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3개
-
나사고정제거술2025.03.121. 나사고정제거술 1.1. 수술실 사례 연구 골절은 뼈가 부러진 상태로 대부분의 골절은 낙상, 자동차 사고 등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발생하지만, 종양이나 골다공증 등 골조직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정상적인 활동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골절은 골절부위의 피부 외층에 손상이 없으면 폐쇄성골절이라 하며, 골절부위가 피부 밖으로 돌출하여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된 상태이면 개방성 골절이라고 한다. 골절치료의 목표는 최대한의 정상형태와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다. 치료방법으로는 뼈의 원래 위치로 골절편을 접근시켜 환원하는 교정(reducti...2025.03.12
-
담낭절제술 수술과정2025.03.171. 서론 1.1. 담낭절제술의 정의와 목적 담낭절제술은 담낭에서 발생하는 여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담낭을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수술의 주된 목적은 증상이 있는 담석증, 담낭염 등의 담낭 질환을 해결하는 것이다. 담낭은 담즙의 저장 및 농축 기능을 하는데, 담석이나 종양 등의 발생으로 인한 담도폐쇄, 담낭염, 담낭 용종 등의 담낭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담낭 질환의 경우 약물치료나 경피적 처치로는 근본적 치료가 어려우므로 담낭절제술이 근본적인 치료법이 된다. 따라서 담낭절제술은 담낭 질환으로 인한 증상을 해소하...2025.03.17
-
수술실 검체관리2025.03.181. 수술실 검체관리 1.1. 검체관리의 정의 및 중요성 검체관리는 수술 중 발생한 병리학적, 미생물학적 또는 육안적 검사를 위한 조직, 혈액, 체액, 제거한 이물질 등의 검체를 확인, 수집, 취급, 보관, 이송 등의 과정을 관리하는 것이다. 검체관리는 정확한 의료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잘못된 검체 관리는 오진과 부적절한 치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체 관리의 각 단계에서 체계적이고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검체 관리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의료진 간 효과적인 의사소...2025.03.18
-
산욕부 건강사정 케이스2025.03.301. 서론 제왕절개분만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 술법이다. 근래 제왕절개분만이 늘어나는 이유는 태아전자감시기의 확산 및 분만 중의 태아안녕에 대한 관심 증가, 마취 및 외과적 간호의 안전성 증가, 반복 수술의 증가, 고령산모의 비율 증가 등이다. 산부와 태아의 안녕이 위협받을 때와 이러한 위협이 분만지연으로 고조될 때, 질분만이 산부나 태아에게 위험이 있을 때 태아를 신속히 만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왕절개분만은 부모역할 적응에 영향을 주고 질식분만에 비해 모성사망률이 2~4배 높으며 이환율이...2025.03.30
-
desflurane sevoflurane2025.01.07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마취란 수술할 때 환자의 아픔을 없애기 위해 약물이나 침술을 사용하여 감각을 일시적으로 줄어들거나 없어지게 하는 것이다.""마취에서 "an(아니다, 없다)"와 "aesthesis(감각)"가 합쳐진 어원에서 알 수 있듯이, 마취는 환자의 감각을 차단하여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이를 통해 환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마취의사와 의료진은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효과적인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1.2. 마취의 종류 1.2.1. 전신마취 전...2025.01.07
-
desflurane sevoflurane2025.01.071. 마취의 개요 1.1. 마취의 정의 마취는 "an(아니다, 없다)+asithesis(감각)"의 뜻을 가지며, 수술할 때 환자의 아픔을 없애기 위해 약물이나 침들을 사용하여 전신이나 국소의 감각을 일시적으로 줄어들거나 없어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마취는 수술 중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일시적으로 제거하여 수술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행위이다."" 1.2. 마취의 종류 1.2.1. 전신마취 1.2.1.1. 흡입마취 흡입마취는 가스나 액체 마취제를 기체로 만들어 마스크와 기관내관(endotracheal tub...2025.01.07
-
desflurane sevoflurane2025.01.071. 마취의 정의와 종류 1.1. 마취의 정의 마취(Anesthesia)란 an(아니다, 없다)과 asithesis(감각)의 합성어로, 수술할 때 환자의 아픔을 없애기 위해 약물이나 침을 사용하여 전신이나 국소의 감각을 일시적으로 줄어들거나 없어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마취는 의식, 감각, 기억 등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환자가 통증 없이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행위이다. 1.2. 마취의 종류 1.2.1. 전신마취 1.2.1.1. 흡입마취 흡입마취는 가스나 액체 마취제를 기체로 만들어 폐로 투여하여 전신마취 효과...2025.01.07
-
간호실습에서의 간호수행 종류 및 보고서2024.09.021. 서론 수술실에 처음 배정받았을 때 사실 특수복 외투도 없이 반팔로 다녀야 한다는 생각에 추울 것이라는 걱정만 했지만, 수술실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그렇게 작거나 좁지 않았다. 여러 수술/마취 과정들을 보고, 회복실에서 간호학생으로서 할 수 있는 회복을 돕는 간호를 수행하며 아무것도 몰랐던 예전의 나와 비교할 수 있었음에 행복했고, 세척실에서 여러 도구들을 가까이서 관찰하고 선생님께서 설명도 잘 해주셔서 기구에 대한 공부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수술실은 팀워크가 굉장히 잘 되어 있고 분위기도 좋다고 느꼈기 때문에 실습하...2024.09.02
-
부비동염 case study2024.09.011. 서론 부비동은 비강에 인접해 있는 뼈 속 공간으로 전두동, 사골동, 접형동, 상악동으로 구분된다. 이 네 개의 부비동은 작은 관을 통해 코 속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부비동은 머리 무게를 가볍게 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과 분비물을 배설하며 호흡을 통해 들어온 공기를 적정한 온도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코 속이 건조하지 않게 하며, 소리를 낼 때 공명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부비동염(Sinusitis)은 이러한 부비동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심각한 장애는 아니나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도 ...2024.09.01
-
제왕절개와 관련된 통증2024.08.171. 서론 1.1. 제왕절개의 정의 및 현황 제왕절개는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외과적 수술법이다. 제왕절개수술은 마취 후유증과 감염 및 출혈의 위험성이 있으며, 입원기간이 자연분만보다 2~3일 더 길고, 분만 후 일상으로 돌아가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또한 최근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가 자연분만으로 태어난 아기보다 면역력이 떨어지고 알레르기 위험도 5배 많고, 비만 위험도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우리나라 제왕절개분만율은 2015년 39.6%, 2017년 45.0%(국가통계포털)로 WHO 권고 수준보...2024.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