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언어산책기말과제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중국언어산책기말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국어의 언어 교류 특징
1.1. 고대 시대
1.1.1. 선진 및 서한 시기
1.1.2. 동한~당 시기
1.1.3. 송대~청대 전기
1.2. 근대 시기
1.2.1. 아편전쟁 시기
1.2.2. 일본산 근대 번역어
1.3. 현대 시기
1.3.1. 5.4 시기 전후 서구어
1.3.2. 개혁개방 시대의 차용어
1.4. 일본산 한자어 재유입
1.5. 알파벳 자모어

2. 해성자(諧聲字)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국어의 언어 교류 특징
1.1. 고대 시대
1.1.1. 선진 및 서한 시기

중원 지역에서는 다양한 민족 집단이 거주하면서 빈번한 언어적, 문화적 교류로 인한 다양한 언어의 교융과 혼합의 결과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중국어에서 원래 치아를 뜻하는 단어는 '齒'였다. 그러나 고대에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언어에서 포유류 엄니를 뜻하는 'ngra'라는 단어가 존재하였고, 상아가 화남 지역에서 공물로 바쳐진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牙'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언어에서 중국어로 유입된 차용어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江', '虎', '弩' 등의 어휘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으로부터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벼는 중국보다 더 남쪽에 있는 교집합권역에서 중국 서남부, 화중, 화동북, 양쯔강 유역으로 전달되어 '禾'가 차용어일 가능성이 높고, '米'도 교집합 권역에서 윈난성과 쓰촨성에서 황허 유역으로 들어오는 과정을 통해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서한 시대에는 육상의 실크로드와 해상의 교역로 등을 통해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 유럽 및 동남아시아 각국과 활발히 교류하였다. 이에 북방, 흉노, 선비, 남방의 월 및 서역의 여러 민족과도 다양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 때 흉노어에서 유입된 차용어로는 볼에 바르는 화장품인 '脂'와 낙타 '駝'가 있다. 서역에서 유입된 차용어로는 고대 이란어 계통의 언어에서 사자를 가리키는 말의 음역 '獅子' 및 '葡萄', '棗'가 있다.

이처럼 선진 및 서한 시기에는 중원 지역의 다민족 거주와 활발한 교역으로 인해 다양한 언어간 차용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1.1.2. 동한~당 시기

동한~당 시기에는 중국이 실크로드와 해상 교역로를 통해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 유럽 및 동남아시아 각국과 활발히 교류하면서 다양한 차용어가 유입되었다.

먼저 동한 시기에는 불교가 전래되면서 불경 번역이 활발해졌고, 이에 따라 산스크리트어에서 음역된 佛陀, 閻羅, 菩薩, 般若 등의 불교 관련 어휘가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또한 동한, 위진남북조, 수, 당 시기에는 실크로드를 통해 유입된 일상 어휘와 이민족과의 교류 혹은 침략으로 인해 다양한 차용어가 유입되었는데, 이 시기를 중국 어휘사의 첫 번째 차용어 유입 절정기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스크리트어 Yama Raja의 음역어인 閻羅, 산스크리트어 Bodhisattva의 음역어인 菩薩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당(唐) 시기에는 예전보다 더 활발한 해외 교역과 문화 교류로 인해 상당수의 차용어가 유입되었다. 예를 들어 아랍어 zurafa/zarafa에서 음역된 俎?(기린), 소말리어 faro에서 음역된 福?(얼룩말) 등이 있다. 또한 선교사들에 의해 서양 학문이 전파되면서 地球, 熱帶, 推理, 直角 등의 근대 학술 용어가 중국어로 번역되거나 음역되었다.

이처럼 동한~당 시기는 중국의 대...


참고 자료

변지원 외 2명, 중국언어산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네이버 파파고
네이버 중국어사전

변지원․김석영․김나래, 『중국언어산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나도원, 「諧聲字의 한국한자음 초성에 나타난 諧聲通轉 考察」, 『중국문학연구』제48집, 한국중문학회, 2012, pp.211-228.
최치현, 「우리가 몰랐던 일본·일본인(9), 번역을 예술 경지로 승화시킨 니시 아마네」, 『월간중앙』, 201809호(2018.08.),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2263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9037&cid=46674&categoryId=4667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