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5개
-
문화재청2024.10.221. 문화재와 문화재 지정 1.1. 문화재 개념 및 중요성 문화재는 자연적, 인위적으로 형성된 민족적, 국가적, 세계적 유산으로서 예술적, 역사적 혹은 경관적,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을 의미한다. 문화재는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계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첫째, 문화재는 과거로부터 전해져 온 문화유산으로서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나 인물과 관련된 문화재는 그 나라와 민족의 내력을 드러내며, 이를 통해 국민들의 자부심과 애국심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문화재는 후대에 전승되어야 ...2024.10.22
-
아산 외암민속마을 답사2024.11.251. 아산 문화관광지 답사 1.1. 온주아문 및 동헌 온주아문은 조선 후기의 관아 건물로 충남 유형문화재 제16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계 팔작지붕 건물이며, 동헌은 정면 6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이 두 건물은 1871년에 세워졌는데, 동헌은 여러 차례 변형을 거쳤다고 한다. '온주아문'이라는 현판은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온양군의 이름이 온주였던 것을 따서 붙인 것으로 보인다. 아문은 아래층은 통로로 사용하고 위층은 올라가지 못하게 막혀있었다. 1.5m 높이의 사각뿔 모양 ...2024.11.25
-
순천만국가정원 시설물2025.05.081. 서론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도심을 벗어나 자연 속에서 휴식과 힐링을 취하고자 하는 도시민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자연환경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자연을 관찰하고 체험하며 교육·문화적 정보를 습득하고자 하는 시민들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춰 녹색관광(green tourism), 생태관광(ecotourism) 등이 주목받고 있으나, 일반인들에게는 산지나 습지 같은 특수한 자연환경이 먼저 떠오르면서 심리적 거리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국가정원 및 도심 속...2025.05.08
-
석보상절 권242024.10.221. 석보상절 1.1. 석보상절의 편찬경위와 배경 석보상절은 세종이 세종 28년(1446) 3월에 죽은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당시 수양대군이던 세조에게 명하여 편찬한 석가의 일대기이다. 현전 월인석보(권1)의 권두에 있는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서'와 그가 후에 왕위에 오른 뒤에 쓴 '어제월인석보서'에 그 동기가 명시되어 있다. 이들 서문의 다음 구절에 잘 드러나 있다. "세종의 말처럼 돌아간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한 방법으로 '독경'만한 것이 없으므로 석보를 만들어 번역함으로써 한문을 모르더라도 많은 사...2024.10.22
-
13세기 고려청자 분석2025.06.141. 13세기 고려청자 분석 1.1. 우리 문화재에 대한 공감 부족 우리 문화재에 대한 공감 부족이다. 윗 문장은 이번 DDP에서 열린 간송문화전에서 내걸고 있는 말로, 자부심이 느껴지는 이 말과 같이 12점의 국보와 8점의 보물이 전시되어 있다고 하였고, 도슨트를 들을 때도 국보로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말을 들었다. 그만큼 우리에게 귀중하고 우수한 문화재들을 전시하는데 과연 이 전시로 우리나라에서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우리 문화재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을까. 또한 우리 국민들도 진심으로 문화적 자긍심을 얻고...202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