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0개
-
뇌손상과 뇌사의 법의학적 해석2025.07.211. 뇌손상과 뇌사의 법의학적 해석 1.1. 신경계 용어 및 약어 정리 신경계 용어와 약어는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agnosia는 인지불능을 의미하며, akinesia는 운동불능을 말한다. alert는 기민하고 의식이 명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Alzheimer's disease는 알쯔하이머 질환을 의미한다. ALS는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을 뜻한다. aphasia는 실어증이고, apraxia는 실행증을 나타낸다. ataxia는 운동실조증이며, atrophy는 위축을 말한다. AVM은 뇌동정맥 기형을 ...2025.07.21
-
뇌사의 법의학적 기준2025.07.211. 뇌사의 법의학적 기준 1.1. 의학적 죽음의 정의 의학적 죽음의 정의는 모든 체세포의 기능 상실로 인해 생체가 기능하는데 필요한 화학적, 물리적 또는 전기 생리적 활동을 잃게 되어 인체의 세포가 불가역적인 상태로 변한 것을 의미한다. 뇌 또는 호흡이나 심장박동의 완전한 정지를 의미하며, 인체의 여러 장기 가운데 생명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생명유지 3대 장기는 심장, 폐, 뇌로 이 가운데 심장과 폐 기능의 정지, 즉 심폐사를 일반적인 죽음의 의미로 본다. 의술의 발전으로 인공적 생명유지 장치(인공호흡기, 심폐기)가 개발되면서 뇌...2025.07.21
-
뇌사 진단 평가법2025.07.211. 뇌사 진단 평가법 1.1. 서론 현대 의료 윤리와 신경과학의 급격한 발전은 뇌사 개념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그 기준을 새롭게 정립하는 데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뇌사 판정은 한 개인의 생명과 안녕을 결정짓는 중대한 사안으로, 이는 의료진과 윤리 전문가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논의와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연구들은 일부 환자들에서 뇌 활동과 의도적인 정신 기능 표현이 관찰된다는 점을 밝혀내며, 기존의 뇌사 기준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발견들은 개인의 존엄성과 생명권을 ...2025.07.21
-
간호윤리 뇌사2025.05.131. 서론 1.1. 뇌사와 장기기증에 대한 정의 뇌사란 임상적으로 뇌 활동이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비가역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뇌사 판정을 위해서는 급성의 심각한 비가역적 뇌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확인되어야 하고, 저체온증이나 저혈압 등의 대사성 질환이 없어야 한다. 뇌사자의 장기는 이식을 위해 기증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신장, 간장, 심장, 폐, 췌장 등이 기증된다. 뇌사자 한 명의 장기기증으로 최대 8명의 환자에게 새로운 생명을 줄 수 있다. 이와 달리 식물인간 상태에 있는 사람은 자발적인 호흡이 가능하며 대뇌 ...2025.05.13
-
간호윤리 뇌사2025.05.131. 간호윤리와 뇌사 1.1. 뇌사의 정의 뇌사란 교통사고나 뇌출혈 등으로 인한 심각한 뇌 손상으로 뇌간을 포함한 전체 뇌 기능이 회복 불가능하게 완전히 정지된 상태이다. 이때 환자는 스스로 호흡할 수 없어 인공호흡기로 호흡이 유지되고 있으며, 심장이 계속 뛰고 있는 상태이다. 뇌사의 주요 원인에는 뇌 손상으로 인한 경우와 산소 공급 차단으로 인한 경우가 있다. 뇌사 상태와 식물인간의 차이점은 뇌사 시 뇌간을 포함한 전체 뇌 기능이 정지된 반면, 식물인간은 대뇌의 일부만 손상되어 무의식 상태이며 호흡은 가능한 상태이다. 뇌사는 의...2025.05.13
-
정문각 생명윤리2025.04.121. 정문각 생명윤리 1.1. 장기이식을 둘러싼 쟁점과 윤리적 문제 장기이식은 다른 개체의 정상적인 장기나 조직을 떼어 병이나 외상으로 손상된 부분에 이식함으로써 그 기능을 회복시키는 행위이다. 이식 후 거부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 발달함에 따라 장기이식 성공률이 높아지고 있다. 뇌사는 장기이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며, 뇌 기능이 상실되어 죽어가는 뇌사자의 장기이식은 의료비 지출 감소 효과가 있어 환자의 생명을 살리고 정상적 회복을 돕는 새로운 길로 여겨진다. 그러나 뇌를 제외한 다른 장기가 건강한 상태인 뇌사자의 죽음을 미리 ...2025.04.12
-
뇌사 찬반2024.10.221. 생명윤리와 법적 쟁점 1.1. 임신중절의 찬반론과 법적 허용 범위 임신중절과 관련하여 오랫동안 찬반논란이 이어져왔다. 우리나라에서는 형법 제269조 제1항에 따라 임신중절을 처벌해왔으나, 모자보건법 제14조에 의해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 허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여성의 자기결정권이 부각되면서 2019년 헌법재판소에서 임신 초기 낙태 금지가 위헌이라는 결정이 내려졌다. 임신중절을 반대하는 측의 가장 큰 근거는 "무고한 생명을 해치는 행위는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이다. 태아 역시 생명권을 가지고 있기에 어떠한 경우라도 낙태를...2024.10.22
-
존엄사에 대한 윤리적 숙고와 사상가의 관점을 활용하여 대안 보고서 작성2025.04.281. 서론 1.1. 존엄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인간의 생명과 존엄성을 보호하는 것은 간호전문직의 핵심 가치이다. 이에 존엄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이 필요하다. 존엄사는 말기 환자가 연명치료를 거부하고 자연스럽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윤리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의 원리이다. 개인은 자신의 삶과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말기 환자가 연명치료 거부를 결정한다면 이를 존중해야 한다. 둘째, 악행금지의 원리이다.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과도한 고통을 야기하거나 삶의 ...2025.04.28
-
신경내외과적 간호 정리2025.08.151. 신경내외과적 간호 정리 1.1. 관절염 환자를 위한 자기간호 보조기구 관절염 환자는 보조기구를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보조기구를 선택할 경우, 가볍고 기능적으로 만들어져서 아픈 관절을 도울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제품선택의 원칙은 바퀴를 사용할 수 있는 것, 손잡이를 길게 해 사용할 수 있는 것, 가벼운 것, 두툼한 손잡이가 있는 것, 사용하기에 편리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관절염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자기간호 보조기구를 선정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팡...2025.08.15
-
뇌사자 장기이식 반대2024.09.201. 뇌사자의 장기이식 1.1. 뇌사의 정의와 진단 기준 뇌사는 임상적으로 뇌활동이 회복이 불가능하게 비가역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뇌사 진단의 필수 전제 조건으로는 첫째, 급성의 심각한 비가역적 뇌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병력, 진찰, 혈액검사, 뇌영상검사에서 확인되어야 하고 둘째, 뇌사 상태와 비슷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각종 대사성 질환(저체온증, 저혈압 등)이 없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전제 조건이 충족된 상태에서 셋째, 혼수, 뇌간(숨골, 뇌줄기)에서 기원하는 모든 반사의 소실, 무호흡 증상이 모두 확인될 때 뇌사를...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