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강원도 영동 방언 조사 연구2024.12.101. 강원도 영동 방언의 특징 1.1. 강원도 방언권의 구분 강원도는 대개 영서 방언권과 영동 방언권으로 나눌 수 있다. 영서 방언권은 춘천과 원주를 중심으로 하여 이 두 도시를 잇는 지역으로서 이른바 사투리가 별로 없다고 일컬어지는 지역이다. 즉, 서울말, 또는 경기도 말과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기도에 인접한 지역이다. 그리고 이 이외의 지역을 일단 영동 방언권으로 묶을 수 있다. 영동방언권은 북단영동방언권, 강릉방언권, 삼척방언권, 서남영동방언권의 네 하위방언권으로 세부구분을 할 수 있다. 1.2. 영동방언의 음운론...2024.12.10
-
문법정리2024.10.261. 언어의 문법적 특징 1.1. 국어의 형태적 특성 1.1.1. 적극적 가치 국어의 형태적 특성 중 '적극적 가치'는 국어 형태론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이다. 국어의 형태소들은 자립성과 의존성, 실질성과 형식성 등 다양한 갈래로 나뉘는데, 이 중 국어에서 가장 발달한 것이 바로 조사와 어미와 같은 의존 형태소들이다. 이러한 의존 형태소들은 문법형태로서 독자적인 지위를 가지며, 하나의 문법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는 특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주격조사 '이/가'나 목적격조사 '을/를'은 주어와 목적어를 구분하는 기능을 ...2024.10.26
-
중세국어 문법2025.07.151. 중세국어 문법 1.1. 소실자 및 달라진 문자 1.1.1. ㅸ[β] 및 연서자 중세국어의 소실자 및 달라진 문자 중 ㅸ[β] 및 연서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ㅸ[β]은 양순 유성 마찰음으로 15세기 중반까지만 사용되다가 반모음 w로 변했다. 따라서 중세국어에서의 존재기간이 매우 짧았다. ㅸ[β]은 모음 앞에서 연서자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자음과 모음을 함께 표현하는 하나의 기호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연서자들은 당시 자음체계와 모음체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서가 되었다. 특히 중세국어 시기에 ㅸ[β]은 모음과의...2025.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