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6개
-
새예루살렘2024.10.191. 바울의 생애와 신학 1.1. 바울의 젊은 시절 바울의 젊은 시절은 그가 유대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바울은 자신의 혈통이 베냐민 지파에 속한다고 언급하며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누가는 바울을 길리기아의 헬라도시인 다소에서 태어난 바리새인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는 바울이 유대인이며, 동시에 헬라적 배경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소는 당시 로마, 알렉산드리아와 더불어 로마의 3대 도시 중 하나로 발전한 곳이었다. 이 도시는 자유, 면책, 시민권이 주어졌고 문화와 철학, 교육의 중심지였...2024.10.19
-
곤잘레스의 세 가지 관점(ABC) 중 죄론과 구원론의 차이를 설명하라2025.06.021. 서론 1.1. 곤잘레스의 세 가지 관점(ABC) 소개 후스토 L. 곤잘레스의 『중세교회사』에 따르면, 현재의 시대를 "미래가 없는 시대, 노력해도 의미없는 시대, 목적을 잃어가는 시대"로 여기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시대에 교회 또한 교세가 약해지고 세속화되며 본질을 잃어가고 있지만, 하나님께서 여전히 세상을 다스리시고 계심을 믿기에 바르게 신학하고 사역한다면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곤잘레스는 중세교회의 상황과 신학자들의 신앙을 살펴보며 현 시대에 어떤 교훈을 줄 수 있는지 고찰한다. 중세 기독...2025.06.02
-
히브리서 경고본문의 기능 관점으로 설명2025.06.051. 히브리서 경고본문의 기능 관점에서 설명 1.1. 히브리서의 기원과 역사적 배경 히브리서의 기원과 역사적 배경이다. 히브리서의 제목인 "히브리인들에게 보내느 사도 바울의 서신"은 원래 본문의 일부가 아니며 후대 교회에서 추가되었다. 세 가지 의문점이 있는데, 첫째 바울이 히브리서를 기록하지 않았다는 것이 확실하다. 둘째 이 문서는 서신이라기보다는 설교 형식의 논문이다. 셋째 히브리서가 과연 히브리인들, 즉 유대인 기독교인들에게 쓰여졌는지에 대한 이의가 제기된다. 초대 교회 많은 이들이 히브리서의 저자로 바울을 지목했지만, 바울...2025.06.05
-
야고보서가 가르치는 가난과 부의 문제2025.06.051. 야고보서가 가르치는 가난과 부의 문제 1.1. 본문의 배경적 상황 마가복음의 저자는 베드로의 제자 마가 요한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에는 몇 가지 문제가 따른다. 예를 들어 베드로의 제자라고 하면서도 베드로에 대한 묘사가 마태나 누가보다 더 부정적이고, '거라사'와 같은 지명은 팔레스타인의 지리에 대한 저자의 지식이 부정확함을 보여준다. 필자는 마가복음의 저자가 팔레스타인을 벗어난 지역, 아마도 시리아에서 살던 사람이라고 보며, 예루살렘이 멸망한 기원후 70년 전후에 기록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마가복음은 예수님의 생애를 ...2025.06.05
-
사도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발생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낸 일련의 서신서들과 직접 방문한 것에 대해 순서에 따라2024.08.291. 바울서신 개관 1.1. 바울서신의 기본 성격 바울서신은 각 교회에 있는 문제, 환경, 상황의 해결과 위로와 격려를 위해서 각 교회와 성도들에게 맞추어서 교훈을 주고 말씀과 신학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 목회적, 변증적, 선교적, 신학적 목적으로 기록된 상황서신이다" 바울서신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목적과 배경에 대한 올바른 연구와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목적과 배경에 따른 상황성을 이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성경의 저자 및 1차 독자와 현재 성경을 읽는 독자 간의 시간적, 종교적, 문화적, 지리적, 철...2024.08.29
-
신약신학 요약, 토마스 슈라이너 저자2025.06.101. 하나님의 구원약속의 성취 1.1.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연속성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연속성이다. 구약성경은 하나님의 구원약속을 담고 있으며, 신약성경은 그 약속의 성취를 보여준다.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은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신약은 역사 속의 하나님의 구원사역을 드러내며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 중심성을 논증한다. 하나님은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의 구원 사역을 이루시며, 모든 영광을 받으실 것이다. 구속사는 시작되었으나 아직 완성되지 않은 종말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하나님의 영광은 아직 절정에 도달하지 않았지...2025.06.10
-
갈라디아서2024.10.171. 갈라디아서 개요 1.1. 기록자 및 연대 바울은 본 서신서 처음 부분에서 자신이 기록자임을 명백하게 밝히고 있다(1:1). 일부 자유주의자를 제외하고는 학자들 간에 거의 이견이 없으며, 본 서신의 문체, 어휘, 신학이 바울의 것임을 확증한다. 본 서신의 내용은 로마서의 축약, 또는 작은 로마서라고 불릴 만큼 로마서를 닮았지만, 언어 표현이 로마서보다 신랄한 것은 교회에 침투한 거짓 선생들의 가르침에 대처하기 위해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AD 50년대 초에 바울이 제2차 선교여행을 하는 중 1년 6...2024.10.17
-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확정되었으며 왜 중요한지를 설명하시오2025.04.081.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에 대한 고찰 1.1.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 확립 과정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는 그의 신성과 인성이 완전하게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예수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확정되었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약성경에서는 장차 오실 메시아에 대한 예언들을 통해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암시되어 있었다. 하나님의 아들이 육신을 입고 오실 것이라는 내용이 예언되고 있었던 것이다. 둘째, 신약성경에서는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을 통해 그의 신성과 인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게...2025.04.08
-
복음과율법차이2025.05.071. 복음과 율법의 차이 1.1. 율법의 목적과 기능 율법은 그리스도에 대한 갈망을 일으키고 그들의 기대를 강화하여, 오래 지체되더라도 지치지 않게 하시려는 목적으로 주어졌다. 하나님의 제사를 명령하신 목적은 지상적인 일로 경배자들을 분주하게 만들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을 더 높이 들어 올리시려는 것이었다. 율법 안에서 그리스도가 고대인들의 눈앞에 제시되었으며, 약속을 받은 후손이 나타날 때까지 유대인들은 "몽학 선생"의 감독하에 있었다. 율법은 우리를 변명할 수 없게 만들어 절망 상태에 빠뜨리며, 우리가 약속된 생명을 받...2025.05.07
-
복음과율법차이2025.05.071. 서론 1.1. 복음과 율법의 차이 율법은 인간을 변명할 수 없게 만들어 절망 상태에 빠뜨리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상태의 인간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가 일치하게 이어지고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며, 이는 인간이 구원받기 위해서는 타락한 존재의 인간이 아닌 다른 무흠한 존재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즉, 하나님의 뜻과 계획 가운데 타락한 인간을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을 얻게 하심을 알게 하기 위해, 율법을 통해서 더욱더 갈망하게 하며, 신구약을 통해 통일되게 그리고 그들에게 가장 유익한 방식으로 밝히 설명하여...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