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고위험산모 간호2024.09.051. 산후 건강관리 1.1. 산후출혈 1.1.1. 원발성 산후출혈 원발성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일어나는 산도에서의 출혈을 의미하며, 출혈량이 많고 짧은 시간 내에 많이 진전된다. 원발성 산후출혈은 산후출혈의 90%를 차지하며 이완성 출혈과 열상성 출혈로 나뉜다. 원발성 산후출혈은 주로 자궁퇴축부전(subinvolution of uterus)으로 인해 발생한다. 자궁근종이나 감염, 태반조직의 잔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산모는 보통 500mL 이상의 출혈을 보이며, 오로의 색깔이 쉽게 변하지 않고 계속 붉은 오...2024.09.05
-
고위험 산모2025.02.141. 고위험 산모 1.1.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나 산욕기 초기에 발생하는 고혈압으로, 단백뇨 유무에 따라 임신성 고혈압과 전자간증으로 구분된다. 예후는 분만 후 10일 내에 소실되며, 관리의 핵심은 철저한 혈압 모니터링과 신속한 치료이다. 임신성 고혈압의 위험 증상으로는 급격한 혈압 상승, 몸무게 급증, 전신 부종, 단백뇨 증가, 가슴 통증, 과반사, 심한 두통, 시각 장애, 핍뇨 등이 있으며, 이를 주기적으로 사정하여 관찰해야 한다.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경우 항고혈압제인 히드랄라진을 투여하여 조...2025.02.14
-
산후출혈 위험성, 유방의급성통증2025.05.301. 산후출혈의 위험성 1.1. 원발성 산후출혈 원발성 산후출혈은 분만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이다. 산후출혈의 90%는 원발성 출혈로, 이완성 출혈과 열상성 출혈로 나뉜다. 이완성 출혈은 자궁 수축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열상성 출혈은 분만 중 자궁, 질, 외음부의 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원발성 산후출혈은 쇼크, 저섬유소혈증, 신장기능부전, 뇌하수체전엽 괴사증, 양수전색, 감염, 유즙분비장애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분만 직후 자궁 수축을 촉진하고 출혈 부위를 지혈하는 등의 신속한 간호 중재가 필요...2025.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