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팝 아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팝아트의 이해
1.1. 팝아트의 정의와 특징
1.2. 팝아트의 역사와 발전
1.3. 팝아트와 기존 미술 사조와의 차이
2. 서양의 팝아트
2.1. 로이 리히텐슈타인
2.2. 앤디 워홀
3. 한국의 팝아트
3.1. 낸시랭
3.2. 최지훈
3.3. 조영남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팝아트의 이해
1.1. 팝아트의 정의와 특징
팝아트(Pop Art)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팝아트는 1950년대 후반 영국과 미국에서 등장한 미술운동으로, 대중문화와 일상용품, 대량생산 제품 등 대중적인 이미지를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였다. 기존의 순수 미술과 달리 팝아트는 일상적이고 대중적인 이미지를 차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팝아트 작가들은 당시 대중문화와 소비문화에 대한 의식을 작품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팝아트의 특징으로는 첫째, 대중문화와 일상용품에서 소재를 차용한다는 점이다. 팝아트 작가들은 만화, 영화, 광고, 대량생산 제품 등을 작품의 주요한 소재로 활용하였다. 둘째, 기존 미술과 대비되는 비개성적이고 비주관적인 태도를 보인다. 팝아트 작품은 대중문화의 이미지를 그대로 반영하여 작가의 개성이나 정서적 개입을 배제하였다. 셋째, 대량생산과 복제를 중요시한다. 팝아트 작가들은 실크스크린이나 인쇄기법 등을 활용하여 작품을 대량으로 생산하였다. 넷째, 작품의 형식과 내용 사이의 대비를 보여준다. 팝아트 작품은 화려하고 세련된 기법을 통해 일상적이고 대중적인 소재를 다룸으로써 작품의 형식과 내용 간의 대비를 드러내었다.
1.2. 팝아트의 역사와 발전
팝아트의 역사와 발전은 다음과 같다.
팝아트는 1950년대 중반 영국에서 시작되었지만, 이 미술운동이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1960년대 미국이었다. 당시 미국 사회에는 급속한 산업발전과 함께 대중문화가 확산되고 있었는데, 팝아트 작가들은 이러한 대중문화의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작품에 도입하였다. 특히 1950년대 추상표현주의가 지배하고 있던 미국 미술계에 반기를 든 팝아트는 대중적 관심을 끌며 빠르게 확산되었다.
미국에서 팝아트가 대두되기 전 영국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는데, 1952년 런던의 현대미술연구소에서 젊은 작가들과 평론가들이 모여 인디펜던트 그룹을 결성하였다. 이들은 대중문화와 반미학적 경향에 관심을 가졌으며, 1956년 열린 전시 '이것이 내일이다'를 통해 팝아트의 조류를 보여주었다. 리처드 해밀턴 등이 활동한 이 그룹은 영국 팝아트의 시작을 알렸다.
그러나 팝아트가 본격적으로 대중적 관심을 받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미국에서였다. 당시 미국 사회에는 풍요로운 대중소비문화가 자리 잡고 있었는데, 팝아트 작가들은 통조림 깡통, 코카콜라, 영화스타 등 일상적인 대중문화 이미지를 작품에 담아냈다. 이를 통해 예술의 대중화를 추구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로이 리히텐슈타인, 앤디 워홀 등이 대표적인 미국 팝아트 작가로 활약하면서, 팝아트는 1960년대 미국 미술계의 주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처럼 팝아트는 1950년대 영국에서 싹트기 시작했지만, 1960년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하며 대중적 관심을 끌었다. 이는 당시 미국 사회가 겪고 있던 급격한 산업화와 대중문화의 확산이라는 사회적 배경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1.3. 팝아트와 기존 미술 사조와의 차이
팝아트는 기존 미술 사조와 여러 면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첫째, 팝아트는 대중문화와 소비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작품을 창작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기존...
참고 자료
김민자, 1960년대 팝아트의 사조와 패션, 한국의류 학회지, 1986.
이석우, 20세기 미술사, 서울 열화당, 1986.
정현숙, 20세기 패션, 서울 경춘사, 19962.
주현성,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더좋은책, 2012.
윤진섭, 『인사미술제와 한국의 팝아트』, 09INSAF, 2009.
강태희, 『현대미술과 시각문화』, 눈빛. 2007,
앤디워홀 저, 김정신 역, 『앤디워홀의 철학』, 미메시스, 2007,
http://poiu23.egloos.com/2748586#1977161 (검색일 : 2015.05.24)
http://poiu23.egloos.com/2748586#1977161 (검색일 : 2015.05.24)
http://blog.naver.com/eileen_art/220163939691.(검색일 : 2015.05.24)
http://blog.naver.com/eileen_art/220163939691.(검색일 : 2015.05.24)
http://blog.naver.com/eileen_art/220163939691.(검색일 : 2015.05.24)
http://blog.naver.com/eileen_art/220163939691.(검색일 : 2015.05.24)
http://blog.hyundai.co.kr/TALK/Human/hyundai-kefico-andywarhol.blg#.(검색일 : 2015.05.24.)
http://blog.hyundai.co.kr/TALK/Human/hyundai-kefico-andywarhol.blg#.(검색일 : 2015.05.24.)
http://nawoosra.tistory.com/302. (검색일 : 2015.05.24.)
http://blog.hyundai.co.kr/TALK/Human/hyundai-kefico-andywarhol.blg#. (검색일 : 2015.05.24.)
http://dalsaem2012.tistory.com/4.(검색일 : 2015.05.24.)
http://www.nancylang.com/index.php?mid=painting. (검색일 : 2015.05.27.)
http://www.neolook.net/archives/20060723b. (검색일 : 2015.05.27.)
http://www.nancylang.com/index.php?mid=painting (검색일 : 2015.05.27.)
http://zine.istyle24.com/Culture/CultureView.aspx?Idx=5729&Menu=7 (검색일 : 2015.05.27.)
http://grino.tistory.com/62. (검색일 : 2015.05.29.)
http://grino.tistory.com/62. (검색일 : 2015.05.29.)
http://grino.tistory.com/21.(검색일 : 2015.05.29.)
http://grino.tistory.com/21(검색일 : 2015.05.29.)
http://grino.tistory.com/21.(검색일 : 2015.05.29.)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881. (검색일 : 2015.05.29.)
http://www.mlounge.co.kr/woman/view.php?idx=1063. (검색일 : 2015.05.29.)
http://www.mlounge.co.kr/woman/view.php?idx=1063. (검색일 : 2015.05.29.)
http://www.ajunews.com/view/20130501000432.(검색일 : 2015.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