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분만의 단계
1.1. 분만 1기
분만 1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의 시작부터 자궁경관의 완전 개대(10cm)까지를 말한다. 분만 1기는 개대 정도에 따라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로 나눌 수 있다.
잠재기(0~3cm, 약 6~8시간)에는 수축이 부드럽거나 보통의 강도, 불규칙한 리듬, 5~30분 간격, 30~45초 기간으로 나타난다. 하강은 미산부는 0, 경산부는 -2~0 정도이며, 이슬은 갈색이나 분홍색으로 양이 거의 없다. 산부의 행동과 외모는 흥분되고 자신감 있으며, 수다스럽거나 조용하고 침착하지만 다소 걱정스러워 한다.
활동기(4~7cm, 약 3~6시간)에는 수축이 보통~강한 강도, 규칙적인 리듬, 3~5분 간격, 40~70초 기간으로 나타난다. 이슬은 분홍색~혈성 점액으로 양이 거의 없거나 적절하고, 산부는 더 심각해지고 조용해지며 통증에 대한 통제에 의문을 보인다.
이행기(8~10cm, 약 20분~40분)에는 수축이 강하거나 매우 강한 강도, 규칙적인 리듬, 2~3분 간격, 45~90초 기간으로 나타난다. 하강은 미산부가 +1~+3, 경산부가 +1~+3이며, 이슬은 혈성 점액이 다량 배출된다. 산부는 고통이 극심하고 요통, 좌절, 통제력 상실에 따른 두려움, 과민함 등을 보인다.
분만 1기 소요시간은 일반적으로 초산부 약 14시간, 경산부 약 8시간이 소요된다.
1.2. 분만 2기
분만 2기는 자궁경관의 완전개대부터 태아만출까지이며, 평균 분만 소요시간은 초산부 약 1시간 20분, 경산부 약 30분 정도이다."
잠재기에는 자연스러운 힘주기 충동이 시작되며, 산부의 자세변화와 걷기 등을 격려하여 태아의 하강을 돕는다. 산부의 노력을 격려하고 수축 사이사이에 휴식을 취하도록 도와 에너지를 아낄 수 있게 한다. 필요에 따라 편안한 자세와 통증완화 방법을 제공한다.
활동적인 힘주기(하강) 단계에서는 자연스러운 힘주기 노력을 계속 격려하고, 힘을 분산시키도록 팔을 위로 뻗어 잡도록 한다. 배설물이 나오면 회음부를 즉시 닦아주며, 격려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알려주며, 차분하고 조용한 환경을 만든다. 거울을 제공하여 분만 과정을 볼 수 있게 한다.
태아만출 단계에서는 아두가 가장 좁은 경선을 통과하도록 손가락으로 조절하고, 제대가 목에 감겨 있는지 확인한다. 필요시 제대를 풀어주며, 안전한 방법으로 견갑부를 배출한다. 양수나 혈액의 흡입을 방지하고, 정상 만삭아인 경우 탯줄 결찰을 한다."
1.3. 분만 3기
분만 3기는 태아만출부터 태반만출까지를 의미한다. 태반은 정상적으로 태아가 만출된 후 3~4회의 강한 자궁수축으로 박리되어 만출된다. 태반 박리는 보통 태아만출 후 5분 이내 발생하며, 태반박리 후 10분 이내에 태반이 만출된다. 분만 3기는 평균 초산부의 경우 30분~1시간, 경산부는 5~30분이 소요된다.
간호사는 분만 3기 동안 다음과 같은 중재를 수행한다.
첫째, 박리된 태반 배출을 쉽게 하기 위하여 산모가 힘주기를 하도록 도와준다. 둘째, 충분한 자궁의 수축을 위해 처방대로 옥시토신을 투여하여 출혈을 막는다. 셋째, 비약리학적, 약리학적인 통증완화 방법을 제공한다. 넷째, 위생적인 청결 방법을 사용한다. 다섯째, 태반박리, 만출과정, 회음부 관리에 대해 산모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여섯째, 투여되는 약의 목적을 설명한다. 일곱째, 눈간호 전에 아기에게 부모를 소개하여, 애착과정을 돕고 피부접촉을 위해 산모와 아기를 같이 감싼다. 여덟째, 신생아와 부모가 유대할 수 있는 개인적 시간을 주어 추억을 만들 수 있게 돕는다. 아홉째, 원한다면 모유수유를 격려한다. 열째, 분만 3기 이상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태반과 양막, 제대를 검사한다.
이와 같은 간호중재를 통해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안전한 분만을 도와줄 수 있다.
1.4. 분만 4기
분만 4기는 태반만출 후 1~4시간까지를 의미한다. 이 시기는 항상성이 재설정되는 생리적 회복기이며 출혈, 소변정체, 마취 부작용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다.
간호사는 분만 4기 산모의 건강상태를 면밀히 관찰하여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구체적인 간호중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취 후 회복에 대한 간호를 제공한다. 산모가 전신마취, 척추마취, 경막외마취를 받은 경우 의식 수준, 호흡, 혈액순환, 감각 회복 등을 주기적으로 사정하여 마취로 인한 부작용을 확인한다. 마취에서 완전히 회복되었을 때 산모가 안전하게 거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둘째, 분만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