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미숙아 및 신생아 무호흡2024.08.261. 신생아 질환 1.1. 구순열(Cleft lip)과 구개파열(Cleft palate) 구순열(Cleft lip)과 구개파열(Cleft palate)은 신생아에게 가장 흔한 선천성 기형 중 하나이다. 구순열은 입술의 붉은 부분에 가벼운 패임(절흔)이 있는 형태에서부터 콧구멍 안까지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경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구개파열은 경구개와 연구개에 발생할 수 있으며, 구순열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을 수 있다. 구순열과 구개파열의 발생 빈도는 700명 출생 당 1명 수준이며, 동양인에서 가장 높고 백인, 흑인 순으...2024.08.26
-
나숨차님 시나리오2024.10.181. 미숙아 무호흡 간호 1.1. 미숙아 특성 미숙아는 대표적으로 재태주령(Gestational age) 37주 미만으로 태어난 신생아를 의미한다. 미숙아는 재태주령에 따라 세분화되는데, 조산아(Preterm Infant)는 재태주령 32주 미만, 극소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Infant)는 1.5kg 미만, 초극소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는 1kg 미만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일반 신생아에 비해 신체발달 및 생리기능이 미숙하여 다양...2024.10.18
-
미숙아 검사결과2024.09.211. 미숙아의 개요 1.1. 미숙아의 정의 미숙아는 출생체중에 관계없이 재태기간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를 말한다. 출생 시 체중이 2500g 이하인 저출생 체중아의 2/3가 미숙아이다. 미숙아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집중적인 치료와 간호가 필요한데, 이는 모체에서 충분히 자라지 않은 채 태어났기 때문에 아기 스스로 내외적인 환경에 적응하고 조절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미숙아는 심각한 선천성 기형과 같은 위험요인도 흔히 나타나며,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다. 1.2. 미숙아의 특징 미숙아는 만삭아와 달리 임신말기 마지...2024.09.21
-
심실세동 케이스 사례2024.11.191. 심실세동 1.1. 정의 심실세동이란 심실 벽의 여러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실이 단지 떨고 있는 전기적인 극도의 흥분 상태이다. 심박출량이 없으므로 맥박도 촉진할 수 없으며 호흡도 멈추고 의식도 없는 임상적으로 사망단계라고 할 수 있다. 3-5분 내에 즉각적인 응급치료로 효과적인 심실수축이 회복되지 않으면 뇌와 심장 등의 비가역성 변화로 사망하게 된다. 심전도상 P파는 볼 수 없으며 PR간격, QRS복합과 T파를 감별할 수 없는 불규칙한 세동파(300~600회/분)가 반복된다. 1.2. 원인 심실세동의 주요 원인은 급성 심근경...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