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1개
-
수술실 난소낭종 간호진단2024.11.101. 서론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여성의 난소는 조직학적으로 다양한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난소에 저장되어 있는 난자는 과정을 거쳐 성숙한 난포세포로 분화하게 된다. 여성의 난소에서는 세포의 많은 분화가 시시각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모두 정상적인 성숙한 난포세포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 이러한 과정 중 다양한 종양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여성질환 중 흔한 난소낭종으로 진행된다. 실습 기간 동안 참관했던 수술은 여성의 회음부터 난소까지 다양하게 생기는 신생물들을 제거하는 수술이 흔했고, 그 중 난소의 신생물은 그 종...2024.11.10
-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의식2024.09.051. 수술실 간호 1.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1.1.1. 소독간호사(Scrub nurse) 소독간호사(Scrub nurse)는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물품과 수술기구를 준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독간호사는 손소독을 하고 무균적으로 가운을 입고 장갑을 착용하여 수술부위를 제외하고 소독포로 덮는 것을 돕습니다. 수술과정 동안 무균술을 엄격히 지키며, 외과의에게 필요한 기구를 제공합니다. 또한 수술과정 동안 사용된 거즈와 바늘, 기구의 수를 순환간호사와 함께 정...2024.09.05
-
수술 중 환자관리2024.10.291. 수술 간호 1.1. 수술 전 간호 1.1.1. 수술 전 간호의 목적 수술 전 간호의 목적은 환자의 심리적 안정과 신체적 준비를 도와 수술 성공률을 높이고 합병증 위험을 줄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수술 전 간호는 환자의 전신 상태와 위험 요인을 사정하여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측하고 대비한다. 혈액검사와 영상검사를 통해 환자의 신체 상태를 확인하고, 약물 알레르기나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안전한 수술을 준비한다. 또한 수술 과정에 대한 설명과 불안 및 우울 평가를 통해 환자의 심리적 지지를 제공한다. 이와 더...2024.10.29
-
감염관리지침2025.05.111. 감염관리지침 1.1. 국립마산병원의 감염관리 지침 및 교육 국립마산병원은 의료관련 감염 예방 및 관리를 위해 감염관리 지침과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우선 신규 전입 및 직원 채용 시 결핵 등 감염병 검사를 실시하여 환자와 직원의 감염 위험을 낮추고 있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직원의 건강 상태와 질병을 관리하며, 환경에 따른 근무지 이동을 권장하여 감염 노출을 최소화한다. 병원 내 모든 직원은 근무 시작 전후 반드시 손 씻기를 수행하고, N95 마스크 착용 훈련인 Mask fitting test를 받아야 한다. ...2025.05.11
-
L-tube 간호2025.05.071. L-tube 간호 1.1. 배액의 목적과 중요성 배액은 간호 분야, 특히 상처 관리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배액의 목적은 감염을 예방하고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몸에서 과도한 수분이나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감염이나 기타 합병증의 위험이 높은 경우, 배액은 수술 후 관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1.2. 배액 방법의 이해 배액은 신체 내 과도한 수분이나 노폐물을 제거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치유를 촉진하는 중요한 간호 행위이다. 배액 방법은 배출해야 할 체액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달리 적용된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2025.05.07
-
laparnscopic rt hemicolectomy 수술기구2025.06.031. 서론 대장암은 대장 내에 생성된 악성 종양을 의미하며, 결장암과 직장암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대장암은 전 세계적으로 세 번째로 흔한 암 종류이며, 발병률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 대장암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된 요인으로는 연령, 식이 요인, 운동 부족, 비만, 유전적 요인 등이 알려져 있다. 대장암은 초기에 무증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대장 내시경 검사가 대장암 예방에 중요하다. 대장암의 치료에는 수술, 항암 화학요...2025.06.03
-
감염관리지침서2025.06.081. 감염관리 프로그램 및 감염관리위원회 1.1. 감염관리 체계 0000 병원은 환자, 방문객, 직원의 의료기관 내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전파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염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위해 의료 관련 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에 대한 자체 규정을 제정하고 개정한다. 감염관리위원회의 활동과 감염관리실의 업무를 통해 의료 관련 감염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연간계획을 수립, 시행, 평가한다. 매년 위험도 사정을 통해 감염 전파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업무 계획과...2025.06.08
-
감염관리 격리지침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2025.04.161. 감염관리와 격리지침 1.1. 감염관리 감염관리는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되는 중요한 관리 체계이다. 의료관련감염이란 환자가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한 감염증을 의미하며, 주로 입원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의료관련감염은 환자와 의료 종사자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감염관리의 목적은 감염 위험 요인을 찾아내어 감소시켜 의료관련감염을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는 의료법 개정을 통해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시스템 구축을 의무화하고 있다. 의료법에 따르면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2025.04.16
-
배액관관리2025.04.171. 배액관의 개요 1.1. 배액의 정의와 목적 배액이란 수술 후 부종이나 통증, 감염 등을 일으키는 혈액, 혈장, 조직의 조각들을 환부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회복에 불필요한 혈장, 핏물, 복수 등의 체액을 제거하여 체액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액된 체액을 관찰하고 상처치유를 증진시키기 위해 시행한다. 배액관이 없으면 어떤 상처는 겉은 치유되지만 안에는 분비물이 고여 농양이 형성될 수 있다. 배액은 수술 후 회복에 필요한 조치이며, 체액 제거와 상처 관찰 및 치유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1.2. 배액관의 종류 배액관의 종류...2025.04.17
-
요로감염-소변백 관리하는 방법2025.04.211. 요로감염 관리 1.1. 요로감염 발생 현황 요로감염은 입원한 성인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의료 관련 감염이다.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는 경우 세균뇨가 발생할 위험은 매일 3%~10% 정도 증가하며, 30일 이후에는 100%에 이른다. 유치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 시 유병률, 입원 기간 및 의료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과 다제내성균 전파의 위험이 있다. 00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평균 재원 일수는 약 11.7일로, 수술 후 거동의 불편함으로 인해 유치 도뇨관을 적용하고 있다. 000병원 00병동 내...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