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00대학교 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에서 실습을 하면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진단명은 '폐렴'이었다. 폐렴과 관련된 진단명으로는 Hypoststic pneumonia(침하성 폐렴), Bacterial pneumonia(박테리아성 폐렴), Tuberculous pneumonia 등 많은 환자분들이 계셨는데 그 중 선택하게 된 환자분의 경우 폐렴의 대표적인 증상인 기침과 객담, 발열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분이셨다. 우리나라 전국의 보건소에서 지역사회 노인의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 만 65세 이상 대상자에게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을 정도로 폐렴은 노인에게 취약한 질병이며, 대표적인 호흡기 질환인 '폐렴'을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병태생리
폐렴은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 폐렴으로 발생할 수 있다"" 염증은 간질강과 폐포 그리고 세기관지에서 발생한다"" 발병 과정은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시작된다"" 세균이 번식한 부위에 수분과 삼출물이 고이고 다른 감염 증상들이 나타난다"" 백혈구가 폐포 내로 이동하여 폐포벽이 두꺼워지며 적혈구와 섬유소가 폐포내로 들어온다"" 액체가 폐포를 채우면 세균은 식균 작용을 피할 수 있으며 이 액체는 세균을 쉽게 다른 폐포로 이동하게 만들어 감염을 확산시킨다"" 염증성 섬유소와 부종은 폐를 경직시켜 폐 신장성과 폐활량을 감소시킨다"" 계면활성제(surfactant)의 생산 감소로 폐 신장성이 더욱 감소하여 무기폐(atelectasis)에 이르게 된다"" 폐의 환기 부족으로 저산소증이 유발되며 저산소증과 대사 요구의 증가로 빈맥과 빈호흡, 울혈성 심부전증, 쇼크, 부정맥 등이 발생한다"" 세균이 침입한 후 폐의 침습 정도는 숙주의 방어력에 달려 있다"" 면역력이 저하되면 세균이 급속히 번식하고 세균이 증식하면 농양(abscess)을 만들고 농양이 기관지 벽을 관통하면 조직을 괴사시킨다""
2.2. 원인
폐렴의 원인은 다양하며,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의식 수준 저하, 기관내 삽관, 공기 오염과 흡연, 영양 장애 등이 있다.""
의식 수준 저하는 기침반사와 후두개 반사를 억제하여 흡인성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기관내 삽관은 기침반사를 억제하고 점액섬모 방어기전을 손상시켜 폐렴에 취약하게 만든다. 공기 오염, 흡연, 상기도 감염 등은 점액섬모 방어기전을 손상시켜 병원균 침입을 촉진한다. 영양 장애는 림프구와 백혈구 기능을 변화시켜 구강인두 상주균의 증식을 유발할 수 있다.""
폐렴균은 크게 3가지 경로로 폐에 침입한다. 첫째, 비인두나 구인두의 상주균이나 토사물이 흡인되는 경우, 둘째, 공기 중 폐렴균이 기도를 통해 흡입되는 경우, 셋째, 신체의 다른 감염원에서 혈액을 통해 확산되는 경우이다.""
2.3. 증상
폐렴의 증상은 신체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전신적인 증상과 폐에 염증이 생겨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폐 증상이 나타난다.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 호흡기계 증상이 많이 나타나고,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두통, 피로감 등의 전반적인 신체적 질환을 호소한다.
폐 간질강과 폐포에 수분이 있을 경우에는 청진 시 악설음(crackles)이 들린다. 기도의 염증과 삼출물로 인해 천명음이 들리며 경화된 부위에서는 기관지 호흡음이 들린다. 폐렴 분위 촉진 시 진탕음(fermitus)이 증가하고, 타진 시는 약해진다. 흡기 시 흉부팽창이 감소되거나 동일하지 않다. 기립성저혈압이 나타난다. 급격하고 약한 맥박은 저산소혈증, 탈수, 쇼크 가능성을 의미한다.
폐렴 환자는 통증, 피로, 호흡곤란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불안이 증가된다. 불안은 얼굴 표정과 안면, 어깨 근육의 긴장 여부를 통해 사정한다.
""폐렴의 증상은 신체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전신적인 증상과 폐에 염증이 생겨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폐 증상이 나타나며, 구체적으로는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계 증상과 두통, 피로감 등의 전반적인 신체적 질환으로 불편함을 호소하게 된다.""
2.4. 진단/검사
증상과 징후 및 배양검사 결과에 의해 진단되지만 개개인에 따라 증상이 다른 경우가 많다. 균배양이 되면 정확하지만 균배양은 대략 50% 정도에서만 가능하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흉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며 객담검사, 혈액검사, 혈청검사, 흉막액 배양검사 등을 실시하기도 한다.
객담검사는 폐렴의 원인 병원체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객담의 균 배양 결과는 정확도가 50%정도로 높지 않다. 따라서 객담검사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