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육성제도론 청소년활동 진흥법 탐색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청소년수련시설의 필요성과 현황
1.2. 청소년수련시설의 문제점
2. 청소년수련시설 운영 현황
2.1. 시립 은평 청소년센터
2.1.1. 기관 선정 사유 및 현황
2.1.2. 주요 청소년 사업 조사
2.1.3. 사업의 제도적 근거
3. 청소년수련시설의 활성화 방안
3.1. 청소년 및 지역주민의 인식 개선
3.2. 프로그램 개발 및 질 향상
3.3. 재정 지원 확대
3.4. 홍보 강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청소년수련시설의 필요성과 현황
청소년수련시설의 필요성과 현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청소년들의 문제와 관련하여 건전하고 건강한 여가의 활용과 자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취미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문화, 예술, 정보의 시스템을 갖춘 청소년 수련시설이 전국적으로 건립되고 있다. 이는 청소년기의 건강하고 건전한 수련 활동이 성장기에 많은 도움을 가져오며, 학교 안의 대학입시 위주의 불균형적인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사회 중심 활동으로서 자리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청소년수련시설은 청소년들의 자아를 실현시켜주고 취미 개발을 통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전국에 수련관, 수련원을 포함한 청소년 수련시설은 총 847개로 파악되어 수요도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지역적인 편차도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또한 청소년 수련시설에 대한 당사자인 청소년들의 이용률이 정체되거나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기존의 수련시설들이 각 지역의 자원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지역적인 특색과 실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청소년들의 의견과 주요 관심 등을 무시한 채 진행해왔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2. 청소년수련시설의 문제점
청소년수련시설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수련시설의 부족과 지역적 편차가 심각한 상황이다. 전국에는 수련관, 수련원 등을 포함하여 총 847개의 청소년수련시설이 존재하지만, 실제 수요에 비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지역별로 편차가 매우 심각하여, 어떤 지역은 청소년수련시설이 거의 없는 반면 다른 지역에는 너무 많은 시설이 밀집되어 있다.""둘째, 청소년들의 실질적인 이용률이 정체되거나 감소하고 있다. 입시 위주의 교육 환경으로 인해 청소년들이 여유 있는 시간을 내기 어려운 상황이며,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또한 부족하다. 이로 인해 청소년수련시설의 이용률이 저조한 상황이다.""
2. 청소년수련시설 운영 현황
2.1. 시립 은평 청소년센터
2.1.1. 기관 선정 사유 및 현황
시립 은평 청소년센터를 선정하게 된 사유는 내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인 은평구에 위치하고 있어 탐색하기에 거리적인 요건이 좋으며, 시설적으로도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시립 은평 청소년센터는 2003년 11월에 개관하였으며, 청소년기본법에 근거하여 청소년들의 복지와 보호, 활동 등의 고유기능을 통하여 건전한 청소년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역주민들에게는 에어로빅과 수영장 또는 다양한 문화 및 교육프...
참고 자료
문화관광부, 2002 청소년 백서
한규대외, 청소년 수련시설 공간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131, 2003
유진이, 청소년 시설정책의 뉴패러다임, 미래 청소년 학회지 3(2),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7
문화체육관광부 http://www.mcst.go.kr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http://www.youthnet.or.kr
시립 은평 청소년센터 http://www.woori1318.or.kr/
홍열균, 홍기섭, 허성욱, 청소년문화의집 시설기준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