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구약의 세계와 인성 과제
1.1. 이사야
1.1.1. 연대와 저작권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는 존경받는 예루살렘의 시민이고, 히스기야 왕이 신뢰하던 조언자입니다. 이사야는 B.C. 739년 웃시야 왕이 죽던 해에 소명을 받고, 므낫세 왕이 통치할 때까지 선지자 사역을 계속합니다. 그는 므낫세의 박해 때문에 순교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B.C. 697년에 므낫세가 왕자로 등극된 후 이사야가 공적으로 메시지를 선포했다는 명백한 증거가 없지만 아마도 이사야 후반부(사40-66장)에 기록한 형태로 그의 메시지를 보전했을 것입니다.
1.1.2. 역사적 배경
제 8세기 후반에는 10지파로 형성된 북쪽 이스라엘 왕국이 여로보암 2세의 사후 파국적 몰락으로 고통 받는다"" 그리고 B.C. 722년, 결국 사마리아는 앗수르의 침공으로 멸망하게 된다"" 이는 불신앙적인 왕들이 오랫동안 북쪽 이스라엘 왕국을 통치하며 성경적 믿음을 약화시킨 필연적 결과이기 때문이다""
한편 남쪽 유다마저도 타락한 아하스 왕의 통치 아래 이방 앗수르 왕에게 구원을 요청하며 불신앙의 길을 걷는다"" 이에 대해 이사야와 미가는 엄격하고 단호하게 선포한다"" 그러나 아하스 왕의 후계자로 등극한 히스기야는 신실한 왕으로, 우상을 숭배하던 단들을 모조리 헐어버리고 백성들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교육한다""
1.1.3. 개요
이사야 1-12장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이사야는 웃시야,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 4대의 유다 왕들 시대에 활동한 선지자이다. 그는 백성들의 죄를 지적하고 다가올 심판을 경고하였지만, 동시에 미래에 대한 희망의 비전을 제시하였다.
이사야서의 전반부(1-12장)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책망과 약속의 설교(1:1-6:13)에서는 심판과 은혜에 직면한 유다의 반역, 죄를 책망하심, 이스라엘을 향한 심판과 포로생활, 그리고 이사야의 회개와 소명이 나타난다"".
둘째, 임마누엘의 설교(7:1-12:6)에서는 메시야 구원의 전조와 세상 왕국의 멸망, 영광의 왕국 도래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셋째, 이방나라들에 대한 무거운 심판(13:1-23:18)에서는 바벨론과 여러 이방나라들의 멸망이 예언된다"".
넷째, 총체적인 책망과 약속의 설교(24:1-27:13, 28:1-33:24)에서는 보편적 죄와 심판, 시온의 구원자 여호와를 찬양하고, 이스라엘의 불신자에 대한 진노의 메시지가 전해진다"".
이처럼 이사야 1-12장은 심판과 구원의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특히 메시야 구원 이야기가 중심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1.1.4. 이사야 내용 연구
이사야는 남쪽 유다가 앗수르의 위협을 받던 시기에 활동한 선지자로, 유다 왕 웃시야,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 4대에 걸쳐 장기적으로 사역을 수행했다"" 그는 B.C. 701년 앗수르의 공격으로부터 예루살렘을 구원한 히스기야의 부흥운동에 큰 힘을 보탰다"" 이사야는 백성들의 죄를 지적하고 다가올 심판을 경고하였지만, 미래에 대한 그의 비전은 희망으로 가득했다"" 하나님이 백성들을 구원하시기 위해 인격적 메시야로 오실 것이며, 영원한 왕국을 세울 것이라고 예언했기 때문이다""
이사야의 비전은 히스기야 시대에 있었던 예루살렘의 구원 이야기(사 36-39장)를 기점으로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뉜다"" 전반부는 심판과 앗수르 제국을 강조하고, 후반부는 이사야보다 150년 후에 등장한 바벨론 제국과 미래의 영광을 강조한다""
이사야서의 가치는 오늘날 우리에게 무한하다"" 특히 하나님이 여전히 죄 많은 인간들을 사랑하여 구원하길 갈망한다는 이사야의 말씀은 우리를 감격시킨다""이사야의 환상(사 1-12장)에서 그는 유다의 네 왕 웃시야,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 시대에 가장 영향력 있는 선지자로 활동했다"" 그는 외국 세력과 맺은 동맹을 경고하고, 이스라엘과 유다의 죄를 담대히 비난하며, 견고하고 찬란한 미래의 환상을 공유했다""
이사야 1:2의 "그들이 나를 거역하였도다"는 하나님의 입장을 제시한다"" 이사야 2-5장은 유다의 현재 상태와 미래의 심판과 축복을 대조시키며, 특히 "여호와의 날"에 대한 예언은 비판적이고 예언적이다"" 이사야 7-12장에서는 앗수르의 공격을 경고함과 더불어 다윗의 왕자에서 메시야가 통치할 그날의 환상을 대조한다""
이사야의 설교모음집(사 13-35장)에서 그는 민족들에 대한 심판을 선포하며, 유다의 최종적인 구원을 약속한다"" 이사야 13-23장은 이방 나라들에 대한 엄격한 심판 신탁들을 포함하고, 이사야 24-27장의 첫 번째 설교모음집에서는 보편적 심판과 하나님을 구원자와 승리자로 찬양하며 유다의 미래를 바라본다"" 이사야 28-33장의 다섯 번째 설교모음집에서는 하나님을 비웃는 자들과 자신의 계획을 숨기려는 자들, 하나님보다 인간을 더 의지하려는 자들에게 진노를 선포한다""
1.2. 예레미야와 예레미야 애가
1.2.1. 예레미야의 생애와 시대
앗수르 왕국이 붕괴된 B.C. 612년 이후, 바빌로니아가 세계를 장악합니다. 예루살렘 궁정은 애굽 추종세력과 바빌로니아 추종세력으로 분열해 권력 다툼에 몰두하는데, 선지자들은 이러한 이스라엘 민족을 향해 애굽이나 바빌로니아가 아닌 오직 하나님만을 믿고 신뢰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B.C. 609년에 바로 느고는 위기에 처한 앗수르를 도우려 올라가고, 요시야 왕은 그를 막으려하다가 므깃도에서 죽습니다. 따라서 요시야의 둘째 아들 여호아하스가 왕이 되는데, 3개월 후 바로 느고는 그를 애굽으로 데려가고 요시야의 첫째 아들 여호야김(B.C. 609-597년)을 왕좌에 앉힙니다. 여호야김은 악한 사람으로 예레미야를 침묵시키려 시도합니다.
한편 B.C.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