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개
-
합금의 조직구성 3가지 및 조직의 명칭2024.10.201. 금속재료의 조직관찰 및 기계적 특성 평가 1.1. 금속재료의 구조와 특성 금속재료의 구조와 특성은 재료의 특성을 결정하는 근본이 된다. 금속재료는 원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자들의 배열 및 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특성을 보인다. 금속재료는 일반적으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원자들은 결정 격자를 형성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결정구조는 금속재료의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금속재료의 결정구조는 주로 면심입방구조(FCC), 체심입방구조(BCC), 육방밀집구조(HCP)...2024.10.20
-
광촉매 TiO22024.10.301. 이산화티타늄(TiO2)의 광촉매 특성과 활용 1.1. TiO2의 기본적인 성질 1.1.1. 티탄과 산소의 성질 티탄(Titanium)은 주기율표 제4A족에 속하는 금속원소로, 티타늄이라고도 한다. 티탄의 원소기호는 Ti, 원자번호는 22, 원자량은 47.88이다. 산화수는 +2, +3, +4이며, 전기음성도는 1.6이다. 실온에서 금속 상태로 존재하며, 녹는점이 1933K, 끓는점이 3560K, 비중은 4.50(20℃)이다. 티탄은 1789년 영국의 W.그레거가 콘월 지방에서 산출된 사철(砂鐵)에서 새로운 산화물을 추출...2024.10.30
-
탄소강 문제점2024.11.101. 철의 제조공정 1.1. 제선 공정 제선 공정은 철광석, 코크스, 석회석을 용광로에 투입하고 코크스에 점화하여 1500~2000℃까지 온도를 올리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철광석 속의 산화철은 환원되어 선철(熔銑)이 되어 용광로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비중차이로 인해 철광석은 용광로 위로 떠올라간다. 용광로 아래쪽 구멍을 통해 선철을 뽑아내는데, 이 선철은 불순물이 6~8%나 포함되어 있어 품질이 매우 낮다. 따라서 이 선철을 제강 공정에서 정련하여 탄소강을 만들어야 한다."선철을 만드는 제선 공정의 주요 절차는 다음과 같다...2024.11.10
-
재료결정학2024.10.261. 결정 구조 분석 1.1. 면심입방격자와 육방최밀격자 면심입방격자(face-centered cubic, FCC)와 육방최밀격자(hexagonal close-packed, HCP)는 대표적인 결정 구조의 유형이다. 면심입방격자는 정육면체 단위포의 각 면 중심에 원자가 배치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원자 간 가장 가까운 거리는 단위 모서리의 1/√2배가 되며, 이를 통해 원자 간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면심입방격자의 원자 밀도는 높아 원자가 가장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는 구조 중 하나이다. 이로 인해 면심입방격자 구조를 가...2024.10.26
-
지르코니아2024.10.281. 지르코니아(Zirconia)의 정의와 특성 1.1. 지르코니아의 정의 지르코니아(Zirconia)는 화학식 ZrO2인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이다. 지르콘광상에서 산출되는 은백색의 단단한 희유금속 원소로서, 분자량은 123.22이며 녹는점이 2700℃로 매우 높은 내열성 재료이다. 지르코니아는 저온형(단사결정계)과 고온형(정방결정계)의 두 가지 결정구조를 갖는다. 특히 지르코니아는 굴절률이 크고 내식성이 강하여 유리용융용, 제철제강용 등 내열 재료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세라믹 재료로서의 우수...2024.10.28
-
강유전체 합성과 상전이 결과2024.10.181. BaTiO3의 구조 분석과 상전이 온도 측정 1.1. XRD를 이용한 BaTiO3 구조 분석 1.1.1. BaTiO3 합성 과정 BaTiO3 합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BaTiO3 1g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BaCO3 508.4 mg과 TiO2 207.4 mg을 사용한다. 이들 물질을 계량한 후 에탄올과 혼합하여 120RPM으로 24시간 동안 지르코니아볼(3-5mm)을 넣어 혼합한다. 이후 1차 건조는 90도에서 1시간 동안, 2차 건조는 90도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한다. 그리고 Muffle furnace에서 600도로 1...2024.10.18
-
XRD 보고서2024.10.141. 분말 X선 회절법에 의한 단위세포 결정 실험 1.1. 실험 목적 XRD를 알고, 이용하여 시료의 XRD패턴을 알아보고, 어떤 입방격자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즉, 분말 X선 회절법을 통해 시료의 결정구조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결과 1.2.1. KCl 결과 KCl의 XRD 실험 결과에 따르면, 측정된 회절 피크들이 원시 입방격자(primitive cubic lattice)의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h, k, l 값에 상관없이 모든 반사면의 회절 peak가 나타나고 있으...2024.10.14
-
다결정 박막2024.11.191. 다결정 박막 코팅 및 분석 1.1. 실험 개요 1.1.1. 실험 제목 실험 제목은 "다결정 박막 코팅 및 분석"이다. 이 실험은 다결정 물질의 특성을 이해하고, 스핀코팅과 원자힘현미경(AFM) 기술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단결정과 다결정의 구조적 차이를 XRD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1.1.2. 실험 날짜 실험 날짜는 2021년 11월 11일(목요일)이다. 이는 [참조한 문서의 document index: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1.1.3. 실험 목적 다결정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AFM, Spin-...2024.11.19
-
순물질과 혼합물의 녹는점측정2025.03.251. 서론 1.1. 실험 목적 순물질과 혼합물의 녹는점 측정 실험의 목적은 순수한 고체 화합물의 녹는점을 측정하고, 혼합물의 녹는점을 측정하여 시료의 순수성과 녹는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순수한 물질의 녹는점은 물질의 특성 중 하나이며 일정한 값을 가진다. 순물질은 일반적으로 0.5~1°C의 좁은 녹는점 범위를 나타낸다. 반면 혼합물의 녹는점은 혼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의 성질과 상대적인 조성비에 따라 다르며, 순물질의 녹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다. 또한 혼합물의 녹는점 범위는 더 넓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