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1개
-
병리학 노인성질환2024.11.171. 노화 1.1. 노화의 정의 1.1.1. 일반적 정의 일반적으로 노화는 인간이 태어나서 성숙기에 이르고 나면 모든 기능이 저하되고 세월이 흐름에 따라 일어나는 신체의 모든 생리적 변화를 의미한다. 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반드시 발생하는 내재적이고 불가피한 자연현상이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세포수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신체 기관의 구성과 기능이 점차 저하되며, 인체의 항상성 유지 능력이 감소하여 질병에 취약해지게 된다. 결국 신체 전반에 걸쳐 기능이 저하되고 합병증이 발생하여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되는 필연적인 과정이라고 ...2024.11.17
-
면역학2024.08.291. 면역 개요 1.1. 면역의 정의 면역(immunity)이란 한 번 감염증에 걸리면, 같은 감염증에 두 번 다시 걸리지 않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하여 외부에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고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이다. 즉, 면역은 생체가 가지고 있는 저항성(방어기전)으로, 체내에 침입한 비자기를 이물질로 인식하고 이를 배제하여 생체를 보호하는 작용이다. 면역계는 면역성을 획득하는 데 관여하는 조직을 말하며, 면역반응은 면역계에 의해 일어나는 특이적 및 비특이적 반응을 뜻한...2024.08.29
-
간호 미생물학2025.03.281. 간호 미생물학의 소개 1.1. 병원성 미생물의 역사적 사건 미생물학의 발전 과정에서 병원성 미생물에 관한 역사적 사건들이 있다. 네덜란드의 생물학자 레벤후크가 1674년 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동물(animalcules)을 최초로 관찰하였다. 이는 미생물 발견의 시작이었다. 이후 독일의 박테리올로그 로버트 코흐는 1870년대에 세균이 질병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그는 '코흐의 4대 원칙'을 통해 특정 세균이 특정 질병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로써 감염병의 원인체로서 미생물의 중요성이 확립되었다. 한편 ...2025.03.28
-
병리학심혈관게질병2025.03.241. 병리학의 개요 1.1. 병리학의 정의 병리학은 우리 인간의 질병에 대한 본질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로,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리학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로 질병(pathos)과 학문(logos)을 나타내는 말의 합성어로, 질병의 발생 원리를 밝히기 위한 의학의 가장 기초 분야이다. 병리학은 인체병리학과 실험병리학으로 나뉘는데, 인체병리학은 생검이나 수술 중 진단 등의 병리학적 진단과 사망환자의 병리해부를 기초로 하고 있다. 한편 실험병리학은 인체에서 검체재료를 얻을 수가 없어 동물이나 배양세포...2025.03.24
-
병리학 요점정리2025.03.221. 병리학 개요 1.1. 병리학의 정의와 분류 병리학은 인간의 질병에 대한 본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리학은 인체병리학, 실험병리학으로 분류된다. 인체병리학은 병의 원인, 병의 상태, 치료 효과, 사망 원인 등을 규명하기 위해 부검재료, 인체 조직의 생검재료 및 수술 적출물, 탈락세포 등을 병리 형태학적으로 밝히는 분야이다. 실험병리학은 동물이나 배양세포를 재료로 하여 질병을 연구한다. 병리학은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탐구하는 병인학이 중요한 분야이며, 질병의 발생 기전과 형태학적 변화를 규명한다. 병의 분류는 선천적/후천적,...2025.03.22
-
아동간호학 성인과 아동의 생리학적 차이2025.03.291. 성인과 아동의 생리학적 차이 1.1. 고위험 신생아 개요 및 분류 고위험 신생아란 재태 연령이나 출생 시 체중에 관계없이 자궁 밖의 생활에 적응하기 어렵거나 출생과 관련된 문제로 사망률이나 이환율이 평균 이상인 신생아를 의미한다. 고위험 신생아는 출생체중에 따라 저출생 체중아, 극소저출생 체중아, 초극소저출생 체중아로 분류되며, 재태기간에 따라 미숙아, 만숙아, 과숙아로 나뉜다. 또한 자궁 내 성장에 따라 재태기간에 비해 작은 체중아, 재태기간에 비해 큰 체중아로 구분된다. 고위험 신생아와 만삭아를 비교하면, 고위험 신생아는...2025.03.29
-
길랭바레2025.04.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은 말초신경계의 염증성 질환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질환은 주로 상기도 감염이나 위장관계 질환 등이 선행되어 나타나며, 예방접종이나 수술 후에도 발병할 수 있다. 급성 전신성 마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0만 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하고 성인에서 발병률이 높다. 따라서 길랑-바레 증후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길랑-바레 증후군에 대해 정의, ...2025.04.07
-
면역혈청2025.04.061. 면역혈청의 이해 1.1. 면역계의 구성 요소 인체의 면역계는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림프구는 면역계의 핵심 세포로, 전체 림프구 중 B 림프구가 약 30%, T 림프구가 약 70%를 차지한다. B 림프구는 골수에서 성숙하며 체액성 면역반응을 담당하고, T 림프구는 흉선에서 성숙하여 세포성 면역반응을 담당한다. 림프구 외에도 단핵구, 식세포,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등 다양한 면역 세포가 면역계를 구성한다. 이러한 면역 세포들은 자신의 수용체를 통해 항원을 인식하고 반응한다. B 림프구는 세포 표면에 항원 수...2025.04.06
-
숙주방어기전과 방어2025.03.061. 서론 감염과 발증을 일으키는 능력을 미생물 측면에서 보면 병원성으로 표현되지만, 숙주 측면에서 보면 감수성으로 표현된다. 감수성은 숙주의 정신적, 육체적 피로, 영양 부족, 순환 장애, 알코올 중독 등 여러 가지 생리적 조건에 따라 변동된다. 이 외에도 유전 배경, 성별, 연령 등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정상적인 생체는 병원체가 조직 내로 침입하는데 저항성 또는 숙주 방어기전을 나타낸다. 2. 숙주 방어기전 2.1. 비특이적 숙주 방어기전 2.1.1. 물리적 방어 기구 피부는 두꺼울 뿐만 아니라 피부 분비물을 살균작용을 함으...2025.03.06
-
면역과 신체반응2025.01.241. 면역과 신체반응 1.1. 면역의 개념과 기능 면역은 인체의 자기보호 능력이다. 인체는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의 이물질을 구분하고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러한 이물질을 '비자기'라 하며, 인체 자신의 세포와 구별된다. 면역계는 이러한 '비자기'를 인식하고 공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면역 기능은 크게 세 가지 방어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방어선은 신체의 물리적 장벽인 피부와 점막이다. 이는 화학적, 기계적 장벽 역할을 하여 외부 물질의 침입을 막는다. 두 번째 방어선은 체내 화학...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