종의 중요성 영유아예방접종은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질병 예방 수단이다. 21세기에 들어 의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질병들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들이 개발되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경우 질병에 걸리면 심각한 합병증과 후유증을 앓을 수 있으므로 예방접종은 더욱 중요하다. 영유아에게 전염병이 발생하면 순식간에 많은 아이들이 감염될 수 있어 질병 예방을 위해 영유아 예방접종은 필수적이다. 영유아의 해외여행 및 단체생활이 증가하면서 감염병에 노출될 위험도 높아졌기에 예방접종을 통해 건강한 삶...2025.03.23
-
생추어리2025.04.041. 서론 생추어리는 위협받는 야생 동물들을 보호하고 보살피는 곳이다. 환경 파괴로 인해 사라져 가는 자연 속에서 이들 동물들의 안전한 삶의 공간을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곳이다. 이 곳에서 저자인 로라 콜먼은 불법 밀매로 인해 구조된 퓨마 와이라를 만나게 되고, 서로에 대한 깊은 애정과 이해심을 키워나간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자연의 소중함과 동물에 대한 사랑을 전하고자 한다. 또한 환경 파괴와 그로 인한 동물들의 고통에 대해 우리 사회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책은 자연과 동물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변화시키고...2025.04.04
-
원충의정의2024.11.221. 미생물이란? 1.1. 미생물의 정의, 종류, 크기 미생물이란 육안으로 그 존재를 식별할 수 없어 현미경 등을 통해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생물을 말한다. 미생물은 세균(bacterium), 진균(fungus), 원충(protozoa), 바이러스(virus)로 구성된다. 각각의 크기는 원충이 10~100㎛, 진균(효모)이 5~12㎛, 일반 세균이 0.5~10㎛, 바이러스가 20~300nm 정도이다. 특히 세균으로 분류되는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리케차(Rickettsia), 클라미디아(Chlamydia)는 일...2024.11.22
-
미생물요점정리2025.04.131. 미생물요점정리 1.1. 그람양성알균 1.1.1. Staphylococcus aureus 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그람양성알균으로서 포도송이 모양의 배열을 하고 있다. 혈장응고효소(coagulase)를 생성하며, 카탈라제 양성이다. 또한 여러 가지 용혈소(hemolysin)를 분비하여 혈액에 있는 적혈구를 완전히 용해한다. 포도알균의 서식처는 인체의 비강과 피부이며, 농양, 장염, 위장염(식중독)을 일으킨다. 특히 열에 안정한 장독소(enterotoxin)를 생산하여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 ...2025.04.13
-
수지상세포 백신2025.04.081. 서론 1.1. 수지상세포의 개념과 특성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포획하고 항원을 제시하는 기능을 하는 전문적인 면역세포이다. 수지상세포는 그 모양이 신경세포의 가지와 유사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수지상세포는 피부를 포함한 말초 조직에 존재하며, 병원균 침입을 항상 감시하고 있다. 감염 등에 의해 외부에서 유래된 항원을 포획한 수지상세포는 T 세포에 항원을 제시하기 위해 말초 조직을 벗어나 림프기관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포획하기 위해 탐식작용, 수용체 매개 세포내 이입, 그리고 음세포작용의 3가지 방법을 사용...2025.04.08
-
바이러스학2025.04.231. 바이러스학 개요 1.1. 바이러스의 정의와 특성 바이러스는 자신의 대사 활동을 위해 반드시 숙주 세포 내에 기생해야 하는 필연적인 세포 내 기생체이다. 숙주 세포 안에서만 증식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복제할 수 없다. 바이러스 입자인 virion은 형태적으로 온전하고 감염성을 지닌 상태의 바이러스를 의미한다. 바이러스는 항상 해롭지 않으며, 생태학적 항상성에 큰 기여를 하고 우리의 면역체계에 기본적인 자극을 부여하기도 한다. 또한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많이 밝혀냈기 때문에 '분자 유리등'이라고도...2025.04.23
-
녹십자 기업분석2025.07.081. 기업 개요 1.1. 기업 소개 GC녹십자는 1967년 수도미생물약품판매 주식회사로 창립해 1969년 극동제약으로 상호명을 변경한 후, 1971년부터 (주)녹십자라는 상호를 30년 이상 써왔지만, 2018년 1월 (주)녹십자가 GC녹십자로 사명을 변경했다. 새 이름인 GC는 기존 '녹십자(Green Cross)'의 영문 이니셜을 조합한 것이며, 'Great Commitment, Great Challenge, Great Company'의 약어이다. 이에 따라 지주회사인 녹십자홀딩스와 가족사들 국문 명칭은 '녹십자'라는 브랜드 자...2025.07.08
-
동결건조 원리2025.07.121. 서론 동결건조는 많은 물질을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수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술이다. 일반적인 건조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동결건조 기술은 물질을 동결시킨 뒤 감압 하에서 승화를 통해 건조를 수행한다. 동결건조는 열에 민감한 물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부서지기 쉬운 다공성 구조를 만들어 신속하고 완벽한 재수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장비와 에너지 비용이 높고 공정 시간이 긴 단점도 있다. 동결건조는 제품이 불안정하거나 열에 민감할 때, 미세 입자가 필요할 때, 정밀한 충진이 요구될 때,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