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개
-
TKA case2025.04.081. 진단명과 수술명 퇴행성 관절염(osteoarthritis, OA)으로 진단되어 양측 무릎에 대해 총 무릎관절 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을 시행하였다. 수술명은 TKA이다.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인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국소 변형으로 시작하여 점차 퇴행성 변화를 보이며, 연골하골의 비대와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연령, 유전, 외상, 비만 등과 연관된다. 주로 체중부하관절인 고관절, 무릎관절에 발생한다. TKA는 무릎관절...2025.04.08
-
제왕절개 요정체2025.04.261. 제왕절개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35~40% 수준으로 매우 높다. 이는 여성의 사회진출과 지위 향상에 따른 결혼 및 출산 연령 증가, 난임부의 증가, 다태 임신의 증가 등에 기인한다. 또한 유도분만 실패로 인한 제왕절개 증가도 주된 요인이다. 유도분만은 전체 임신의 약 20%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연 임신, 조기 양막파열, 태아발육제한, 고혈압, 당뇨 등의 산모와 태아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유도분만 시 프로스타글란딘이나 옥시토신 등의 약물 투여로 자궁 ...2025.04.26
-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주요 약물 에 관한 조사후 대상자 에게 교육 할내용 첨가함2025.04.071. 서론 1.1.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주요 약물의 이해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주요 약물로는 항갑상선제, 마취제, 진통제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고유한 기전과 작용을 통해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항갑상선제는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하여 심박출량과 말초혈관 저항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춘다. 마취제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혈압과 심박수를 감소시키며, 진통제는 통증 경감을 통해 스트레스 반응을 억제하여 심혈관계 반응을 조절한다. 이러한 약물들은 적절한 투여와 관리를 통해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활용된다. 이에 ...2025.04.07
-
치과약리학2025.04.22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치과약리학은 치과 진료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들의 약리학적 작용 기전, 부작용, 상호작용 등을 다루는 중요한 학문 분야이다. 근래 SNS를 통한 외모 과시 문화가 확산되면서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같은 섭식장애 환자가 크게 늘어났다. 이런 환자들은 구토로 인해 치아우식증의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어, 치과약리학 관점에서 이들 환자의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과약리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지식을 정립하고,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의 치과적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2025.04.22
-
C57BL/62025.05.121. C57BL/6 쥐를 이용한 실험 1.1. 초록 인간과 뇌 구조가 유사한 C57BL/6 쥐(마우스)의 뇌 특정 부위에 염색약을 주입하는 Stereotaxic injection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목적은 뇌 입체 해부도를 기반으로 쥐의 뇌 특정 부위를 정확히 염색하는 것이다. 실험에서는 쥐의 해마를 염색하기 위해 두개골의 Bregma와 Lambda 지점을 기준으로 (-2.0, -1.95, -2.0) 좌표에 염색약을 주입하였다. 그러나 실제 염색 결과는 목표 부위인 해마가 아닌 다소 다른 부위에서 확인되었다. 이는 실험체마다...2025.05.12
-
수술실 간호사2025.07.24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1.1. 소독간호사(Scrub Nurse)의 역할 1.1.1. 수술 준비 수술 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수술에 사용된 기구, 거즈 등을 준비한다. 마스크를 착용하여 외과적 손씻기를 한 뒤 소독된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수술 시 사용할 기구를 수술 준비대에 정리하고 거즈와 바늘, 기구들을 count한다. 봉합사는 수술 부위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준비한다. 수술 시 사용할 거즈를 순환간호사와 함께 세어 숫자를 확인한다. 수술 의료팀의 가운과 장갑 착용을 돕는다. tube는 소독되고 의료팀이...2025.07.24
-
마취과 약물2024.09.101. 마취에 사용되는 약물 1.1. 흡입마취제 흡입마취제는 폐를 통하여 혈액으로 잘 용해되어 신속하게 작용하며 마취 유도 및 유지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주요 흡입마취제로는 세보플루란, 데스플루란, 아산화질소 등이 있다. 세보플루란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낮은 용해도로 인해 빠른 마취 유도 및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혈압과 호흡기계 억제를 동반한 심폐 기능 억제, 오심 및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마취의 회복이 빠르므로 통증 사정과 관리가 필요하다. 데스플루란은 또 다른 할로겐화 마취가스로, 외상...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