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혈압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혈압의 정의와 분류
1.1. 고혈압의 정의
1.2. 고혈압의 분류
1.2.1. 1차성 고혈압
1.2.2. 2차성 고혈압
2. 고혈압의 병리 및 원인
2.1. 고혈압의 병리
2.2. 고혈압의 원인
2.2.1. 조절 가능한 원인
2.2.2. 조절 불가능한 원인
3. 고혈압의 임상증상과 합병증
3.1. 임상증상
3.2. 합병증
3.2.1. 뇌혈관계 합병증
3.2.2. 심혈관계 합병증
3.2.3. 신장 합병증
4. 고혈압의 생활관리
4.1. 체중감량
4.2. 식이관리
4.3. 운동
4.4. 금연 및 금주
4.5. 스트레스 관리
5. 고혈압의 약물치료
5.1.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
5.2.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5.3. 베타 차단제
5.4. 칼슘 채널 차단제
5.5. 이뇨제
5.6. 기타 고혈압 치료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혈압의 정의와 분류
1.1.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은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정상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를 말한다. 혈압은 심실이 수축할 때 혈액이 혈관의 벽에 미치는 힘이다. 심실의 수축으로 혈액은 높은 압력으로 대동맥으로 분출되는데 분출될 때의 최대 압력을 수축기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이라 하고, 동맥에 남아 있는 혈액의 압력을 이완기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라고 한다. 이완기 혈압은 동맥벽에 대해 미치는 압력 중 가장 낮은 시기의 혈압이다.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징후가 없고 종종 심근경색증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1.2. 고혈압의 분류
1.2.1. 1차성 고혈압
1차성 고혈압은 원인이 불분명한 고혈압으로, 본태성 고혈압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에 해당하며, 한국 고혈압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1차성 고혈압이 생기는 정확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고나트륨식이로 인한 체내 혈류량 증가 또는 호르몬 불균형으로 말초 혈관 저항이 커졌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고혈압의 위험인자로는 고혈압 가족력, 음주, 흡연, 고령, 운동부족, 비만, 고나트륨식이,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심리적 요인이 있다. 따라서 1차성 고혈압은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한 고혈압이라고 할 수 있다.
1.2.2. 2차성 고혈압
2차성 고혈압은 특정한 질환이 원인이 되어 혈압이 높아진 경우이다. 1차성 고혈압과는 달리 원인이 명확하며, 비교적 젊은 사람들에게서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젊은 환자에게서 고혈압이 발생한 경우, 반드시 그 원인이 되는 질환을 찾아야 한다.
2차성 고혈압의 가장 큰 원인은 신장 질환이다. 신혈관성 고혈압이나 만성 신부전과 같은 신장 질환이 전체 2차성 고혈압 환자의 약 50-60%를 차지한다. 이외에도 부신 종양, 일부 선천성 심질환 등 다양한 질환들이 2차성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정 약물 복용 또한 원인이 될 수 있다.
2차성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1차성 고혈압에 비해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이완기 혈압이 120mmHg 이상으로 높거나 망막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 2차성 고혈압을 의심해볼 수 있다. 원인 질환을 제거하면 대부분 혈압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이 2차성 고혈압의 특징이다.
따라서 의사는 2차성 고혈압이 의심되는 경우 원인이 되는 질환을 신속히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환자의 예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2. 고혈압의 병리 및 원인
2.1. 고혈압의 병리
고혈압의 병리는 심박출량과 혈관저항의 조절에 의해 변화한다. 이러한 혈압조절 기전에는 신장, 심혈관계, 내분비계, 신경계가 관여한다.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심박동수와 수축력이 증가하여 말초동맥이 수축되고, 신장의 레닌분비가 자극되어 심박출량 및 혈관저항이 증가하므로 혈압이 상승한다. 또한 혈관내막기능부전증이 존재하는 경우 1차성 고혈압에 영향을 준다.
신장의 체액량 조절 기전도 혈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데,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가 혈압을 조절하며, 나트륨-수분 정체 시 정맥귀환량과 심박출량이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한다. 정상적인 신장 기능은 이뇨를 통해 혈압을 낮추지만, 1차성 고혈압에서는 이러한 기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내분비계 또한 에피네프린, 알도스테론과 같은 호르몬을 통해 혈압을 조절하는데, 고혈압 환자의 경우 이러한 기전에 하나 이상의 결함이 생겨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2.2. 고혈압의 원인
2.2.1. 조절 가능한 원인
고혈압의 조절 가능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만이다. 높은 체중은 혈압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비만인의 경우 고혈압의 위험이 정상체중을 가진 사람에 비해 약 5배 가량 높으며, 체지방이 10% 증가할 경우 수축기 혈압은 6mmHg, 이완기 혈압은 4mmHg 정도 증가한다. 따라서 비만인이 체중을 10% 감량할 시 혈압은 5~20mmHg 낮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둘째, 흡연이다. 흡연은 혈관을 수축시켜 고혈압을 야기하는 큰 원인이 된다. 흡연 시 수축기 혈압은 4.8mmHg, 이완기 혈압은 3.9mmH...
참고 자료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고혈압”,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090
김명숙, 손미순. (2013). 고혈압 성인에게 적용한 6개월의 코칭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0(2), 111-119.
메디컬옵저버, “비마그루맙”,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449,(2019.11.14.)
박준, 강길원, 탁양주. (2019). 고혈압 신환자의 뇌졸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보건연구, 45(1), 95-104.
서울대병원 건강정보, “고혈압”,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8/2/2.do
세브란스 체크업, “고혈압”, http://sev.iseverance.com/health/disease_nutrition/disease_nutrition/high_pres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