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72개
-
감염관리 사례와 대처방안2024.10.031. 서론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의 유행,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으로 인한 국내 의료기관의 C형간염 집단감염 사태, 종합병원 중환자실의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의 유행과 2018년 1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집단 사망한 신생아들의 사인으로 추정되는 의료관련감염 과 관련한 문제 등 감염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감염관리에 대한 병원의 책임과 역할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현재 국...2024.10.03
-
신생아실 물품 사용목적2024.08.281. 신생아실 감염관리 규정 1.1. 목적 및 정의 신생아실 감염관리 규정의 목적은 병원 내 모든 신생아의 관리 등의 과정에서의 감염발생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신생아실 감염관리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신생아실은 산과의 분만, 제왕절개 수술로 태어난 모든 신생아의 처치 및 관리를 수행하는 곳을 말한다. 1.2. 정책 제3조 정책은 병원 내 모든 신생아의 관리 등의 과정에서 감염발생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신생아실 감염관리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사항이다. 첫째,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의 권고사항에 기반을 둔 본원의 감염관리...2024.08.28
-
췌장염을동반한 담관염 케이스스터디를찾아요 간호진단은 통증, 고혈당입니다2024.08.281. 서론 담관염은 담관 계통에 발생하는 급성 또는 만성의 염증질환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담관염은 급성 담관염(Acute cholangitis)을 의미하며 심한 경우에는 혈압저하, 의식저하를 동반한 전신의 세균감염(패혈증)으로 사망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이다. 1970년대 심한 담관염일 경우 사망률이 50%에 육박하였으나 치료가 발달하면서 현재는 많이 감소한 상태이다. 하지만 Severe case의 경우 여전히 20-30%의 사망률의 고위험 질환이다. 그러므로 담관염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보기로...2024.08.28
-
Nursing narrative2024.08.281. 중환자실 간호 1.1. 중환자실 환경 및 구조 중환자실은 중증 환자의 집중치료와 감시를 위해 특수하게 설계된 공간이다. 중환자실의 환경 및 구조는 다음과 같다. 중환자실은 일반 병동과 구분되는 독립적인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10-20개의 병상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중환자실은 문이 있는 폐쇄된 공간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환자의 안전과 감시를 위해 중앙모니터링 스테이션이 있다. 모든 침상에는 활력징후 모니터(EKG, SpO2, 혈압 등)가 설치되어 환자의 생체 징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천장 레일이나 천정 크레...2024.08.28
-
아동간호학 실습 체크리스트2024.08.281. 신체계측 1.1. 키 키는 아동이 똑바로 섰을 때 재는 길이로, 신발을 벗고 머리를 몸의 중앙선에 두고 시선은 바닥과 평행하게 고정한 후 똑바로 선 자세에서 측정한다. 이때 24~36개월까지의 아동의 경우 앙와위로 누워 몸 길이(length)를 측정한다. 연령에 따른 아동의 정상 키 발달은 다음과 같다. 3세 아동의 평균 키는 95cm, 4세는 103cm, 5세는 110cm이다. 아동의 키는 연간 6-7.5cm 정도 안정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골격발달의 지표가 된다. 학령전기 아동의 몸매는 약간 마른 편이지만 단단하고 ...2024.08.28
-
중환자실 안전관리2024.09.091. 중환자실 환경 및 시설 1.1. 중환자실의 종류, 구조와 시설 중환자실의 종류, 구조와 시설은 다음과 같다. 중환자실에는 응급중환자실(ACU), 심장내과중환자실(CCU), 흉부외과중환자실(CSICU), 내과중환자실(MICU), 신생아중환자실(NICU), 신경내과중환자실(NRICU), 신경외과중환자실(NSICU), 소아중환자실(PICU), 외과중환자실(SICU)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들은 각각 담당 질환이나 연령대에 따라 구분되어 운영된다. 중환자실은 병원 내 각종 부서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병원의 중앙에 위치하는 ...2024.09.09
-
통합실습 임상 포트폴리오2024.09.091. seizure 질환의 임상포트폴리오 1.1. 임상 에피소드 신경과 실습 중에 만난 문OO(F/49) 환자는 7/23 16:20 집에서 고개를 돌리며 거품을 물고 1분 정도 전신 떨리는 양상을 보이며 침대에서 떨어졌다. 이후 대화가 불가능하고, 소리를 지르며 몸서리치는 모습을 보여 119로 이송되어 7/24 43병동 처치실로 입원하였다. 응급실 내원 당시 활력징후는 196/81-116-30-36.9, Sat 89%였다. 나는 환자가 43W로 입원하기 전에 침대 정리를 하였으며, 환자가 입실하면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EKG...2024.09.09
-
중환자실 flow sheet2024.09.091. 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 1.1. 중환자실의 종류 중환자실의 종류는 크게 진료에 따른 분류, 장기에 따른 분류, 증상에 따른 분류로 나뉜다"" 진료에 따른 분류에는 내과계 중환자실(MICU: Medical ICU), 외과계 중환자실(SICU: Surgical ICU), 소아 중환자실(PICU: Pediatric ICU), 신생아 중환자실(NICU: Neonatal ICU), 산과 중환자실(FICU: Fetal-Maternal ICU)이 있다"" 장기에 따른 분류에는 호흡기계 중환자실(RICU: Respiratory IC...2024.09.09
-
간호관리학 간호진단2024.09.081. 간호 단위 사정 1.1. 간호 단위의 구조와 간호 인력 파악 응급병동의 구조는 총 30병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응급병동의 간호 인력은 총 1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간호사 1명, 주임간호사 1명, 일반간호사 15명, 업무 보조 1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무별 인원은 주간 근무 4명(수간호사 1명, 일반간호사 3명), 저녁 근무 3명(일반간호사 3명), 야간 근무 3명(일반간호사 3명, 단, 금요일과 토요일은 2명)이다. 간호전달체계는 팀 간호 방법(team nursing method)을 사용하고 있으며, 팀 리더인 간호사...2024.09.08
-
혈액감염 검사2024.09.091. 신체방어시스템 검사 1.1. CRP (C-Reactive Protein) 검사 CRP (C-Reactive Protein) 검사는 조직의 손상이 있는지를 검색할 때, 질환의 중증도를 평가할 때, 질환의 경과관찰 등에 유용한 검사이다. 피검혈청 중의 CRP와 항원 ∙ 항체반응을 일으켜 응집체를 형성하면 양성으로 판단한다. 실험 결과 대조용 양성 혈청에서는 응집이 일어났지만 대조용 음성 혈청에서는 응집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CRP 검사가 조직의 손상 여부와 질병의 활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라는 것을 알 수...2024.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