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
1.1. 유교 사회의 중국 여성
중국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는 유교 사회에 기반한다고 볼 수 있다. 유교는 가부장적 질서 의식이 사회 전반에 자리 잡고 있어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송나라 시대에는 여성에 대한 사회 문화적 제약과 구속이 그다지 엄격하지 않았으나, 주자학이 유입되며 여성에게 유교적인 몸가짐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명나라에 가서는 재혼 금지, 수절 강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여성의 자살률이 매우 높았다. 청나라에서 발간된 「내훈」에서도 여성이 절개를 지키는 것이 최종적인 덕목이라고 하였다. 또한 송나라에서는 '삼종사덕' 이념으로 여성이 평생 남성을 따라야 하는 운명을 강조했고, '7출' 덕목으로 언제든 여성을 쫓아낼 수 있다는 차별적이고 불합리한 규범을 내세웠다. 더불어 여성의 작은 발로 성적 쾌락을 느끼며 전족(금련) 문화를 강요했는데, 이는 여성에게 가해진 강제적 신체 학대였다고 볼 수 있다. 전족 문화는 처음엔 상류층에서 시작되었지만 점차 평민층까지 확대되었다. 이처럼 유교 사회에서 중국 여성의 지위는 매우 열악했다고 볼 수 있다."
1.2. 20세기 초 근대적 여성관의 확산
20세기 초 근대적 여성관의 확산은 서구의 근대 사상을 전파하고 봉건시대의 관습을 타파하고자 했던 신문화운동에 기인한다. 신문화운동은 개인의 인격과 개성, 자유의지를 존중하는 개인주의 열풍을 몰고 왔으며, 여성 해방운동과 여성 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남녀평등, 자유연애, 자유혼인, 전족금지 등을 내세우며 여성 억압 관습을 철폐하는 운동을 전개했다. 이에 따라 "신여성"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여성 운동이 시작되었다. 현모양처를 뛰어넘은 인생관을 지닌 여성, 자립정신을 지닌 여성을 강조하며 "신여성"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신교육의 영향으로 신여성이 대량 출현하면서 여성운동이 추진되기 시작했고, 여성 문제에 대한 여론의 주요 초점이 전통 타파와 여성 의식 고양에 있었다. 여성이 해방의 대상으로 스스로 각성하여 행동에 옮기기 시작하면서 중국의 여권운동은 여성 해방운동으로, 그리고 여성 참정권 운동으로 확대되었다. 국민당과 공산당은 경쟁과 대립의 관계였지만 중국의 근대화를 목표로 하는 것에는 뜻을 함께했다. 이들은 유교적 신분 질서와 가부장제 등 봉건적 요소들을 철폐하고 남녀의 평등한 권리를 구현하는 것에 대해 같은 입장을 취했다.
1.3. 마오쩌둥 시기의 중국 여성의 지위
마오쩌둥 시기의 중국 여성의 지위는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마오쩌둥은 여성 정책의 토대를 이루었던 혁명적 대중노선을 지속시키면서 노동을 종사하는 능력에 남녀차이가 없음을 강조했다.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공산당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미국과의 수교 단절, 금문포격 사건으로 인한 소련과의 냉랭한 외교 관계 속에서 자력갱생이 필요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노동력이 매우 필요했고 여성을 노동력에 이용한 것이다. 1950년 제정한 '혼인법'에서는 혼인·이혼의 자유, 일부일처제, 남녀 권리 평등 등 근대적인 법률을 제정하여 가부장적 신분 질서와 여성에 대한 차별 의식을 타파하고자 했다. 마오쩌둥은 "여성은 하늘의 절반을 지탱할 수 있다."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매우 진보적인 여성관을 보였고, 이를 통해 여성의 적극적인 사회 활동 참여를 독려했다. 저우언라이는 여성해방운동이 곧 사회혁명이라고 간주하고 여성 간부들의 양성을 독려하였으며, 덩샤오핑은 당과 여성군중 연합을 통한 군중노선을 정립하고 노동자, 청년, 여성의 단결을 혁명의 중심적인 사업으로 간주하였다. 이처럼 주요 정치 지도자들의 여성 해방에 대한 발언은 사회주의 혁명에 필요한 노동력 충당을 위한 목적이 컸지만, 그 결과 여성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