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개
-
간호학개론 수문사 정리2025.04.101. 간호의 본질 1.1. 간호란 무엇인가 1.1.1. 간호의 정의 간호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간호는 상병자 또는 해산부의 요양상의 간호 또는 진료의 보조 및 대통령령이 정하는 보건활동에 종사함을 임무로 한다. 나이팅게일은 간호는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환경을 마련해주고 도와주는 행위라고 정의했다. 헨더슨, 압델라, 오렘 등의 학자들은 인간의 욕구이론을 바탕으로 간호를 정의했고, 페플라우, 올란도, 위덴바흐 등은 상호작용이론을 바탕으로 간호를 정의했다. 로저스, 레빈, 존슨, 로이 등 ...2025.04.10
-
간호학개론 중간2025.04.201. 제1간호혁명과 제2간호혁명의 차이점과 역사적 시사점 1.1. 제1의 간호혁명과 역사적 시사점 나이팅게일은 크림반도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영국 군 의료 체계의 대대적인 개선을 제안했다. 그녀는 정부와 군부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길고도 꾸준한 싸움을 거쳐 하나하나 승리를 쟁취해 나갔다. 특히 1859년 출간한 저서 「간호에 관한 일들」은 병원 환경 위생, 정확한 통계, 병동 관리, 간호에 관한 새로운 사고를 담고 있어 간호법과 간호사 양성의 기초 자료가 되었다. 이후 나이팅게일은 크림 전쟁 당시 영국에서 조성된 '나이팅게일 기금...2025.04.20
-
간호학개론요약2025.04.241. 간호학개론의 본질 1.1. 간호의 정의 간호는 '양육하다'(라틴어 nutrix)와 '영양을 주다, 키우다, 자라게 하다'(그리스어 nutre)에서 유래되었으며, '보다, 지켜보다'(간, 看)와 '보호하다, 지키다, 돕다'(호, 護)에서 유래한다. 나이팅게일은 간호를 최적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도와주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대한간호협회는 간호를 모든 개인, 가족,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건강회복, 질병예방, 건강유지와 증진에 필요한 지식, 기력, 의지와 자원을 갖추도록 직접 도와주는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국제...2025.04.24
-
나이팅게일과 펜위크2025.05.261. 나이팅게일과 펜위크 1.1. 제1간호혁명 - 나이팅게일(Nightingale) 나이팅게일은 1820년 5월 12일 영국 명문가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소녀 시절부터 병든 사람을 잘 돌보아 주었으며 가난한 사람을 방문하여 간호해 주었다. 1837년 2월 7일 하느님의 소명을 받고 병원사업에 관심을 가졌고, 3년 뒤에는 공중위생과 공중병원에 관한 전문가로 간주될 정도가 되었다. 1846년 독일 카이저스베르트에 있는 간호사 교육기관을 소개받고 4년 뒤 플리너 목사 내외가 경영하는 여집사간호단에서 훈련을 받았으며 그 후 3개월간 실...2025.05.26
-
WHO와 국제적십자사2025.05.271. 국제적십자사와 WHO 1.1. 국제적십자사의 설립목적, 기능 국제적십자사의 설립목적은 무력충돌 혹은 다양한 국내 폭력상황에 처한 희생자들에게 일관되고 합리적이며 신속한 인도주의적 대응을 펼치는 것이다. 국제적십자사는 각국 적십자사 및 적신월사, 국제적십자사적신월사연맹과의 협력을 도모한다. 국제적십자사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긴급구호 및 경제적 자활 지원을 통해 무력충돌 피해자들에게 필수 구호물품을 제공한다. 둘째, 식수와 위생 지원을 통해 무력충돌 피해자들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한다. 셋째, 무력충돌 부상자들에...2025.05.27
-
나이팅게일과 펜위크에 대해 조사해줘2025.06.021. 서론 1.1. 나이팅게일과 펜위크의 간호 업적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현대 간호학의 창시자이자 군 의료 개혁의 선구자이다. 그녀는 1854년 크림전쟁이 발발하자 40명의 간호원과 함께 전쟁터인 보스포루스 해협 인근의 슈코데르에 도착하여 열악한 영국군 야전병원에서 간호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곳에서 그녀는 위생과 급식 상태를 우선순위로 두고 개선하였고, 부상자 사망률을 42%에서 3%로 크게 낮추었다. 이에 병사들은 나이팅게일을 "크림의 천사", "등불을 든 여인"이라 불렀다. 크림전쟁 이후에도 그녀는 끊임없이 군대 의무행정 및 ...2025.06.02
-
간호역사2025.06.121. 간호역사 1.1. 조선시대 간호 1.1.1. 조선시대의 간호상황 조선시대의 간호상황은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의 의료제도는 고려시대의 제도를 답습하였다. 태종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직업교육과 전문교육을 실시하여 의녀제도를 창설하였다. 이를 통해 여성 환자가 생길 경우 남자 의원이 직접 진찰하고 치료할 수 없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세종 때에는 지방출신의 의녀가 한양에서 교육을 받고 지방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의녀제도를 확대하였다. 의녀는 진맥, 침구 등 질병에 대한 치료술을 익히고, 방서, 진맥, 명약 등을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