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급성 방광염의 개요
1.1. 정의 및 병인
급성 방광염은 요로감염의 분류 중 한 가지로, 요로계의 해부학적, 기능적 이상 없이 세균이 침입하여 발생한 감염으로 인해 염증이 방광 내에 국한되어 나타나고 다른 장기에는 염증이 없는 질환이다. 방광염은 세균 자체의 독성과 개인의 세균에 대한 저항력 또 해부학적 및 기능적 상태에 따라 발생한다.
원인균은 80% 이상이 대장균이며 장구균, 포도상구균, 간균 등도 급성 방광염의 원인이 된다. 급성 방광염은 요도로부터 세균이 타고 올라가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한데, 특히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요도가 짧고 장내세균이 많은 항문과 세균이 잘 자랄 수 있는 질입구가 요도와 가까워 세균이 쉽게 방광쪽으로 이동하여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1.2. 위험요인
급성 방광염의 주요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요도가 짧고 항문과 질구가 요도에 인접해 있어 병원균의 상행성 감염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급성 방광염 발생률이 더 높다. 특히 성관계 후와 같은 특정 시기에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폐경 이후 여성은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해 요도와 방광 내층이 얇아지고 질의 윤활 정도가 감소되면서 감염과 손상을 입기 쉬워진다. 따라서 폐경 이후 여성의 급성 방광염 발생률이 증가한다.
그 밖에도 임신, 당뇨, 방광 내 장치(도뇨관 등), 방광 확장 등 방광 점막의 손상이나 방광의 기능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감염 위험이 높다. 또한 섹스 후 배뇨 지연, 부적절한 위생습관, 비타민 C 결핍, 스트레스, 탈수 등도 위험요인이 된다.
1.3. 증상
급성 방광염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아동의 급성 방광염 증상은 빈뇨, 배뇨곤란, 요실금 및 하복부 동통이 있다. 특히 소변을 볼 때 따갑고 아프며 자주 마렵다. 실금할 것 같은 느낌이 들며, 소변에서 냄새가 나고 색깔이 혼탁하게 나타난다. 고열과 구토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단순한 방광염 뿐만 아니라 신우신염처럼 상부요로까지 파급했을 가능성도 생각해야한다. 신생아나 영아에서는 고열이 가장 흔하고 심히 보채거나 설사, 구토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인다. 성인에서와 같은 전형적인 증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설명되지 않는 발열이 주 증상이다. 면역성이 약하고 요로계 기형이 동반된 경우에는 패혈증으로 진행되기도 쉽다. 연장아에서는 감염의 위치에 따라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는데 방광염에서는 빈뇨, 배뇨곤란 및 하복부 동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2. 진단 및 치료
2.1. 진단검사
급성 방광염의 진단검사는 다음과 같다.
소변검사를 통해 급성 방광염을 진단한다. 소변의 색, 투명도 및 농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요단백, 요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