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자음 체계의 변천2024.12.041. 언어의 변천과 표기법 1.1. 국어 표기법의 변천 1.1.1. 향찰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의 한 방식이다. 향찰에서는 개념을 나타내는 부분은 한자의 본뜻을 살려서 표기하고, 조사나 어미와 같이 문법관계를 나타내는 부분과 단어의 어말음의 부분은 한자의 뜻을 버리고 표음문자로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향찰은 완전한 한국어의 어순으로 배열하였고 가자의 부분인 토가 조사나 어미를 거의 완벽하게 표기하고 있다. 또한 고유명사가 아니라도 "丘物叱丘物叱"과 같이 '가자+가자'의 연결구조를 사용한 예도 적지...2024.12.04
-
향가와 고려가요에 대하여 학습했습니다. 향가 작품과 고려가요 작품을 살펴보고 형식적인 특징을 찾아 차이점을 기술하십시오. 각 갈래의 대표작품을 예로 들어 제시하십시오2025.07.301. 서론 우리나라의 고전시가 중 향가와 고려가요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향가는 신라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존재했던 시가문학이며, 고려가요는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민요와 같은 성격의 시가문학이다. 이 두 갈래의 문학은 각각의 역사적,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향가는 주로 향찰로 표기되어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표기되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 특성을 지닌 최초의 시가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향가에는 민요, 동요, 임금을 그리워하는 내용, 주술적인 내용과 불교적 내용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2025.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