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개
-
감염 배뇨장애 중환자실2025.03.261. 감염 배뇨장애 중환자실 1.1. 방광염의 병태생리 방광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방광염은 방광에 염증이 발생된 것으로 그 원인은 자극에 의해 발생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에 의해 감염이 일어나고 감염에 의해 발생한 방광염은 요로감염 중 가장 흔하다. 비감염성 방광염은 방사선이나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간질에 의해 발생한 방광염은 원인불명의 염증질환이다. 감염성 요인으로 발생한 방광염은 세균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다. 감염경로는 대부분 외부 요도를 통해 비뇨기관을 타고 침범을 하는데...2025.03.26
-
성인간호학 수문사 요로2024.09.011. 신장과 요로계의 구조와 기능 1.1. 신장 1.1.1. 신장의 구조 신장은 한 쌍의 후복막장기로서 제12흉추에서 제 3요추에 걸쳐 척추 좌, 우에 위치하는 완두콩모양의 장기이다. 우신이 간 아래에 있어서 좌신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고 있으며, 각 신장의 위에는 부신(adrenal gland)이 있다. 신장의 크기는 길이 12cm, 폭 5~7.5cm, 두께는 약 2.5cm이며, 무게는 115~175g 정도이다. 각 신장주변에는 지방(adipose capsule)과 결합조직(subserosa fascia)이 있어 신장을 지지하고...2024.09.01
-
비뇨기계 윤리적 보고서2024.09.191. 지주막하출혈(SAH) 1.1. 뇌의 구조와 기능 뇌는 크게 대뇌(cerebrum), 간뇌(diencephalon), 뇌간(brainstem), 소뇌(cerebellum)로 구분되며 두개골 안에 들어있다. 대뇌는 뇌 전체 무게의 80%를 차지하며 좌, 우 두 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고 회백질과 백질로 구분된다. 회백질은 뇌의 외층인 피질을 형성하고 백질은 뇌의 내층인 수질부분으로 신경흥분을 전달하는 통로가 된다. 대뇌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두엽은 수의운동을 관장하며, 전 전두영역에서는 인...2024.09.19
-
성인간호학요로계2024.10.051. 요로계 해부와 생리 1.1. 상부 요로계 1.1.1. 콩팥 콩팥은 누운 자세에서 열둘째등뼈와 셋째허리뼈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른쪽 콩팥은 간의 위치 때문에 왼쪽 콩팥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해 있다. 콩팥은 겉질(피질), 속질(수질), 콩팥깔대기(신우)의 3개의 중요한 부분으로 구분된다. 겉질은 섬유피막 바로 밑에 있으며, 속질에는 집합관이 모여 만든 8~18개의 콩팥피라밋이 있다. 콩팥꼭지는 10~25개의 개구부를 통해 작은콩팥잔과 큰콩팥잔을 거쳐 콩팥깔대기로 소변을 배출한다. 콩팥깔대기는 콩팥문을 통과한 후 요관의 ...2024.10.05
-
foly 카테터 감염위험성2024.10.101. 배뇨의 생리 1.1.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1.1.1. 구조 비뇨기계는 콩팥(신장)과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된다. 콩팥은 소변을 만들어내는 기관으로 배뇨작용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요관은 콩팥에서 만들어진 소변을 방광으로 이동시키는 통로이다. 방광은 소변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관이며, 요도는 방광에서 체외로 소변을 배출시키는 통로이다. 전체적으로 콩팥에서 생성된 소변이 요관, 방광, 요도를 거쳐 체외로 배출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은 배뇨작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2024.10.10
-
인체구조와기능 소화 내분비 비뇨 정리2024.12.171. 소화계통 1.1. 소화계통의 기능 소화계통은 인체에 이용될 수 있는 형태로 영양소를 분해하고 흡수하여 조직으로 재분배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소화계통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섭취(ingestion)를 통해 선택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한다. 둘째, 소화(digestion)를 통해 음식물을 화학적·기계적으로 분해한다. 셋째, 흡수(absorption)를 통해 혈액 또는 림프 내로 영양소 분자를 흡수한다. 넷째, 압축(compaction)을 통해 대변으로 통합한다. 다섯째, 배변(defecation)을 통해 대변을 ...2024.12.17
-
기본간호학 상처 욕창 배뇨 배변 대비2024.10.151. 상처와 욕창 1.1. 상처의 유형 1.1.1. 자상 자상은 날카로운 물건에 의해 생긴 상처로, 피부와 피하 조직이 절개되는 손상이다. 자상은 절단면이 정상적이고 깨끗하며 출혈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상의 경우 혈관, 신경, 건 등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치료 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오염된 물체에 의한 자상은 감염 위험이 높아 상처 세척과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다. 자상의 치료는 출혈 지혈, 감염 예방, 기능 회복을 목적으로 하며, 봉합술이나 드레싱 등의 처치가 이루어진다. 자상은 상처 치유 과정에서 염증기-증식기-성숙...2024.10.15
-
성인 비뇨기계 선행2025.04.291. 서론 1.1.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의 정의 및 유병률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은 요로의 광범위한 세균성 감염으로 요도(요도염), 혹은 방광(방광염), 신장(신우신염)이 포함될 수 있다. 어린 아동에서는 대체로 감염이 하부요로(요도와 방광)에만 있는지 또는 상부요로(요관과 신장)까지 전파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신생아기에 UTI는 남아에게 빈번히 발병하는데, 그 이유는 남아는 여아보다 해부학적 기형의 빈도가 훨씬 더 높기 때문이다. 요로감염은 남아...2025.04.29
-
성인 요로감염 간호와 예방2025.05.261. 요로감염 이란? 요로감염이란 신장, 요로와 같은 상부요로나 방광 요관과 같은 하부요로에서 세균이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한다. 요로감염은 7%의 영아와 아동에서 발병하는 아동기에서 흔한 질환이며, 포경수술 받지 않은 3개월 미만 남아와 12개월 이하의 여아는 요로감염의 발생률이 가장 높다. 요로감염의 감염 유형은 감염에 따른 분류와 해부학적, 기능적, 기저질환 이상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 2. 요로감염 발생원인 대장균이 가장 흔한 병원균이며, 여아의 발병율이 83%로 남아 50%보다 높다. 그람음성세균으로는 p...2025.05.26
-
BPH2025.05.271. 전립선비대증 (BPH)의 개요 1.1. 전립선의 해부학적 위치 전립선의 해부학적 위치는 방광 바로 아래 부위에 위치하며 요도를 감싸고 있는 모습으로 존재한다. 뒤쪽으로는 직장이 있으며 앞쪽으로는 치골이 위치한다. [] 1.2. 전립선의 구획 전립선은 흔히 4가지 구역으로 나뉘는데, 중심구역(Central Zone), 이행구역(Transition Zone), 말초구역(Peripheral Zone), 전섬유근육기질(Anterior Fibromuscular Stroma)이다. 양성전립선비대는 이행구역(Transition Zone)...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