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0개
-
보건의료정보관리사2024.11.021. 간호정보학 개요 1.1. 간호정보학의 정의 간호정보학은 간호과학, 컴퓨터과학, 정보과학을 통합한 전문분야로 간호학의 한 분야이자 보건의료정보학의 한 분야이다. 1989년 Graves와 Cororan이 처음으로 "간호실무와 간호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간호 데이터, 정보 및 지식을 관리하고 처리하는 간호과학, 정보과학, 컴퓨터 과학을 결합한 학문"이라고 정의한 이후 여러 학자와 단체들에 의해 조금씩 다르게 정의되어 왔다. 2002년 미국간호협회에서는 간호정보학을 "간호실무에서 데이터, 정보, 지식 및 지혜를 관리하고 전달하기 ...2024.11.02
-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이해2024.09.051. 디지털 헬스케어 개요 1.1.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 디지털 헬스케어란 의료와 ICT가 융합된 산업과 기술로 의료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의료와 ICT가 융합해 개인의 건강과 질병을 관리하는 산업 및 기술이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처음 언급된 새로운 산업 시대의 대표 용어로써, 정보화 시대가 열리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기술인 인공지능, IoT(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 그리고 클라...2024.09.05
-
빅데이터의 개념과 주요기술2024.08.201. 서론 1.1. 빅데이터의 개념과 중요성 빅데이터의 개념과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빅데이터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2020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생성되고 소비된 데이터의 양은 59ZB에 달하며, 이는 하루로 환산하면 1,616억GB에 해당하는 양이다. 가트너가 제시한 빅데이터의 특성으로는 대규모의 크기를 일컫는 볼륨과 비표준 형식의 광범위한 범위인 다양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특성인 속도 등이 있다. 단순히 데이터를 모으기만 한다면 아무런 가치를 만들어낼 수 없으며, 목적에...2024.08.20
-
보건의료정보관리사2024.10.201. 보건의료정보학과 간호정보학의 발전 1.1. 보건의료분야 정보화의 역사 보건의료분야 정보화의 역사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보건의료분야에서의 컴퓨터 활용은 1970년대 병원보험청구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재무 및 원무관리에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 1989년 전국민 의료보험제도가 도입되면서 컴퓨터는 보건의료기관에서 의료보험청구 업무에 필수품이 되었다. 보건의료전문직들이 환자 진료에 컴퓨터를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등장한 처방전달시스템의 경우 3차 의료기관의 100%, 종합병원의 84.2%, 의원의 66.9%가 사...2024.10.20
-
ADsP, ADP 데이터 분석 전문가 가이드 정리2025.02.161. 데이터의 이해 1.1.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는 객관적 사실과 추론, 예측, 추정을 위한 근거이다. 데이터의 의미는 과거에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이었지만, 현재는 기술적이고 사실적이다. 데이터에는 정성 데이터와 정량 데이터가 있는데, 정성 데이터는 언어와 문자로 표현되며 다량의 데이터 저장, 검색, 분석이 용이하고, 정량 데이터는 수치, 도형, 기호로 표현되어 다량의 데이터 저장, 검색, 분석이 어렵다. 데이터와 정보의 관계를 DIKW 피라미드로 설명할 수 있다. 데이터는 가공하기 전의 순수한 수치나 기호이고, 정보는 데이터를 ...2025.02.16
-
경제현상 분석 실증적 규범적 장단점 논하기2025.01.141. 서론 1.1. 경제현상 분석의 두 가지 접근법 경제현상 분석의 두 가지 접근법은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이다. 실증적 분석은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경제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현실의 경제 행태를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GDP 성장률, 인플레이션율, 실업률 등과 같은 경제 지표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경제 정책의 영향력을 평가하거나 특정한 경제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밝히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규범적 분석은 경제 모델을 기반으로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정책 개발과 의사 ...2025.01.14
-
경제현상을 분석할 때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의 장담점을 논하시오2025.01.141. 서론 1.1. 경제현상 분석의 중요성 경제현상 분석의 중요성은 경제를 이해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경제는 복잡한 현상이며,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경제현상 분석을 통해 경제 주체들의 의사결정과 행동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부와 기업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정책과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경제현상 분석의 결과는 사회 전반의 자원 배분과 경제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 따라서 경제현상을 면밀히 분...2025.01.14
-
인공지능 시대에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및 중요성이 무엇인지2024.09.141. 데이터의 중요성과 데이터베이스 1.1. 데이터의 정의와 가치 데이터의 정의와 가치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data)는 관찰된 사실들을 모아놓은 것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980년대부터 2020년까지의 날씨 기록들을 모아둔 것은 자료(data)이다. 이러한 자료들 자체는 단순히 의미 없는 기록의 덩어리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로부터 "기온이 영상 8도이고 습도가 75%인 기상 조건하에서 눈이 아닌 비가 올 확률은 지난 30년간 68%였습니다. 오늘 우산을 반드시 챙겨야 합니다."와 같은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해낼 ...2024.09.14
-
adsp2025.02.021. 데이터 이해 1.1.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 정성적 데이터는 언어·문자로 표현되는 데이터이다. 정성적 데이터는 언어나 문자로 표현되어 저장·검색·분석에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반면, 정량적 데이터는 수치·도형·기호로 표현되는 데이터이다. 정량적 데이터는 정형화되어 있어 비용소모가 적다. 정량(양)으로 표현되어 정량적 데이터라고 한다. 정성적 데이터는 언어로 표현되어 주관적이지만, 정량적 데이터는 수치로 표현되어 객관적이다. 정성적 데이터는 분석에 많은 비용이 들지만, 정량적 데이터는 간단하게 정형화되어 비용소모가 적다...2025.02.02
-
adsp2025.02.091. 데이터 이해 1.1.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 정성적 데이터는 언어나 문자로 표현된 데이터이다. 언어나 문자로 표현하면 저장, 검색, 분석에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반면 정량적 데이터는 수치, 도형, 기호로 표현된 데이터이다. 정량적 데이터는 간단하게 정형화되어 있어 비용 소모가 적다. 정량적 데이터는 수량(양)으로 표현되므로 정량적 데이터라고 한다. 정형 데이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CSV 등 형식이 정해져 있는 데이터이다. 반정형 데이터는 눈으로 봤을 때 무슨 정보인지 모르는 데이터(센서데이터처럼)로, 한 번의...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