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중환자실 물품인수 인계대장2024.08.301. 간호단위 물품 관리 1.1. 물품 관리의 목표 간호단위 물품 관리의 목표는 간호단위 내 사용되는 물품들의 안정성, 완전성, 유용성, 청결성 및 편리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병동 내 물품들이 안정적으로 관리되어 간호업무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물품의 완전성과 품질을 유지하여 환자간호에 필요한 양질의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간호단위 내 물품들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각 물품의 목적과 용도를 명확히 하고, 간호사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물품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물품의 청결성 유지를 통해 감염의 위...2024.08.30
-
멸균구역 구분2024.09.101. 수술실 감염관리 1.1. 수술실의 무균관리 1.1.1. 수술실 무균술의 원칙 수술실 무균술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멸균영역에 들어오는 모든 물품은 멸균상태여야 한다. 멸균 물품이 비멸균 물품과 접촉하면 오염된 것이다. 오염된 물품은 즉시 멸균영역에서 제거해야 한다. 만약 오염된 물품이 작은 것이라면 그것을 제거한 후 오염된 부위를 멸균 천으로 덮어 표시해준다. 만약 전체가 오염되었다면 모든 물품을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둘째, 수술영역에서 일하는 의료진은 반드시 멸균 가운과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멸균 가운을...2024.09.10
-
Fmea 프로세스2025.07.181. FMEA 개요 1.1. 추진근거 환자안전법 제4조(보건의료기관의 장과 보건의료인의 책무)와 제9조(환자안전기준)는 환자안전 관리를 위한 추진 근거가 된다. 또한 4주기 요양병원 인증조사 기준에도 환자안전사건 분석과 개선활동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근접오류 환자안전사건 분석에 적합한 고장유형 및 영향분석(FMEA) 방법을 적용하여 투약오류에 대한 개선활동을 수행하고자 한다. 고장유형 및 영향분석(FMEA)은 프로세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실패 모드를 식별하고, 그 영향과 원인을 분석하여 사전에 예방하는 기법이다....202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