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임신 중 산모의 혈소판 감소증은 전체의 약 10%로, 원인으로는 임신으로 인한 혈장 액의 증가 및 호르몬의 작용, 임신 중 태반 관류에 의한 혈소판소모증가 등이 관여한다. 임신 중 혈소판 감소증에 이환된 산모에게서 혈소판 감소증을 가진 아기가 태어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모체의 항혈소판 항체가 태반을 통과함으로써 태아의 혈소판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신생아 혈소판 감소증을 앓고 있는 신생아에 대해서 case study를 통해 질환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습득과 이에 ...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