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9개
-
내시경실 간호과정2025.03.271. 내시경실 간호과정 1.1. 상부위장관 출혈(UGI bleeding) 1.1.1. 정의 및 원인 장출혈이란 식도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관 중에서 일정부위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발생부위에 따라서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한 '상부위장관 출혈'과 소장, 대장, 직장에서 출혈이 발생한 '하부 위장관 출혈'로 나뉜다. 상부위장관 출혈은 장출혈 환자 중 약 85%정도이고 하부 위장관 출혈은 약 10~15%정도이다. 상부위장관 출혈의 원인으로는 식도 질환(식도염, 식도암, 식도정맥류 파열, 식도 열상), 위 질환(위염, ...2025.03.27
-
내분비계관련질병에대하여2025.03.151. 서론 내분비계는 호르몬을 생산하여 생명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이 내분비계와 관련된 질병들은 매우 다양하며, 이들 질병의 발병 원인부터 증상, 진단, 치료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내분비계 관련 질병 중 대표적인 몇 가지 질병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폐암, 범복막염, 결장암에 대한 병인론, 임상증상, 진단, 치료 등을 자세히 다루며, 더불어 이들 질병의 간호 중재와 자가 관리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내분비계 관련 질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2025.03.15
-
대장암2024.09.301. 대장 해부생리 1.1. 맹장 맹장은 대장의 시작부위인 큰 맹낭으로, 하단에 충수가 부착되어 있다. 맹장간막에 의해 후복벽에 고정되어 있으며, 2개의 판막으로 된 회맹판이 있어 대장의 내용물이 소장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고 있다. 또한 이곳은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으로 염증이 쉽게 올 수 있는데, 이를 충수염이라고 한다. 진행시 충수가 파열되어 세균을 함유한 내용물이 복강의 여러 장기에 퍼지게 되면 복막염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맹장과 충수의 연결부분을 진단할 때는 맥버니 점을 이용하며, 이는 배꼽과 우상전장골극을 연결하...2024.09.30
-
대장암 case2024.09.301. 대장암(Colorectal Cancer) 1.1. 개요 및 역학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하며, 발생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한다. 대장암은 전체 암 발생 중 두 번째로 많은 암으로, 2017년에 우리나라에서는 232,255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대장암(C18~C20)은 28,111건으로 전체의 12.1%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조발생률은 54.9건이며, 남녀의 성비는 1.5 : 1로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70대가 2...2024.09.30
-
대장암2024.10.241. 대장 해부생리 1.1. 대장의 구조 및 특징 대장은 파이프 모양의 관으로 안쪽에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되어 있다. 대장의 총 길이는 약 1.5~1.7m이며, 회장의 끝에서 시작되어 복강을 한 바퀴 돌아 골반강으로 들어가 항문에 이어진다. 대장은 맹장, 결장, 그리고 직장으로 구분된다. 맹장은 대장의 시작부위인 큰 맹낭으로 하단에 충수가 부착되어 있으며, 맹장간막에 의해 후복벽에 고정되어 있다. 결장은 대장의 대부분을 이루는 부위로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의 4부분으로 구분...2024.10.24
-
성인간호학 실습 소화기내과 내시경검사 종류 및 간호2024.10.151. 내시경 검사의 이해 1.1. 위내시경 (EGD) 1.1.1. 검사 목적 및 적응증 위내시경 검사의 주된 목적은 입으로 내시경 기구를 삽입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함으로써 염증이나 종양 등의 병변을 진단하는 것이다. 위내시경 검사는 상부 위장관의 병변을 직접 관찰하여 진단할 수 있으므로, 연하곤란(Dysphagia), 소화불량(Dyspepsia), 상복부 통증 등의 상부 위장관 증상이 있는 경우나 간경화증과 같이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 시행한다. 또한 상부 위장관의 궤양이나 암을 감별하기 위해서도 위내시경 ...2024.10.15
-
내시경 검사 후 출혈 및 감염 예방2024.10.101. 용어 및 약어 1.1. 용어 용어는 의미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낱말이나 어구로, 특정 분야에서 널리 쓰이거나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 용어들을 의미한다. 'AGC'는 "Advanced Gastric Cancer"의 약어로, 진행성 위암을 의미한다. 위암은 위 점막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크기가 크고 주변 조직으로 침윤된 암을 지칭한다. 'AGE'는 "Acute Gastric Enteritis"의 약어로, 급성 위장염을 의미한다. 위장염은 위 점막의 급성 염증 상태를 의미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상복부 통증, 오심, 구토, ...2024.10.10
-
대장암 간호사례 발표2024.10.1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 결장암(대장암)은 2013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1년에 우리나라에서 연 218,017건의 암이 발생되었는데, 그 중 결장암은 남녀 합쳐서 연15,674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7.18%를 차지했다. 남녀 발생건수는 남자가 연 9,228건, 여자가 연 6,226,건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발생한다. 또한 남녀를 합쳐서 본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9.3%로 가장 많고, 70대가 27.2%, 50대가 21.9%, 2~10%빈도로 젊은 사람에게도 발생하고 있는...2024.10.17
-
섭취량 저하와 관련된2024.11.241. 문헌고찰 1.1. 폐암의 병인 및 역학 폐암(Lung Cancer)은 원발성과 전이성이 있다. 폐암은 대장암과 신장암에서 전이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신체 어느 부위에서든지 전이될 수 있다. 폐 전이는 원발 부위를 발견하기 전에 진단될 수 있고, 때때로 시신 부검 시에만 발견되기도 한다. 과거 50년 동안 폐암의 발생빈도는 놀랄 만큼 증가해왔다. 1996년 우리나라 통계청이 발표한 사망 원인 통계에 의하면 폐암으로 인한 사망은 남자가 인구 10만 명당 28.7명, 여자는 10.0명으로 남자는 3위, 여자는 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2024.11.24
-
위내시경2025.04.171. 위내시경 검사의 개요 1.1. 위내시경의 정의 및 목적 위내시경 검사는 구강을 통해 삽입한 내시경을 이용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하는 검사이다. 이를 통해 위염, 위궤양, 위암 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할 수 있으며, 병변이 있는 경우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지혈 등의 치료적 목적으로도 활용된다. 따라서 위내시경 검사는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매우 중요한 검사라 할 수 있다. 특히 위암은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초기에는 발견하기 어려우므로, 40세 이상의 성인은 증상이 없더라도...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