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지금의 성선설 성악설 서론2024.10.081. 맹자와 순자의 성론 검토 1.1.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과 옹호 1.1.1. 성선설에 대한 비판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면, 먼저 노상균의 견해를 들 수 있다. 노상균은 맹자의 논리가 언뜻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된 거짓명제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맹자가 말한 "그 누구든 깜짝 놀라고 측은한 마음을 갖게 될 것이다"라는 추론은 순전히 주관적인 억측에 불과하다. 불인지심은 후천적인 사회적 교육을 통해 배양되는 윤리관념이기에, 열악한 환경에 놓인 사람이나 ...2024.10.08
-
인지적 측면을 강조한 도덕성이론과 정의적 측면을 강조한 도덕성 이론을 비교설명하시오2025.07.171. 서론 1.1. 도덕성 이론의 개념과 중요성 도덕성은 인간의 태도, 관습, 규범 등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전통적으로 도덕성은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될 수 있는데, 하나는 사회가 정한 외적 규범을 개인이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이 가진 판단력이나 비판력 등 사고력으로 바라보는 관점이다. 도덕성을 내용적 측면에서 규정하면 성실, 관용, 봉사, 정직 등 특정 덕목을 의미하지만, 도덕성을 형식적 측면에서 규정하면 개인이 일상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문제를 어떻게 평가하고 판단하는지에 중점을 두게 된다. 결국 도...202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