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핵심이보이는 전자회로 실험 op amp2024.11.111. 연산 증폭기와 포토레지스터 1.1. 연산 증폭기의 구조와 원리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는 DC전류와 연결된 높은 이득(gain)을 갖는 input과 output 전압을 갖춘 증폭기이다. 오늘날에 가장 많이 쓰이는 전자기기 중에 하나인 연산 증폭기는 아날로그 컴퓨터에서 처음 이용되었고 많은 선형, 비선형 및 주파수 종속 회로에서 수학적 연산을 수행한다. 연산 증폭기의 구조는 2개의 입력 단자, 1개의 출력 단자, 2개의 전원 공급 단자로 구성된다. 비반전 입력 단자는 +, 반전 입력 단자는 -로...2024.11.11
-
Gas측정 센서의 종류와 특징2024.11.111. 센서의 종류와 원리 1.1. 센서의 유래 및 정의 센서(sensor)의 유래 및 정의는 다음과 같다. "센서(sensor)는 측정 대상물로부터 물리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물리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시켜주는 소자"이다. 이 용어는 1976년 'English-German Technical Engineering Dictionary'란 책에 처음 정의 없이 등장했으며, 1974년 'Dictionary of Scientific and Technical Terms'에 처음으로 정의가 수록되었다. 이 책에서 센서는 "온도, 압력, 유...2024.11.11
-
플랑크 상수2024.08.201. 서론 1.1. 빛의 이중성과 광전효과 빛은 고전 물리학에서는 파동으로 간주되었지만, 실험을 통해 빛이 입자와 같은 성질도 지니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빛의 이중성"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실험이 바로 광전효과이다. 광전효과란 금속과 같은 물질에 특정한 진동수 이상의 빛을 쬐었을 때 전자가 그 물질의 표면에서 튀어나오는 현상이다. 이러한 광전효과는 헤르츠라는 과학자에 의해 밝혀졌는데, 당시에는 빛이 파동이라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광전효과의 실험 결과는 고전 물리학의 예상과 부합하지 않는 특징들을 보였다. 첫째, ...2024.08.20
-
광전효과2025.07.021. 광전효과 1.1. 실험 이론 및 원리 1.1.1. 광전효과의 정의와 특징 광전효과는 금속의 표면에 파장이 충분히 짧은 빛을 쪼일 때 표면에서 전자가 튀어나오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빛의 입자성을 설명해준다. 금속의 표면에 자외선, X선 등의 파장이 짧은 빛을 비추면 금속 표면에서 전자가 방출되는데, 이를 광전효과라고 한다. 이렇게 방출된 전자를 광전자라고 부른다. 광전효과 실험에서는 금속 표면에 빛을 쬐어 발생한 광전자의 운동에너지를 측정한다.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방출되는 광전자의 양이 많아지지만, 개별 광전자의 최대...2025.07.02
-
광전효과2025.08.291. 광전효과 1.1. 실험 목적 광전효과의 실험 목적은 빛의 파동설과 입자설에 대한 검토, 에너지-파장-주파수 간의 관계 확인, 플랑크 상수 측정 등이다. 빛의 세기와 주파수가 광전자의 최대 운동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전 물리학의 파동설과 양자물리학의 입자설 중 어느 것이 광전효과를 더 잘 설명할 수 있는지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실험 결과로부터 플랑크 상수를 구해 광전효과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자 한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광전효과의...2025.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