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지옥락2024.10.061. 중국 과거제도의 역사와 실체 1.1. 과거제도의 도입과 전개 과거제도는 수대에 도입되어 당대를 거쳐 송대에 체계화되었다. 수대에는 귀족정치의 몰락과 천자 독재 권력 확립을 위해 과거제가 시행되었다. 당대에는 귀족사회에서 관료사회로 발전하는 과도기적 시기였으며, 수대의 과거제도인 선거제를 과거로 명명하여 정착시켰다. 이 시기 동안 약 300년간 과거제도가 정비, 완성되었다. 송대에는 당대의 과거제도를 제도적으로 더욱 발전시켜 과거의 전성시대를 이루었다. 특히 송대에는 과거제를 바탕으로 문치 정치를 실행하였으나, 북송 중기 이후...2024.10.06
-
대구가톨릭대학교2024.10.151. 유교의 발전과 전파 1.1. 유교의 역사적 발전 유교는 춘추전국시대 이후 한나라, 수나라, 당나라,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등 고대 및 중세를 거치며 변함없이 중국의 대표적 이데올로기였다. 일시적으로 도교나 불교가 국가 핵심 이념이 되었지만, 근본적으로는 유교였다. 유교는 고대의 훈고학적 유교를 거쳐 송나라 때 신유학과 도교의 형이상학적 개념을 받아들여 성리학으로 발전하였다. 성리학은 한국으로 건너와 조선왕조의 국가 이데올로기로 자리 잡는 등 큰 영향을 주었다. 명나라 때는 사변적인 성리학에 대한 반발로 양명학이 ...2024.10.15
-
전통문화2024.10.221. 조선시대 교육제도와 관료 생활 1.1. 서당, 향교, 성균관의 역할과 기능 서당, 향교, 성균관의 역할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서당은 조선시대 기본적인 교육 기관으로, 한문과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서당은 사적인 기초교육시설로, 양반 자제들이 주로 교육을 받았다. 서당에서는 주로 한문과 유교 경전을 가르쳤는데, 한문은 관직에 진출하기 위한 필수적인 학문이었으며, 유교 경전은 조선의 통치 이념인 유교를 바탕으로 한 인격 함양을 위한 교육이었다. 향교는 지방의 교육 기관으로, 서당의 상위 기관으로 볼 수 있다. 향교는 관학...2024.10.22
-
조선시대의 교육2025.05.261. 조선시대의 교육 1.1. 관학 교육의 실제 조선시대의 교육은 관학(官學)과 사학(私學)으로 구분된다. 관학은 조선이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삼아 성리학적 질서를 사회전반에 확산시키려는 의도에서 설립된 최고교육기관인 성균관과 초·중급 교육기관인 서울의 사학, 지방의 향교가 있었다. 이러한 관학은 조선 전기에는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성균관은 유학(儒學)의 최고 교육기관으로, 생원과 진사를 원칙으로 하는 입학 자격과 200명의 정원을 두었다. 경서와 역사서 강독, 제술 등을 주요 교과목으로 하며, 5단계의 성...2025.05.26
-
조선의 뒷골목 독후감2025.05.251. 소개 서평 "조선의 뒷골목 풍경"의 '1. 소개' 이 책은 한문학자인 강명관 교수가 건강 문제로 휴가를 얻어 무료함을 달래며 쓴 책이다. 원래 한문학 연구를 위해 선인들이 남긴 문헌을 읽는 과정에서 문학과 관련되지 않은 자료들을 '계륵'이라고 부르며 수집하던 교수가, 이번 기회에 그렇게 모아둔 자료들을 활용하여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의 주요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조선시대의 민중의, 즉 민간에서 활약했던 '이름 없는 명의들'의 이야기이다. 허준이나 유의 같은 '정통 의원'들과 달리, 가난한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