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Digestion, Extraction and Ligation of DNA2025.05.061. Digestion, Extraction and Ligation of DNA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제한효소와 플라스미드에 대해 알아보고 DNA 재조합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제한효소는 DNA 분자의 특별한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절단하는 효소이며, 이를 이용해 유전자 조작 기술의 발전을 이루었다. 재조합 DNA 기술은 분자생물학 연구의 기반이 되는 핵심 기술로, 원하는 유전자만을 증폭하거나 다른 유전자와 재조합시킬 수 있어 유전자의 역할 규명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단백질은 유전정보의 직접적인 산물이며 생명체의 다양...2025.05.06
-
원심분리기 벡터2025.06.181. 서론 1.1. 실험 배경 세포는 살기 위해서 특정 단백질을 만들어내는데, 이처럼 세포 내에서 원래부터 만들어지는 단백질을 조직/세포내 내생적(endogenous) 단백질이라고 한다. 세포는 수만 개 이상의 다양한 단백질들을 만들어내고 있어 우리가 정제하려고 하는 특별한 단백질 한 종류의 상대적 농도는 굉장히 낮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제가 어렵다. 이번 단백질 정제 실험에서 사용할 단백질은 재조합 단백질이다. 재조합 단백질 기법은 외부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한 후, 이를 숙주세포에 도입하여 단백질을 만들어내는...2025.06.18
-
SDS-PAGE Fluorescence2025.06.101. 서론 1.1. SDS-PAGE Fluorescence 실험 개요 SDS-PAGE Fluorescence 실험은 원하는 단백질을 발현 및 정제하고, 이를 SDS-PAGE와 형광 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실험이다. 우선 목적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발현시키고, Ni-NTA 레진을 이용한 affinity chromatography로 단백질을 정제한다. 이후 SDS-PAGE를 통해 정제 단백질의 크기와 순도를 확인하며, 형광 분석을 통해 목적 단백질의 기능성을 확인한다. 이 실험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핵심 단위인 단백질을 다루는 기본적인 기...2025.06.10
-
protein expression2025.05.111. 실험 개요 1.1. 목적 단백질 발현과 정제, SDS-PAGE를 통해 단백질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단백질 발현을 위해 대장균에 유전자를 도입하고 IPTG 유도로 발현을 증폭시킨다. 발현된 단백질은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며, SDS-PAGE로 단백질의 크기와 정제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단백질 발현과 정제, 분석 기술을 습득하고 단백질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단백질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단백질에 대한 연구는 생명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단백질 연구를 ...2025.05.11
-
1) SDS-PAGE란? 2) stacking gel과 running gel에 대해서 조사2025.05.011. SDS-PAGE란? SDS-PAGE는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약자로, 단백질을 전기장에서 분리하여 분석하는 기술이다. SDS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풀어서 선형으로 만들며, 모든 단백질에 균일한 음전하를 부여한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분자량에 따라서만 전기영동 상에서 이동속도가 결정되도록 한다. Polyacrylamide gel은 acrylamide와 bisacrylamide를 중합하여 만들며, 이때 ammonium persulfate와 T...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