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요한웨슬리의 신학2024.10.211. 웨슬리의 신학운동 1.1. 18세기 철학사상과 도덕적 상황 웨슬리가 활동하던 18세기 유럽은 이신론(理神論)이라는 철학사상이 성행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당시 이신론자들은 기독교를 자연주의화하는 데 주력하고, 기독교에서 초자연적인 요소를 제거하는 작업에 몰두했다. 그리하여 이들 17세기와 18세기의 종교연구가들은 계시와 이성의 조화를 시도하기 시작했다. 더 나아가 위로부터 임하는 하나님의 계시(啓示)의 가능성과 전통적인 초자연주의에 대하여 질문을 제기하며, 마침내 신앙을 이성에 예속시키는 일을 강조하였다. 또한 18세기 ...2024.10.21
-
웨슬리 표준설교2024.11.041. 웨슬리와 감리교회 1.1. 18세기 영국의 시대적 상황 1.1.1. 이성의 시대 18세기는 이성의 시대였다. 이성의 시대란 이신론의 시대를 말한다. 이신론(Deism)은 신이 창조주일 뿐 이 세상의 과정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사상이다. 따라서 기독교 내에 있는 초자연적인 것을 제거하고자 했으며, 신앙을 이성에 예속시키는 일을 강조했다. 이러한 합리적 철학이 영국에서 일어난 것과 때를 같이하여, 독일에서는 합리주의가 일어났다. 18세기 독일의 합리주의는 성경의 합리적 해석, 즉 신화와 초자연적 기적을 부인하고 역사적 예수...2024.11.04
-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 비교 및 예정론 역사2025.04.191. 서론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의 비교, 예정론의 역사 등은 지금까지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신학적 논쟁의 주제이다. 이는 인간 구원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의지에 관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견해차로부터 비롯된다. 사람들은 예정이 과연 정의로운 것인지, 인간의 의지와 노력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해왔다. 본 레포트에서는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그 뿌리가 되는 어거스틴, 칼빈, 알미니우스 등 역사적 인물들의 예정론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신학적 논쟁에 대한 체계...2025.04.19
-
구원 은총 예정2025.07.311. 구원론의 역사적 관점 1.1. 어거스틴의 예정론 어거스틴은 창세 전부터 하나님께서 구원받을 자와 멸망당할 자를 예정하셨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당시 펠라기우스학파의 주장인 인간의 자유의지에 의한 구원 가능성을 반박하였다. 어거스틴은 인간이 원죄로 인해 전적으로 타락하여 선을 행할 능력을 상실하였기에,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와 주권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어거스틴의 예정론은 하나님께서 창세 전부터 일부 사람들을 구원하기로 선택하셨고, 이들은 반드시 구원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어떤 선행이나 의지...202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