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에이브러햄 해럴드 매슬로(Abraham Harold Maslow, 1908년 4월 1일 ~ 1970년 6월 8일)는 미국의 심리학자였다. 매슬로는 오늘날 매슬로의 욕구단계설(욕구위계이론)으로 유명하다. 매슬로는 인도주의 운동의 형성에 도움을 준 참가자이다. 또한 심리학에서는 제3세력으로 알려져 있다. 매슬로는 개인의 성장을 위해 힘쓰는 인간의 핵심 부분인 "진실한 자아"의 애정 어린 보살핌을 주장하였다. 매슬로는 환자를 대할 때 병리학 관점을 남용하는 주류 심리학을 비판하였다. 뉴욕의 브루클린에서 태어난 매슬로는 미국으로 이민 온 유대계 러시아인이었다. 유년 시절 그의 부모는 그에게 법을 공부하도록 강요하였다. 따라서 m는 뉴욕시립대학교에 입학하였다. 그 후 위스콘신 대학교로 옮긴 후 그 곳에서 심리학 학사 및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매슬로의 대표적인 이론은 5단계로 이뤄진 욕구위계이론이다. 이는 현재 대부분의 대학 과정에서 욕구 위계이론으로 많은 학생들에게 가르침 되고 있다. 생리적인 욕구부터 자아실현에 이르기까지 단 다섯가지의 욕구 단계로 이뤄진 이론은 인간의 삶에서 느끼는 동기를 설명하는 토대가 되는데, 오늘은 본인의 생활 속 사례에서 메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에 대해서 알아고자 한다.
2. 매슬로의 욕구 위계이론
2.1. 생리적 욕구
생리적 욕구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원초적인 욕구로, 의식이나 무의식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욕구들을 말한다. 이는 생명유지와 직결되는 것으로, 먹기, 마시기, 숨쉬기, 수면, 배설, 성욕 등이 포함된다.
매슬로는 이러한 생리적 욕구가 가장 하위 단계의 욕구이자 가장 강력한 동기부여 요인이라고 보았다.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러한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인간은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예를 들어 배가 고프면 먹을 것을 찾게 되고, 목마르면 물을 마시게 된다. 이처럼 생리적 욕구는 가장 기본적이고 근원적인 욕구로, 인간행동의 강력한 동기가 되는 것이다.
또한 매슬로는 이러한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고 나면 상위 단계의 욕구인 안전 욕구가 발현된다고 보았다. 즉 먹고 마시는 등의 생리적 욕구가 해결되면 이제 신체적 안전과 안정을 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매슬로의 욕구 위계이론에서 생리적 욕구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강력한 동기부여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2.2. 안전의 욕구
안전의 욕구는 신체적 위험이나 생리적 욕구의 박탈과 같은 위협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하는 욕구이다"" 매슬로는 인간은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면 다음으로 안전의 욕구를 추구하게 된다고 설명하였다. 안전의 욕구에는 물리적 안전뿐만 아니라 경제적 안정, 심리적 안정 등 다양한 차원이 포함된다"" 생존을 위협하는 질병이나 폭력, 재난 등으로부터의 보호, 안정적인 주거와 교육 등 미래에 대한 불안감 해소 등이 안전 욕구에 포함된다"" 또한 규칙과 질서에 대한 욕구도 안전의 욕구에 해당한다"" 시장에서 보험 상품 광고나 범죄 예방 관련 광고 등이 이러한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겨냥하고 있다"" 위협으로부터의 안전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점에서 안전 욕구가 마케팅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3. 소속감 및 애정 욕구
소속감 및 애정 욕구는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고 소속감을 느끼며, 사랑을 주고받고 싶은 욕구를 의미한다"" 매슬로는 이러한 욕구가 생리적 욕구와 안전의 욕구에 이어 인간의 기본적인 3번째 단계의 욕구라고 설명하였다"" 소속감과 애정 욕구는 개인이 의미 있는 집단에 속하고자 하는 동기와 타인으로부터 사랑과 보호를 받고자 하는 욕구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으며, 타인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소속감과 애정을 얻게 된다"" 가족, 친구, 연인 등 의미 있는 타인들과의 유대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욕구가 소속감 및 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