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생활속의 인간공학 적용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간공학적 설계와 양립성
1.1. 양립성의 개념
1.2. 양립성의 종류
1.2.1. 공간적 양립성
1.2.2. 운동적 양립성
1.2.3. 개념적 양립성
1.2.4. 양식 양립성
1.3. 작업환경과 일상생활에서의 양립성 적용
1.3.1. 작업환경에서의 양립성 적용
1.3.2. 일상생활에서의 양립성 적용
2. 생체모방 기술과 제품
2.1. 벌집(허니컴)
2.2. 곤충(생체모방로봇)
2.3. 도꼬마리 씨앗(벨크로 테이프)
3. 4차 산업혁명과 미래
3.1.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와 구분
3.1.1. 클라우스 슈밥
3.1.2. 리처드 블랜슨
3.1.3. 앨빈 토플러
3.1.4. 토마스 프레이
3.1.5. 레이 커즈와일
3.2. 현재 시점을 4차 산업혁명으로 보는 이유
3.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개인 삶에서의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간공학적 설계와 양립성
1.1. 양립성의 개념
양립성이란 자극이나 반응들 사이 혹은 자극-반응 사이의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즉,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과 똑같은 것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부분 우리나라의 미닫이 문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밀어야 열린다. 따라서 우리는 미닫이 문을 보면 우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밀으려고 한다. 그렇다면 문을 설계할 때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기대하는 방식인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만들어야 한다. 만약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미는 방식으로 설계를 한다면 오류가 생기게 된다.
디자인에서 양립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정보의 변환 소도가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서 사람들은 더 빨리 학습하게 되고 반응시간은 더 짧아지게 된다. 인간공학 디자인에서 양립성을 높이려면 정보를 단일화하거나 정보의 시각화를 통해 오류를 최소화해야 한다.
1.2. 양립성의 종류
1.2.1. 공간적 양립성
공간적 양립성은 물리적인 형태나 공간 배치가 인간의 기대와 일치되도록 설계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가스레인지의 경우 왼쪽 조리대와 오른쪽 조리대가 있고, 왼쪽 조리대의 불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왼쪽에 있는 버튼을 이용하며 오른쪽 조리대의 불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오른쪽 버튼을 이용한다. 이처럼 공간적 배치와 버튼이 인간의 기대와 일치하도록 설계된 것이 공간적 양립성의 예라고 할 수 있다. 즉, 공간적 양립성은 물리적인 설계와 배치가 사용자의 기대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1.2.2. 운동적 양립성
운동적 양립성이란 기계를 조작하거나 디스플레이에서 정보가 움직일 때 반응의 결과가 인간의 기대와 거의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운전할 때 운전자가 오른쪽으로 핸들을 돌리면 자동차가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다. 또한 핸드폰으로 음악을 듣는 경우, 아래쪽 버튼을 누르면 소리가 줄어들고 위쪽 버튼을 누르면 소리가 커지는 것처럼 사람이 기대한 것과 동일하게 기계가 작동하는 것이다. 이렇듯 운동양립성은 인간의 기대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기계가 움직이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운동양립성을 적용하면 사용자가 제품을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사용성이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
1.2.3. 개념적 양립성
개념적 양립성은 어떤 상징적인 의미를 보여줄 때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개념과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수기를 보면 온수에는 빨간색 표시가 되어 있고 냉수에는 파란색 표시가 되어 있다. 이를 보고 사람들은 빨간색을 누르면 따뜻한 물이 나오고 파란색을 누르면 찬물이 나온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처럼 어떤 상징을 보고 연상한 것이 인간의 기대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개념적 양립성이라고 한다."
1.2.4. 양식 양립성
양식 양립성은 특정한 자극에서 이에 맞는 양식의 반응 조합이 양립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각과업에서는 시각 자극 제시와 수동 반응이 양립성이 가장 높고, 청각과업에서는 청각 자극 제시와 음성 반응이 양립성이 가장 높다.
이처럼 과업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입출력 양식이 존재하는데, 이를 양식 양립성이라고 한다. 시각과 청각, 운동 등 감각기관과 그에 대응하는 반응 양식이 서로 잘 부합될 때 양립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양식 양립성은 이용자가 제품이나 시스템을 사용할 때 기대하는 바와 실제 동작이 부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성과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예를 들어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시각적 명령을 내리거나 터치스크린에서 음성 명령을 내리는 것은 양립성이 낮아 사용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공학적 설계에서 양식 양립성은 중요한 원칙 중 하나로, 제품이나 시스템을 개발할 때 과업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입출력 양식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1.3. 작업환경과 일상생활에서의 양립성 적용
1.3.1. 작업환경에서의 양립성 적용
작업환경에서의 양립성 적용은 인간공학적 설계의 중요한 요소이다. 인간공학은 인간의 심리학,...
참고 자료
인간공학적 시선- 1부 미닫이문과 양립성 [배성규 인간공학박사], 세이프티뉴스, 2020.09.10.
https://www.safety1st.news/news/articleView.html?idxno=393
추철웅, 양립성 (Compatibility) ,,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것, 세이프티뉴스, 2021.02.19.
https://www.safety1st.news/news/articleView.html?idxno=1097
생체모방로봇
http://www.ndsl.kr/ndsl/issueNdsl/detail.do?techSq=2
특허청
생체모방기술의 산업화 첫 사례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9E%90%EC%97%B0%EC%97%90%EC%84%9C-%EC%96%BB%EC%9D%80-%ED%98%81%EC%8B%A0%EC%A0%81-%EC%95%84%EC%9D%B4%EB%94%94%EC%96%B4/
이선민(부경대), 김하균(부경대) ‘4차 산업혁명에서 외부환경요인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 교류논문지 2022, vol 8, no 8, 통권 52호 pp 35-36
2 (한국협업진흥협회 회장) ‘앨핀 토플러와 클라우스 슈밥의 미래 통찰력’
http://banker.kfb.or.kr/201702/pdf/section102.pdf
3 IT 동아‘미래학자 토마스 프레이가 말하는 4차 산업혁명’ 2017.11.24
https://it.donga.com/27137/
4동아 사이언스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 “2030년 사람 뇌와 AI 잇는 인터페이스 나온다’ 2020.09.18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39929
5이봉림(유원대학교) ‘ 4차 산업혁명시대 노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법정책적 연구’ 한국법학회,법학연구 2022.09 169~18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