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6개
-
요엘서 주해2025.04.141. 요엘서 주해 1.1. 에베소서 개관 에베소서는 보편적이고 우주적이며 장엄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에베소서의 주제는 곧 교회론이며, 이는 다른 옥중 서신인 골로새서가 기독론을 다루고 빌립보서가 성도의 자세를 다루는 것과 차이가 있다. 에베소서는 우주적이고, 보편적이며, 장엄한 교회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교회의 영광스러운 모습을 펼쳐나가고 있다. 그리스도와 연합된 성도들이 공동체를 이루며, 성령이 충만하게 되어서, 사회를 변혁시키고, 영광스러운 하나님의 목적을 성취해나가는 모습을 에베소서는 보여주고 있다. 교회는...2025.04.14
-
성경이야기와 구원드라마 요약2024.09.251. 구원의 보장과 탈락 1.1. 들어가는 말 이 주제는 교단마다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단의 분열에는 정치적 문제가 포함되어 있지만, 조직신학적 측면에서 보면 구원론에 관한 갈등이 가장 첨예하지 않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구원의 보장과 탈락, 모두 가능한 이야기다. 무슨 말인가? 나는 내 구원이 탈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금 나는 구원의 확신과 안정감을 갖고 있다. 이 주제는 사전 설명을 필요로 한다. 구원이라는 주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종말론과 아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님 나라의 개념과도 연...2024.09.25
-
신학논문2024.09.141. 서론 1.1. 연구 목적 개혁주의적 성령론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학교 채플이 끝나고 불이 꺼지면 방언으로 기도하는 전도사님들이 꽤 있다. 연구자는 몇몇 동료 전도사님들이 공개적인 장소에서 방언으로 기도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 학교와 교단의 정체성에 대해서 고민하게 됐다. 연구자가 학교에서 배운 바로는 우리 교단의 신학은 성령 은사중지론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목회현장은 말할 것도 없고 학교 채플 시간을 보면 은사중지론의 입장을 고수하는 교단이 맞는가 싶은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경험적으...2024.09.14
-
곤잘레스의 세 가지 관점(ABC) 중 죄론과 구원론의 차이를 설명하라2025.06.021. 서론 1.1. 곤잘레스의 세 가지 관점(ABC) 소개 후스토 L. 곤잘레스의 『중세교회사』에 따르면, 현재의 시대를 "미래가 없는 시대, 노력해도 의미없는 시대, 목적을 잃어가는 시대"로 여기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시대에 교회 또한 교세가 약해지고 세속화되며 본질을 잃어가고 있지만, 하나님께서 여전히 세상을 다스리시고 계심을 믿기에 바르게 신학하고 사역한다면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곤잘레스는 중세교회의 상황과 신학자들의 신앙을 살펴보며 현 시대에 어떤 교훈을 줄 수 있는지 고찰한다. 중세 기독...2025.06.02
-
조직신학 기독론과 구원론 분석2025.06.301. 서론 1.1. 그리스도론의 중요성 그리스도론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그리스도론은 기독교 신학의 핵심이자 근간이 되는 주제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인간을 이어주는 중보자로서 인간 구원의 근원이 되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대한 이해는 기독교 신앙의 근본이 된다. 또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대한 이해는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이해로 이어지며,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에 대한 이해는 구원론과 직결된다. 따라서 그리스도론에 대한 신학적 탐구와 이해는 기독교 신학 전반에 걸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필수불가결한 ...2025.06.30
-
간추린 신약신학 독후감 요약2025.06.101. 서 론 1.1.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말미암았느니라'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으로 말미암았느니라' 라는 말씀은 강의를 듣고 신앙생활을 하면서 삶이 변화되고 하나님에 대한 태도와 마음가짐이 깊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을 향한 믿음과 사모하는 마음이 깊어질수록 하나님의 계획과 뜻을 따르는 삶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고, 말씀의 진리를 깊이 연구하고자 하는 마음이 생겨났다. 이에 따라 저자는 바울 신학자 토마스 R. 슈라이너의 '간추린 신약신학'을 접하게 되었고, 그리스도 안에...202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