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예배음악과 구도자 중심의 열린예배 분석2025.02.181. 서론 1.1. 예배음악과 구도자 중심의 열린예배 분석 예배음악은 기독교회 예배에서 오랜 세월을 통하여 지속적인 변천의 과정을 거듭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예배 음악이 눈에 띄게 많은 발전과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그에 대한 필요성과 우리의 태도 등을 통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구약성경에서는 모세와 그의 노래, 미리암의 찬양, 시편 98편 등에서 여호와의 영화로우심과 위대하심을 찬양하였다. 신약성경에서도 마리아와 바울 등이 하나님께 찬양을 드렸다. 성경은 피조물이기에, 예수님께서 찬양하셨기에, 하나님께 드리는 제물이 되...2025.02.18
-
초기 기독교 내에 생겨난 배교자와 그에 따른 교회의 엇갈린 반응과 결과에 관해2024.09.271. 공동서신의 신학 1.1. 히브리서의 신학 1.1.1. 그리스도와 그의 사역 히브리서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를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첫째,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소개한다. 그리스도는 선재하신 영원한 아들로, 성육신하신 지상의 아들로, 그리고 승귀하신 아들로 설명된다. 저자는 구약의 언어들을 분석하며 그리스도께서 다른 선지자들, 특히 모세와 비교할 때 얼마나 뛰어난 아들인지 설명한다. 그리스도의 신적이고 뛰어나신 부분뿐만 아니라 그의 고난과 죽음이 인류에게 구원과 승리를 제공하였다는 점도 강조된다. 둘째...2024.09.27
-
요한계시록2024.11.031. 요한계시록 4장 주해 1.1. 저자, 목적과 주제 요한계시록을 기록한 저자는 예수님의 열두 제자 중 한사람인 세배대의 아들 사도 요한이다. 계시록은 이 책의 저자를 '요한'이라고 말한다(1:1,4,9; 22:8). 이 요한은 요한복음과 요한서신들의 저자와 동일한 사도요한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책의 '제일 저자)는 하나님이라는 사실이다. 사도요한은 밧모섬에서 직접 하나님의 계시를 보고 들었으며(계1:9-11; 22:8), 그 보고 들은 바를 기록했다(계1:11,19; 19:9). 우리는 이 말을 그대로 믿어야...2024.11.03
-
하나님 나라를 욕망하라 서평2025.06.201. 서론 1.1. 하나님 나라를 욕망하는 제자 형성 하나님 나라를 욕망하는 제자 형성이다. 기독교 교육과 예배의 근본 목적은 하나님 나라를 욕망하는 급진적인 제자들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마음과 열정을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특정한 부류의 사람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인간은 지성보다 사랑(욕망)이 더 중요한 존재이다. 인간은 사랑하는 대상을 예배하며, 이해보다 예배가 먼저이다. 신념보다 실천이 우선이다. 교리보다 예배가 선행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쇼핑몰, 경기장, 대학 등 세속적 예전은 우리의 상상력을 붙잡고 하나님 나라...2025.06.20
-
현대조직신학 요약 - 인간론 구속언약2025.06.031. 인간론: 구속언약 1.1. 언약의 명칭과 개념 1.1.1. 언약의 명칭 구약에서 '언약'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항상 베리트(berith)이다. 그 어원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자르다'는 의미의 히브리어 동사 바라(bara)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측된다. 베리트는 쌍방간에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합의 또는 어느 한편이 다른 편에게 부과하는 약정을 의미한다. 신약에서 70인역에서 베리트는 대부분 디아데케(diatheke)로 번역되었다. 디아데케는 일반적인 그리스어 용법에서 '언약'을 의미하기보다는 '약정' 또...2025.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