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개
-
NICU 간호사 역할2024.08.301. 서론 자녀의 아픔을 지켜보는 부모의 마음은 아주 고통스러운 상황이다. 특히 중증 아동을 치료를 해야 할 상황이면, 온 가족은 긴장과 흥분의 상태에 빠지게 된다. 혹시라도 가족 구성원이 잘못될 지에 대한 걱정과 중환자실의 심각한 분위기 등에 감정을 컨트롤하기 힘들어지기도 한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도록 간호사들은 환아나 가족들과 협력이 잘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환아의 상태가 호전되는데 가족의 협력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나 사례를 통하여 충분히 검증이 되었다. 일반 병실과는 다른 중환자실은 주위의 분위기부터...2024.08.30
-
고위험 신생아 가족간호2024.09.041.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 1.1. 고위험 신생아의 입원환경 1.1.1.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일반적 환경 신생아 집중치료실은 고위험 신생아가 이송되는 동안 손상받지 않도록 분만실이나 수술실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 이는 신생아의 응급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함이다. 또한 임상검사실, 약국, 영양사 등 관련 부서와의 협력이 이루어져서 고위험 신생아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와 영양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온도는 24~27도, 습도는 40~60%를 유지한다. 미숙아는 체온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2024.09.04
-
고위험 신생아 가족간호 요약2025.03.221. 고위험 신생아 가족간호 1.1. 고위험 신생아의 입원환경 신생아 집중치료실은 고위험 신생아가 이송되는 동안 손상받지 않도록 분만실이나 수술실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임상검사실, 약국, 영양사 등 관련 부서의 효율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온도는 24~27도, 습도는 40~60%를 유지한다. 미숙아에게 귀마개와 보육기 커버를 이용하여 소음을 차단하면 생리적 반응과 행동상태가 안정된다. 재태기간 30~34주 미만인 미숙아의 홍채 조절이 미숙하므로 밝은 빛을 차단해야 한다. 1.2. 고위험 신생아 간호 1.2....2025.03.22
-
고위험신생아퇴원교육지침서2025.03.221. 서론 1.1. APGAR 점수의 정의와 사용 목적 APGAR 점수는 출생 직후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빠르고 간단한 방법이다. 신생아가 처음으로 자궁 밖으로 나와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검사는 다섯 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지며, 0점에서 2점까지 점수를 측정하여 총점을 통해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한다. 검사 항목으로는 피부색과 외모, 맥박 횟수, 자극에 대한 반응, 근육의 힘, 호흡이 있다. [1] 1.2. 미숙아 및 저체중 출생아의 특성 미숙아는 태어날 때의 자세가 늘어진 자세로 사지가 신전되어 ...2025.03.22
-
아동간호학 성인과 아동의 생리학적 차이2025.03.291. 성인과 아동의 생리학적 차이 1.1. 고위험 신생아 개요 및 분류 고위험 신생아란 재태 연령이나 출생 시 체중에 관계없이 자궁 밖의 생활에 적응하기 어렵거나 출생과 관련된 문제로 사망률이나 이환율이 평균 이상인 신생아를 의미한다. 고위험 신생아는 출생체중에 따라 저출생 체중아, 극소저출생 체중아, 초극소저출생 체중아로 분류되며, 재태기간에 따라 미숙아, 만숙아, 과숙아로 나뉜다. 또한 자궁 내 성장에 따라 재태기간에 비해 작은 체중아, 재태기간에 비해 큰 체중아로 구분된다. 고위험 신생아와 만삭아를 비교하면, 고위험 신생아는...2025.03.29
-
고위험 신생아 체온조절2025.03.071. 신생아의 건강증진 1.1. 체온조절 신생아는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고, 피하지방이 부족하며, 몸이 양수에 젖어있어 열손실이 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출생 직후 신생아의 몸은 양수로 덮여 있으므로 태어나자마자 린넨으로 감싸 증발을 통한 열손실을 막아주어야 한다. 또한 신생아의 피부가 차가운 곳에 직접 접촉되면 전도성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따뜻한 침요 위에 두어 전도성 열손실을 막는다. 주위 공기의 온도가 낮을 때 발생하는 대류성 열손실을 막기 위해 적절한 주위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며, 신생아에 직접 닿지 않는 찬 물체로 인...2025.03.07
-
현문사 아동 호흡2024.09.011. 고위험 신생아의 간호 1.1.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는 크게 크기, 재태연령, 사망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크기에 따라 저체중출생아, 극소저체중출생아, 초극소저체중출생아, 적정체중아, 주당경량아, 자궁 내 성장지연, 부당중량아로 구분된다. 재태연령에 따라 미숙아, 만삭아, 후기미숙아, 과숙아로 구분된다. 사망률에 따라 생존출생, 태아사망, 신생아 사망, 주산기 사망률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신생아의 건강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고위험 신생아를 분류할 수 있다." 1....2024.09.01
-
정상분만 신생아 시뮬2024.10.271. 신생아 신체검사 및 신체사정 1.1. 아프가 점수(Apgar score) 아프가 점수(Apgar score)는 신생아의 자궁외 생활에 대한 최초의 적응을 사정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아프가 점수는 5가지 영역 혼합점수(0~10점 범위)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심박동수, 호흡노력, 근력, 자극에 대한 반응, 피부색을 평가한다. 이러한 아프가 점수는 출생 후 1분과 5분 후에 평가되며, 영아상태가 안정될 때까지 반복 측정된다. 아프가 점수 결과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총점이 0~3점인 경우 심한 적응곤...2024.10.27
-
아동간호사 역할수행중 직면하는 윤리적 딜레마 예시 외 해결방안2024.09.141. 아동간호사의 역할과 윤리적 딜레마 1.1.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 요약 1.1.1. 아동과 가족의 옹호자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 중 하나는 아동과 가족의 옹호자이다. 아동도 건강과 질병 상태에 대해 알 권리, 치료 형태를 결정•상담받을 권리를 갖는다. 부모의 권리와는 별개로 아동도 독자적인 법적 권리를 갖는다. 치료나 간호가 고려될 때 부모의 동의와 함께 아동의 동의도 중요하다. 아동의 과보호, 무관심, 학대가 만연한 만큼 옹호자로 전문간호사가 중요시 되고 있다. 아동의 성장 및 건강유지의 중요성과 질병의 예방을 강조한다....2024.09.14
-
미숙아 발달지지2024.09.291. 고위험 신생아 간호 1.1. 신생아의 분류 신생아는 출생 시 체중, 재태기간, 그리고 발달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먼저 출생 시 체중에 따라 저체중아(Low Birth Weight), 극소 저출생 체중아(Very Low Birth Weight),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Extremely Low Birth Weight)로 나뉜다. 저체중아는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신생아이며, 극소 저출생 체중아는 1,500g 미만,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는 1,000g 미만의 체중을 가진다"".[1] 재태기간에 따라서는 미숙아...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