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임상병리 수혈학2025.06.071. 서론 1.1. 임상병리학의 개요 임상병리학(clinical laboratory science, CLS, medical technology)은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한다. 임상병리학은 환자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하는 분야로,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의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어 ...2025.06.07
-
갑상선기능항진증 케이스2025.07.171. 문헌고찰 1.1.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항진증은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과 분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갑상선의 활동이 과도한 상태이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흔하고 20~40대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가장 흔한 형태는 그레이브스병이다. 그레이브스병은 병인을 알 수 없는 자가면역질환으로 광범위 갑상선비대와 갑상선호르몬 과잉분비가 특징이다. 그레이브스병은 갑상선기능항진증의 75%를 차지한다. 불충분한 요오드 섭취, 감염, 스트레스 생활 사건과 같은 촉진인자가 그레이브스병을 유발하는 유전 인자...202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