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요구조사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족교육론
2.1.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가족교육
2.1.1. 인터뷰 조사 및 교육프로그램 구성
2.2. 코로나19와 가족교육
2.2.1. 가족구성원 면담을 통한 가족 문제 조사
2.2.2. 가족 문제 예방 및 지원을 위한 가족교육 프로그램 구성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장애아동 어머니는 장애아동의 출생에 대해 자신의 가족들이 왜 이와 같은 일을 당하게 되는지에 대한 커다란 분노와 함께 미래에 대한 불안과 계속되는 긴장, 정서적인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발달장애아동 어머니가 겪는 부적응적 정서를 살펴보면 어머니는 자녀의 장애를 자신의 탓으로 돌려 자신에 대한 질책, 죄책감, 자기모멸감 등을 경험한다. 장애아동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관심사는 장애아동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계획된 교수활동을 최대한으로 아동의 참여를 불러일으키는 것에 있다. 특수교육은 장애아동들이 최소한의 제한된 환경에서 발달에 적합한 경험을 제공하고 발달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에 있다. 교사들은 장애아동들에게 제공하는 학습을 아동 스스로 최대한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따라서, 가족교육의 학습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을 한 명 선정하여 인터뷰를 통해 가족관련 정보 내용을 조사하고, 그의 교육내용에 부합하는 4시간 분량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해보고자 한다.
2. 가족교육론
2.1.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가족교육
2.1.1. 인터뷰 조사 및 교육프로그램 구성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가족교육에서 인터뷰 조사 및 교육프로그램 구성은 다음과 같다.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가족교육에서는 장애아동의 가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가족관련 정보와 교육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먼저 인터뷰 조사에서는 장애아동 가족의 기본인적사항(연령, 성별, 직업 등), 장애아동과 가족에 대한 정의와 특징, 그리고 가족교육에 대한 요구사항 등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 가족이 겪는 어려움과 필요한 교육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프로그램 구성에서는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 가족의 교육요구에 부합하는 ...
참고 자료
강영실, 장애인복지의 이해, 도서출판 신정, 2003.
김경진, 자폐아 형제의 우울과 사회적응,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
김미옥,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박지연, 가족 참여 및 지원의 실제, 자격연수, 2004.
최영하‧정창종 역(1990). 장애아의 감각운동 지도. 대구 : 대구대학교 출판부.
최혜륜‧이종희 역(1993). 정신운동 교육.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김형태, 김영빈 (2016). 가족교육론. 방송통신대 출판문화원.
이해주 외,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2
Andy. G. Family Education & Program. NY Press. 2019.
이화정 외,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의 실제, 학지사, 2003
박성연,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985
김종서, 노인과 학습, 대인노인회, 1982
나항진, 노인교육론, 교육과학사, 2004
권이종, 사회교육개론, 교육과학사, 1997
김선숙, 주요국의 노인교육 비교분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김은원 외, 노인대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일상생활능력과 건강노화 노력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003
김태현, 한국에 있어서의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83
류종훈외, 노인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2003
김경신. 노인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노년학연구,1996
김미혜, 노년을 위한 퇴직준비교육 모형의 개발, 한국노년학, 1993
이해주 외,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2
Andy. G. Family Education & Program. NY Press. 2019.
이화정 외,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의 실제, 학지사, 2003
박성연,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985
김종서, 노인과 학습, 대인노인회, 1982
나항진, 노인교육론, 교육과학사, 2004
권이종, 사회교육개론, 교육과학사, 1997
김선숙, 주요국의 노인교육 비교분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김은원 외, 노인대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일상생활능력과 건강노화 노력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003
김태현, 한국에 있어서의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83
류종훈외, 노인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2003
김경신. 노인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노년학연구,1996
김미혜, 노년을 위한 퇴직준비교육 모형의 개발, 한국노년학, 1993
김봉준, 뉴 실버세대를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