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로마서신학과 설교2024.11.301. 서론 1.1. 책 소개 및 목적 본서는 칼빈과 어거스틴의 신학사상을 비교 연구한 국내 최초의 저서이며, 칼빈 탄생 500주년을 기념하여 출판되었다. 저자는 어거스틴과 칼빈을 그들의 역사적, 사상적 배경 속에서 철저히 분석하고 동시에 그들의 성경 주석학적 이해들과 발전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각자의 사상적 특성과 강조를 정확하고도 심도 있게 짚어낸다. A.D. 4~5세기의 어거스틴과 16세기의 칼빈을 상호 비교하는 작업은 힘든 작업임에도 본서에서 그 작업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다. 1.2. 연구 방법론 이 책의 연구 방법론은 다음과...2024.11.30
-
복음주의 확장2024.10.221. 선교의 신학적 위치와 정의 1.1. 선교학의 역사적 발전 과정 1.1.1. AD 500년 이전 AD 500년 이전의 선교학의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 기간 동안 선교란 복음의 내재적인 생명력으로 교회가 확장되어지는 과정 속에서 이방 문화와 종교에 대한 기독교의 정체성 확립과 전도를 목적으로 한 변증적인 신학적 동기 속에서 수행되어졌다. 대표적인 선교학자로는 두보스와 터툴리안을 꼽을 수 있다. 두보스는 그의 논문집 '스트로마타(Stromata)'에서 선교에 대한 중요한 진술을 하였는데, 그것은 그리스의 철학과 다르게...2024.10.22
-
라인홀드 니버 기독교 윤리학의 해석2024.11.181. 라인홀드 니버의 생애와 사상 1.1. 생애 및 사상적 배경 라인홀드 니버는 1892년 6월 21일 미주리 주 라이트 시에서 루터주의 정통과 개혁주의 전통이 혼합된 작은 복음적인 교단에 속한 독일어권 교회의 목사인 아버지 구스타프 니버와 그의 아내 루디아 니버 사이에서 4남 1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아버지 구스타프는 "복음은 개인적인 것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며, 기독교인은 종교적인 회심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사회 개선을 위해서도 일해야 한다는 자유주의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신념이 라인홀드 니버에게도 영향을 주어...2024.11.18
-
(1) 교회의 본질과 성격에 관하여 성경에 기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시오2024.10.301. 교회론과 성전신학 1.1. 박형룡의 교회론 1.1.1. 교회론과 성령론, 구원론의 유기적 관계 박형룡 박사는 교회론을 성령론 및 구원론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설명한다. 그는 "구원론이 그리스도의 구속을 개인의 종교생활에 적용하시는 성령의 사역을 말한다면 교회론은 구속받은 성도들이 서로 교통하는 교회와 단체적 종교 생활을 지도하시는 성령의 사역을 묘사한다."고 말한다. 즉, 교회론은 성령의 역사를 통해 개인의 구원을 교회 공동체로 확장하는 것을 다룬다는 것이다. 박형룡 박사에 따르면, 교회론에서 성령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2024.10.30
-
담임목사청빙목회계획2025.06.231. 담임목사 청빙 목회계획 1.1. 목회철학(핵심가치) 사람은 누구나 기쁜 소식을 원하고, 행복을 누리기 위해서 살아가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인생에서는 우리가 가지려고 하는 것들이 다 얻어지지는 않는다. 때로는 그것 때문에 웃기도 울기도 하지만 내가 원하는 것들을 다 가질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많은 사람들이 교회를 다니지만 교회를 다니기만 한다고 행복을 누리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행복은 예수님을 믿고 예수님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살아갈 때 가능하다. 십자가 복음을 알지만 여전히 죄 가운데 살고 있는 것은 마음속에 계신 ...2025.06.23
-
박형룡 교회론 요약과 비교 연구2025.07.031. 박형룡 교회론 요약과 비교 연구 1.1. 성경적 교회의 명칭과 사적 고찰 구약에서는 '카할'과 '에다'라는 두 명사가 교회를 가리킨다. 카할은 집회 혹은 회중을 의미하며, 에다는 지정된 처소에서 모이거나 지정된 때와 처소에 함께 모이는 것을 의미한다. 카할은 백성들의 집단적인 자격을 제시하며, 에다는 일정한 목적을 위해 모인 이스라엘 백성의 총회 혹은 국민의 대표자들을 의미한다. 신약에서도 70인역에서 나오는 두 말, '엑클레시아'와 '쉬나고게'가 교회로 사용되었다. 쉬나고게는 유대인의 종교적 집회나 공예배를 위한 건물을...2025.07.03
-
성경을 근거로한 이론적 6주 개인 성장 프로그램 만들기2024.09.211. 기독교 교육 1.1. 기독교 교육의 중요성 기독교 교육의 중요성은 기독교인의 모든 삶에 적용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기독교 아동교육은 아동들이 하나님께서 주신 재능을 발견하고 계발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리차드는 베드로전서 1장 23절을 인용하면서, "그리스도 안에서 받은 생명은 하나님의 생명"이며, "그 생명이 우리 속에서 자랄수록 우리는 점차 그리스도처럼 된다."고 하였다. 또한 "기독교 교육은 하나의 물건을 만들어 내기 위함이 아니라 우리가 정상적으로 건강하게 자라...2024.09.21
-
성경인물발표2024.09.091. 존 넬슨 다비와 형제회 1.1. 존 넬슨 다비의 생애 존 넬슨 다비(1800-1882)는 아일랜드계 영국의 성경학자이며 최초의 플리머스 형제단(폐쇄 형제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그는 현대 세대주의의 아버지로 인정받으며 환란 전 휴거 신학이 그에게서 시작되었다. 스코필드 관주성경도 그의 영향을 받았다. 1800년 11월 18일 리프 캐슬, 킹스 카운티에서 출생한 다비는 웨스트민스터 학교를 거쳐 19세 사이에 더블린의 트리니티대학에서 공부하였다. 다비는 학급에서 많은 존경을 얻으며 금메달을 획득하는 ...2024.09.09
-
요엘서 주해2025.04.141. 요엘서 주해 1.1. 에베소서 개관 에베소서는 보편적이고 우주적이며 장엄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에베소서의 주제는 곧 교회론이며, 이는 다른 옥중 서신인 골로새서가 기독론을 다루고 빌립보서가 성도의 자세를 다루는 것과 차이가 있다. 에베소서는 우주적이고, 보편적이며, 장엄한 교회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교회의 영광스러운 모습을 펼쳐나가고 있다. 그리스도와 연합된 성도들이 공동체를 이루며, 성령이 충만하게 되어서, 사회를 변혁시키고, 영광스러운 하나님의 목적을 성취해나가는 모습을 에베소서는 보여주고 있다. 교회는...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